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2016년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목요풍류: 명인·명창, 이 시대의 민속악[12.01.]의 네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박종선은 전라남도 광주의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듣고만 있으면 밥을 안 먹어도 살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할 정도로 아쟁 소리를 좋아하여 아쟁을 배우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20세 무렵 서울로 올라와 한일섭의 문하에서 아쟁을 배우며 산조의 진정한 맛을 체험하였다. 박종선류 아쟁산조는 스승의 음악에 자신의 가락을 추가하여 짠 것으로 스승에게 배운 것보다 두 배 가까운 길이로 완성되어 그의 음악성이 충실히 구현되었다. 현재 서울시무형문화재 제39호로 지정되어 있다. 박종선 명인은 1996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의 제 2대 감독으로 재직했다. 오늘은 박종선 명인의 제자인,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김영길 악장이 함께 연주한다. ○ 아쟁/박종선 ○ 협주/김영길 ○ 장구/정준호
복합 - 2016년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목요풍류: 명인·명창, 이 시대의 민속악[12.01.] 팸플릿
동영상 - 2016년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목요풍류: 명인·명창, 이 시대의 민속악[12.01.]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6년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목요풍류: 명인·명창, 이 시대의 민속악[12.01.] - 04. 박종선류 아쟁산조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