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남가 함평천지 늙은 몸이 광주고향을 보랴하고 제주어선 빌려 타고 해남으로 건너갈 제 흥양에 돋은 해는 보성으 비쳐있고 고산어 아침안개 영암을 둘러있다 태인하신 우리 성군 예악을 장흥하니 삼태육경은 순천심이요 방백수령은 진안군이라 고창성에 높이 앉어 나주 풍경을 바래보니 만장운봉이 높이 솟아 칭칭한 익산이요 백리 담양으 흐르는 물은 구부구부 만경인데 용담에 맑은 물은 이 아니 용안처며 능주에 붉은 꽃은 곳곳마다 금산이라 남원으 봄이 들어 각색화초 무장하니 나무나무 임실이요 가지가지 옥과로다 풍속은 화순이요 인심은 함열인데 이초는 무주하고 서해는 영광이라 창평한 좋은 시절 무안을 일삼으니 사농공상으 낙안이요 우리 형제 동복이로구나 농사하든 옥구백성 임피사의가 둘렀으니 삼천리 좋은 경은 호남이 으뜸이로다 거드렁거리고 지내보세
내용
○ 토요국악초대석: 예음헌 개관기념 공연 '멋 더하기 - 女(여), 창의 멋'[2016.02.06.]의 다섯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가야금병창은 연주자가 직접 가야금을 연주하면서 단가나 판소리 중 한 대목을 따서 가야금 반주에 얹어 서 부르는 연주방식으로 판소리에 비해 섬세하면서 비교적 조용한 방중악(方中樂)이라고 할 수 있다. 호남가는 민요로 구전되던 것을 조선 고종때 가객 동리(洞里) 신재효(申在孝)가 고쳐 지은 단가이다. 호남의 여러 지명을 나열하며 대장부의 할 일을 중모리 장단에 맞추어 가야금 반주로 부른다. ○ 병창/양효숙 - 중요무형문화재 제23회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 -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2호 판소리 이수자 - 춘향국악대제전 가야금병창 대상 - 사)가야금병창 보존회 이사 및 중앙연구회 회원 - 現, 국립민속국악원 창극단 부수석 ○ 장단/김성주(現, 국립민속국악원 기악단 단원)
동영상 - 토요국악초대석: 예음헌 개관기념 공연 '멋 더하기 - 女(여), 창의 멋'[2016.02.06.]
건물 보수공사로 인하여 시청각자료에 대한 편집 서비스가 일시 중단 될 예정입니다. 5.12(월)부터 순차적으로 서비스 될 예정이오니 이용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토요국악초대석: 예음헌 개관기념 공연 ’멋 더하기 - 女(여), 창의 멋’[2016.02.06.] - 05. 가야금병창 단가 ’호남가’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