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려궁 (南呂宮) 집사: 드오 자생민래 수저기성 (自生民來 誰底其盛) :사람이 생겨난 이래, 누가 그 성함에 이르랴 유왕신명 탁월전성 (惟王神明 度越前聖) :오직 문선왕의 신명이, 전성보다 탁월하시도다 자폐구성 예용사칭 (粢幣俱成 禮容斯稱) :서직과 폐백이 다 이루어졌고, 예의와 용모가 맞으니 서직비형 유신지청 (黍稷非馨 惟神之聽) :서직이 향기롭지 않더라도, 신은 들어주소서 집사: 드오 ○ 고선궁 (姑洗宮) 집사: 드오 백왕종사 생민물궤 (百王宗師 生民物軌) :백왕의 으뜸가는 스승이요 모든 민생들의 법칙이 되시도다. 첨지양양 신기영지 (瞻之洋洋 神其寧止) :우러름에 그 덕이 한없이 넓으심이여 신께서는 편히 머무시소서. 작피금뢰 유청차지 (酌彼金罍 惟淸且旨) :금잔에 맛난 술을 따르니 맑고도 맛있도다. 등헌유삼 어희성예 (登獻維三 於喜成禮) :세 헌관이 차례대로 세 번 절하오니 예를 이루었도다 집사: 드오
내용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06.16.]의 여섯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문묘제례악은 문묘에서 공자를 비롯한 유학 대가의 신위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연주하는 음악과 춤(일무)을 말한다. 고려 때 중국 송나라에서 들어온 음악으로, 세계적으로 현전하는 유일한 아악곡이다. 모두 15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오늘날 실제 제례에 사용되는 곡은 6곡이다. 성균관 대성전에서 봄, 가을 '석전의식'에 연주되고 있다. ○ 출연/국립국악원 정악단, 국립국악원 무용단 - 문무/김태은, 무무/김영신, 집사/황규상, 집박/채조병, 악장/문현·홍창남 - 지/노붕래·김상준·최성호·김영헌·이 결 - 훈/양명석·김철·고우석·김인기·이종무 - 적/윤문숙·고수영·공경진·김용선 - 약/장경원·고연정·이방실·정지영 - 금/조유회, 슬/김윤희, 편종/김미숙, 편경/이종길, 축/김형섭, 어/박지현, 소/이오훈, 부/채은선 - 노도/이종범, 노고/이웅, 진고/정택수, 특종/이찬미, 특경/이유나, 휘/문응관
동영상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06.16.]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06.16.] - 06. 문묘제례악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