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채 들고)명금일하 대취타
내용
○ 2017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의식음악[05.06.]의 첫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대취타(大吹打)는 조선후기에 궁중에서 왕이 궁 밖으로 거둥할 때 연주하던 행진곡이다. 대취타란 크게 불고 두드린다' 뜻이다. 커다란 소라를 다듬어 만든 나각과 긴 나발처럼 한 가지 음정만 내는 관악기와 징, 자바라, 용고 같은 타악기 중심의 악기편성에 태평소가 가락을 연주한다. 지휘자 역할을 하는 채가 '금일하 대취타(징을 한 번 친 후에 대취타를 시작하라는 뜻)'고 외치면 일제히 연주를 시작한다. ○ 등채/이종길, 태평소/김성진·고우석, 나발/박장원·이승엽, 나각/최성호·사현욱, 용고/문현 ○ 자바라/한갑수, 징/김성준
음향 - 2017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의식음악[05.06.] - 01. 대취타
음향 - 2017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의식음악[05.06.] - 02. 서도 반메기 비나리
음향 - 2017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의식음악[05.06.] - 04. 승무
음향 - 2017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의식음악[05.06.] - 05. 작법
동영상 - 2017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의식음악[05.06.]
음향 - 2017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의식음악[05.06.]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7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의식음악[05.06.] - 01. 대취타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