상세정보
생황은 17개의 가느다란 대나무 관대가 통에 동글게 박혀 있는 악기로 국악기 중 유일하게 화음을 낸다. 생황은 아악 외에 당악과 향악에도 편성되었고, 조선 후기에는 풍류방에서도 연주된 다관식(多管式) 관악기이다. 통의 재료는 본래 박을 사용했으나 깨어지는 성질 때문에 나무로도 만들었으며 최근에는 금속제 통을 주로 사용한다. 관대는 오죽의 속을 파내어 만든다. 생황은 나무로 된 공명통에 연결된 대나무관에 쇠붙이 떨림판이 들어 있고, 이 속에서 만들어진 금속 음색이 다시 대나무관을 통과하면서 아주 미묘하고 부드러운 음색을 낸다. 동시에 두 음 이상의 음을 내는 화성효과를 낸다는 점도 특별하다. 조선시대 『악학궤범』에는 현행 생황에 해당하는 다관식 관악기들인 화(和), 생(笙), 우(竽)가 아악기에 포함되어 있다. 중국 『수서』와 『당서』에 따르면, 생황은 고구려와 백제의 음악 연주에 사용되었다고 한다. 『고려사』에는 고려 예종 9년(114)과 예종 11년(1116)에 북송으로부터 연향음악에 쓸 생과 제례악에 쓸 소생(巢笙), 화생(和笙), 우생(竽笙)이 들어왔다고 하는데 제작이 수월하지 않아 중국에서 수입하여 오는 경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문헌과 그림 자료를 통해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문인들의 풍류 악기로 연주되었고, 현재 생황은 단소와의 병주로 <수룡음>, <염양춘>과 같은 곡에서 연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