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징은 농악이나 불교음악, 무속음악, 군악인 대취타에 편성되는 금속 타악기이다. 쇠북이라는 한글 이름 외에 용도에 따라 정(鉦), 금(金), 금고(金鼓), 금정(金鉦), 대금(大金), 태징(太鉦) 등의 명칭이 다양하게 쓰였다. 징은 손에 들고 치는 방법, 사물놀이를 할 때처럼 틀에 매달아 앉아서 치는 방법, 굿을 할 때처럼 엎어놓고 치거나 시나위 합주를 할 때처럼 왼손을 들고 오른손에 채를 잡고 치는 방법이 있다. 농악에서는 징을 들고 춤을 추기도 한다. 징은 보통 소리를 내는 몸통과 악기를 손에 들기 위해 매단 끈으로 이루어지며 채가 함께 구성된다. 군악이나 농악에서 사용되는 징은 모두 끈이 있으나 무속 음악용은 주로 엎어 놓고 치기 때문에 끈을 매는 구멍을 뚫지 않는다. 징 바닥에 그려진 나이테 모양의 무늬는 상사라고 하며, 징 채가 닿는 부분은 봉뎅이, 전두리에 해당하는 부분은 시울, 옆에 각진 부분은 귀미라고 한다. 징 전두리는 소리의 깊이를 좌우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짧으면 파장이 짧아 얕은 소리가 나고 지나치게 길면 소리가 나지 않는다. 징 채의 끝은 방울같이 불룩하게 만들고 헝겊으로 망태를 씌운다. 무속에서는 징의 채를 오색 끈으로 화려하게 장식하기도 하며, 농악에 사용하는 경우 짚을 엮어 만들기도 한다. 다른 기교보다는 소리의 울림이 중요하므로 음악에 따라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여 음악의 흐름을 살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