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상세

청소년이 꼭 알아야 할 우리음악과 춤 15선 : 우리음악과 춤 가까이 보고 듣기 (해설편) - 12. 살풀이(한영숙류) 해설

조회 3,589 3 0

살풀이춤은 독무로 진행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속춤입니다.
살풀이라는 용어는 무속의식에서 온 것인데
나쁜 일을 피하고 행운이 깃들기를 염원하던 춤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살풀이는 흰 옷을 곱게 차려입은 춤꾼 한 사람이
흰 수건을 들고 시나위 음악에 맞춰 춤을 춥니다.
그럼, 살풀이춤의 구성 요소들을 살펴볼까요?

무용수가 손에 들고 춤을 추는 ‘흰 수건’은 살풀이 춤의 사위를 창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예를 들면, 무용수가 수건을 바닥에 떨어뜨리는 동작은 떠나보내야만 하는 이별의 아픔을 의미하고,
다시 주워 올리는 것은 넋을 위로하여 편안한 마음으로 떠나가도록 살을 풀어주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살풀이춤을 더욱 멋스럽게 표현해주는 것은 반주음악인데요.
살풀이 춤을 출 때 연주하는 음악은 시나위입니다.
처음에는 이렇게 느린 살풀이장단으로 시작해
점차 장단이 빨라져, 조금 빠른 장단, 아주 빠른 장단순서로 진행되다가
그리고 마지막에는 이렇게 다시 느린 속도로 마무리 됩니다.
극적인 표현과 즉흥성이 다이내믹하게 어우러지는 살풀이 춤과 시나위 음악의 어울림은
예술을 통해 무아지경에 이르는 과정을 잘 보여줍니다.

자, 이제 살풀이춤의 춤사위를 눈여겨볼까요?
무용수는 수건을 이용해 다양한 춤사위를 연출합니다.
수건을 던져 뿌리기도 하고, 활처럼 둥글게 어깨를 굽혀 그 위에 걸쳐 놓기도 하죠.
발동작도 다양합니다.
발꿈치를 살짝 찍거나, 돌기도 하고, 종종걸음으로 걷기도 합니다.
그리고 때로는 까치걸음으로 걷기도합니다.

살풀이춤의 춤사위를 말할 때 흔히 ‘정중동, 동중정’ 이란 표현을 쓰는데.
움직임이 정적인 가운데 역동적인 마음의 움직임이 있고,
반대로 역동적인 움직임 가운데에도 정적인 마음의 여유로움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맺고 어르고 푸는 기본적인 춤사위를 비롯해서
수건의 뿌림과 변화, 발놀림, 무용수의 표정을 따라가다 보면
정적인 가운데 역동적인 움직임이 있고,역동적인 움직임 가운데에 정적인 여유로움이 있는
‘정중동, 동중정’이라는 표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이 동작을 잘 살피면서 살풀이춤을 감상해보시지요.

  • 등록번호 V008866
  • 기록 분류무용>전통무용>민속무용>독무>살풀이 
  • 기록 일시2010.01.19 - 2010.01.31
  • 기록 장소국립국악원 예악당, 우면당
  • 소장처국악아카이브실
  • 기록유형동영상
  • 저장매체동영상DVD-R

내용

ㅇ 청소년이 꼭 알아야 할 우리음악과 춤 15선 : 우리음악과 춤 가까이 보고 듣기(해설편)의 열두 번째 프로그램

ㅇ 살풀이의 기원, 구성요소 및 의미, 반주음악(시나위), 수건의 뿌림과 발놀림의 의미 등 수록
ㅇ 사회/정은아(아나운서)
ㅇ 무용/최성희(국립국악원 무용단 단원, 중요무형문화재 제97회 한영숙류)

관련자료

이전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