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상세

2014년 국립국악원 무용단 하반기 정기공연: 사제동행[2014.09.26.] 마스터본 - 07. 동래학춤

조회 242 0 0

  • 등록번호 V013291
  • 기록 분류무용>전통무용>민속무용 
  • 기록 일시2014.09.26 - 2014.09.26
  • 기록 장소국립국악원 예악당
  • 소장처국악아카이브실
  • 기록유형동영상
  • 저장매체스토리지

내용

○ 2014년 국립국악원 무용단 하반기 정기공연: 사제동행[09.26.]의 일곱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경상도에는 학춤이 많다. 학춤이라 이름붙이지 않더라도 갓을 쓰고 흰 도포자락을 날리며 추는 모습을 보면 학이 연상된다. 그 중에 동래학춤은 부산지역 동래 한량들이 풍류방이나 동래줄다리기, 동래야류의 놀이판에서 흥이 고조되면 팔을 벌리고 장단 위에서 노닐던 멋드러진 춤이었다. 도포에 갓 쓰고 종아리에는 행전을 찬 모습으로 훨훨 날기도 하고, 유유히 주변을 살피기도 하고, 뒷짐을 지고 먹이를 쪼아 먹는 모습 등을 춤으로 표현하였다. 천천히 날개짓을 하다가 기운을 몰아서 콱 배기는 대목은 시원한 막걸리나 맥주가 목구멍을 막 넘어간 후의 청량감처럼 상쾌 · 통쾌하다. 또 배긴 후 천천히 풀어내는 멋은 정중동(靜中動)의 묘미를 그대로 보여준다. 동래학춤은 원래 각자 추는 1인무였으나, 여러 사람이 추기 시작하며 4인무로 추기도 하고, 군무로 추기도 한다. 독무는 독무대로, 4인무는 4인무대로, 군무는 군무대로 볼 맛이 다르다. 군무로 출 때 장관이다. 작년 국립국악원 무용단의 정기공연 '사도사색'에서 남자 무용단원들의 <동래학춤>은 큰 호응을 얻었다. 특히 일열로 나란히 군무로 춤추며 날아드는 장면은 관객들에게 큰 인상을 남겼다. 군무 중간에 추는 각 춤꾼의 허튼춤 대목은 자유분방한 즉흥성과 남성춤의 멋을 즐길 수 있는 대목이다. 동래학춤은 자연미와 조화를 이루면서 고고하며 호방한 남성춤의 격조를 보여주는 귀한 춤이다. 동래학춤의 예능보유는 춤과 구음분야로 구분된다. 구음 예능보유자인 유금선(1931~2014)은 동래학춤의 구음 예능보유자로, 동래권번의 마지막 기생이었다. 수많은 놀이판을 편력한 구음으로 동래학춤을 더욱 흐드러지게 해 주었는데, 지난 여름 작고하였다. 춤의 예능보유자 후보인 이성훈은 열다섯에 춤을 평생의 목표로 삼고 부산시립무용단 수석무용수까지 했지만, 동래의 민속춤들에 매료되어 30대부터 동래의 춤을 배우기 시작했고, 40세부터 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로 적을 옮기고 본격적으로 동래학춤을 추었다. 동래학춤의 반주음악은 굿거리장단으로 느리게 시작하여 조금씩 빨라진다. 농악 악기로 편성되며, 경상도 특유의 배기기 장단이 있고, 북소리가 두드러진다. 야외공연에서는 쇠 하나, 징 하나에 네 개의 장구와 네 개의 북으로 반주한다.
○ 지도 및 특별출연/이성훈(부산시 무형문화재 제3호 동래학춤 보유자 후보) ○ 춤/이종호·김태훈·박상주·김청우·정현도·김진우 ○ 구음·장구/김신영(객원), 꽹과리/정재욱(객원), 징/강병혁, 북/유지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