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2018 수요춤전: 김묘선의 춤, 인연(因緣)[05.09.]의 여덟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각 지방마다의 특색을 갖고 전해 내려오는 농악에서 일명 매굿이라 불리는 '소고춤'은 개인 벅구놀이 형태의 마당에서 노는 춤 이었는데 김묘선이 무대화시켜 1989년 11월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초연하여 민속무용의 하나로 발전시킨 김묘선류의 '소고춤'으로 불리고 있다. 굿거리 자진모리 동살풀이 휘모리 장단을 치면서 태평소와 어울어져 대삼소삼 호흡이 분명한 김묘선의 독특한 춤사위로 흥을 돋구어 신명을 끌어낸다. ○ 출연 - 무용/박덕상 ·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이수자 · 국가무형문화재 제61호 은율탈춤 이수자 · 극동대학교 연극연기학과 교수 - 무용/장옥주 · 경희대학교 스포츠지도학과 겸임교수, 김묘선 발림무용단 대표 - 무용/김명주 · 이화여자대학교 체육과학대학 무용학과 졸업 · 제13회 부평전국전통경연대회종합대상수상 - 무용/김진희 · 한국전통춤협회 대구광역시지부 부지부장, 효무공연예술원 대표 - 무용/여지영 · 동아대학교 무용학 전공 - 무용/박진주 · 국민대학교 공연예술학부 무용전공, 김묘선 발림무용단 단원 - 무용/신하얀 ·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박사과정 · 김묘선 발림무용단 단원 ○ 음악 - 장구/김연수 · (사)민족음악원 - 아쟁/이관웅 ·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이수자 - 대금/이성준 ·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이수자, 한푸리예술단 - 피리/이정훈 · 한푸리 가무악코리아 단장 - 소리/어연경 ·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심청가 이수자 · 단국대학교 국악과 대학원 박사과정
동영상 - 2018 수요춤전: 김묘선의 춤, 인연(因緣)[05.09.]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8 수요춤전: 김묘선의 춤, 인연(因緣)[05.09.] - 08. 소고춤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