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민속음악[02.03.]의 다섯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아쟁은 가야금처럼 옆으로 뉘여 놓고 해금처럼 활로 줄을 문질러서 소리 내는 악기이다. 울림통은 원래 가야금보다 크고 줄이 굵어서 음이 낮고, 개나리나무를 깎아 만든 활대를 이용했기 때문에 거친 음색을 내며 궁중음악 연주에 주로 사용했다. 20세기 초반에 창극과 무용 반주에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민속 음악을 연주하는 산조아쟁이 만들어졌다. 산조아쟁은 원래의 아쟁보다 크기가 작아서 보다 높은 소리를 내고, 줄의 굵기는 얇아서 줄을 누르거나 흔들어 소리를 만드는 농현이 훨씬 자유로우며 말총으로 만든 활을 사용해 기존 아쟁에 비해 부드러운 소리를 낸다. ○ 출연/국립국악원 민속악단 - 아쟁/김영길, 장구/조용복
음향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민속음악[02.03.] - 01. 태평소 시나위
음향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민속음악[02.03.] - 02. 서도잡가 ’초로인생’
음향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민속음악[02.03.] - 03. 기악합주 ’육자백이’
음향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민속음악[02.03.] - 04. 제주민요 ’영주십경·용천검·오돌또기·이어도사나·노젓는 소리’
음향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민속음악[02.03.] - 05. 아쟁산조(박종선류)
음향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민속음악[02.03.] - 06. 사물놀이 선반
음향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민속음악[02.03.]
동영상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민속음악[02.03.]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민속음악[02.03.] - 05. 아쟁산조(박종선류)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