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부사 설빈어옹이 주포간허여: 머리 센 고기잡이 늙은이가 갯가에 사는데 자언거수승거산을: 스스로 말하기를 물에 사는 것이 산에 사는 것보다 낫다 배띄어라
내용
○ 2016 국립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무원(舞源)[2016.06.17.]의 첫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선유락은 뱃놀이 춤 이라는 뜻으로 실제 모형 배를 무대 위에 띄우고 많은 무용수가 물결이 되어 돛배를 넘실거리는 바닷길로 이끌어가는 모습의 정재이다. 이 춤은 신라시대부터 연행되었다고 전하며 정조가 혜경궁 홍씨를 위해 마련한 봉수당 잔치(1795) 때 연행 된 이래, 순조 29년(1829) 진찬(進饌), 고종 광무 5년(1901) 진연(進宴)에 이르기 까지 궁중에 큰 잔치가 있을 때마다 빠짐없이 연행 되 춤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무용/김혜자·최형선·백진희·홍명진·이명희·김태은·김진정·윤은주·이지은·김영애·백미진·이주희·정승연·이미영·권문숙·박지애·임동연·이하경·이혜경·최나리, 동기/전정원(객원)·정은채(객원)
동영상 - 2016 국립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무원(舞源)[2016.06.17.]
복합 - 2016 무용단 정기공연: 무원(舞源)[2016.06.17.~06.18.] 팸플릿
이미지 - 2016 무용단 정기공연: 무원(舞源)[2016.06.07.] 연습현장
이미지 - 2016 무용단 정기공연: 무원(舞源)[2016.06.17.] 공공저작물 촬영사업 결과물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6 국립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무원(舞源)[2016.06.17.] - 01. 선유락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