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척(金尺) 치어(致語) 夢金尺受命之祥也 몽금척수명지상야 금척을 꿈 꾼 것은 천명을 받으려는 상서입니다. 太祖在潛邸夢見神人 태조재잠저몽견신인 태조께서 잠저에 계실 때 신인이 奉金尺自天而來若曰 봉금척자천이래약왈 금척을 받고 하늘로부터 내려와 말하기를 慶侍中有德且老矣 경시중유덕차노의 경시중은 밝은 덕망이 있으나 늙었고 崔三司有直名悐戇也 최삼사유직명척당야 최삼사는 정직한 명망이 있으나 어리다하면서 謂太祖資慶文武有德有識 위태조자경문무유덕유지 태조에게 말하기를 문무를 겸비하고 덕망도 지식도 있어 民望屬焉乃以金尺受之 민망속언내이금척수지 백성들의 종망이 귀속한다하고 곧 금척을 주었습니다. ○ 수악절 금척사 1장 惟皇鑑之孔明兮 유황감지공명혜 하늘의 살피심이 크게 밝아 吉夢協于金尺 길몽협우금척 상서로운 꿈이 금척에 맞았도다 淸者耄矣兮直基戇兮 청자모의혜 직기당혜 청자는 늙어 혼미하고 정직한자 는 어리석구나 有德焉是適 유덕언시적 덕망 있는 이가 이에 적합 하도다 帝用度吾心兮 제용탁오심혜 하늘이 우리 마음을 헤아려 俾均齊于家國 비균제우가국 국가를 잘 다스리게 하였도다 貞哉劂符兮 受命之祥 정재궐부혜 수명지상 정고한 저 부록이여 천명을 받을 상서로다 傳子及孫彌于千億 전자급손 미우천억 그 자손이 천억대를 이어 가리다 ○ 수악절 금척사 2장 帝用度吾心兮 제용탁오심혜 하늘이 우리 마음을 헤아려 俾均齊于家國 비균제우가국 국가를 잘 다스리게 하였도다 貞哉劂符兮 정재궐부혜 정고한 저 부록이여. 受命之祥 수명지상 천명을 받을 상서로다 傳子及孫 전자급손 그 아들에게 전하고 손자에게 미침이여 彌于千億 미우천억 그 척언 대를 이어 가리다 ○ 회무창사 聖人有作萬物皆覩 성인유작만물개도 성인이 일어나시니 만물이 다 보게 되고 靈瑞繽粉諸福畢至 영서빈분제복필지 영이한 상서 하도 많으사 모든 복이 다 이르옵니다 長言不足式歌且舞 장언부족식가차무 긴 말이 오히려 부족하여 노래하고 춤추옵니다 於樂於倫君王萬壽 어락어륜군왕만수 차례가 있음이여 우리 임금님 만수를 누리소서 ○ 죽간자 구호 樂旣奏於九成 악기주어구성 이미 구성의 악을 연주하였고 壽庸獻於萬歲 수용헌어만세 곧 만세의 장수를 드리도다 未及懽娛之極 미급환오지극 즐거움의 극치에 미처 이르기 전에 遽回儆戒之心 거회경계지심 빨리 경계하는 마음을 품으소서 拜辭而歸 배사이귀 절하며 하직하고 돌아가니 式宴以處 식연이처 편히 쉬소서
내용
○ 2018 국립민속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舞本3(무본3)[04.27.]의 첫 번째 프로그램 ○ 팸를릿 수록 내용 태조 이성계가 꿈에서 하늘로부터 왕권의 상진인 금척(金尺)을 받은 것을 형상화한 작품으로 태조 2년 10월, 삼봉 정도전이 전악서(典樂署)에서 지어올린 악장(樂章: 조선 초기 궁중행사에 쓰이는 음악과 노래) 을 바탕으로 창제했다. 몽금척(夢金尺)은 태조가 역성혁명으로 세운 조선왕조의 정당성 을 확보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가 내포되어 있는 작품으로 자[尺]에 적힌 여덟글자의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다. '천사금척 수명지상' 天賜金尺受命之祥: 하늘이 금척을 내리니 천명을 받을 상서이다. <수보록>과 같이 조선 초기에 창작된 정재 임에도 당악정재 양식을 빌었기 때문에 의물(儀物)이 등장 한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 이다. ○ 무용/국립민속국악원 무용단 - 금척/양정화, 족자/박수영, 황개/송윤정, 죽간자/이유진·김세희 - 무원/안명주·송은희·김경주·홍은정·김문영·이지수·양근영·오가은·김혜정(객원)·한소정(객원)·장수지(객원)·홍슬기(객원) ○ 의물/주니어무용단 - 최예원·임지언·임선영·권혜주·이수연·김현지·이민애·이서윤·심가빈·이소희 ○ 반주/국립국악원 정악단 - 집박/이종길, 피리/고우석·이종무, 대금/김영헌·이결, 해금/김용선 - 장구/박거현, 좌고/김형섭, 창사/하윤주(객원)·지민아(객원)·김윤지(객원)
동영상 - 2018 국립민속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舞本3(무본3)[04.27.]
복합 - 2018 국립민속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舞本3(무본3)[04.27.] 팸플릿
복합 - 2018 국립민속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舞本3(무본3)[04.27.] 리플릿
복합 - 2018 국립민속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舞本3(무본3)[04.27.] 포스터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8 국립민속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舞本3(무본3)[04.27.] - 01. 몽금척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