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3D/VR 유물 상세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의 3D/VR 유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바라

  • 명칭자바라
  • 재질금속

상세정보

자바라(啫哱囉)는 국악기 중 타악기의 하나로 얇은 놋쇠로 된 두 개의 원반을 양손에 들고 이것을 맞부딪쳐서 소리를 낸다. 조선 초기 성종 때 절에서 쓰는 것은 동발(銅鈸)로, 향악정재(鄕樂呈才)에 쓰인 것은 향발(響鈸)로 불렸다. 향발은 무용수의 모지(母指)와 식지(食指) 사이에 끼고 연주하는 아주 작은 악기였지만, 불가(佛家)에서 사용하는 동발은 향발보다 컸다. 악기의 모양은 서로 비슷했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자바라는 징(鉦), 호적, 나발 등과 함께 내취악대(內吹樂隊)로 편성되어 <선유락(船遊樂)>의 정재공연 때 연주됐다. 자바라를 연주한 내취수(內吹手)를 자바라수(啫哱囉手)라고 불렀다. 현재 자바라는 불교의 의식무용인 작법(作法) 중 <바라춤>에서 사용되고, <취타(吹打)> 및 <무악(巫樂)>에서도 쓰이고 있다. 특히 <취타>에서 자바라는 태평소, 나발, 소라, 징, 북과 함께 편성된다. 자바라 및 여러 종류의 발은 모두 놋쇠로 제조되고, 악기의 중앙에 헝겊으로 된 손잡이가 달려 있다. 옛날 동발이나 향발의 모양은 전립(戰笠)처럼 생겼으나, 현재의 자바라는 접시모양으로 생겼다. 자바라는 유래가 오래된 악기로 불교음악의 영향으로 무속음악에도 자바라를 사용하게 되었다. 조선 후기에 군영악기로 편입되었으며, 군영음악의 영향으로 농악에도 자바라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자바라의 사용영역은 확대되었으며 기층 악기로서 전승이 단절되지 않고 생명력을 이어가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