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사 산하천리국에(山河千里國): 천리 강토 이 나라에
내용
○ 2016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수요춤전, 영원한 무동 심소 김천흥 재조명[03.09.]의 네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처용무는 신라 시대의 처용설화에서 유래된 가면 춤으로 춤의 내용이 악귀를 쫓고 복을 비는 내용이다. 오늘날에는 5인이 각각 5방색 청(동) 홍(남) 황(중앙) 흑(북) 백(서)의 옷을 입고 추는 춤으로 호방하고 장중하며 화려한 것이 특징이다. 이왕직아악부에서 전승된 처용무를 1971년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로 지정하였으며, 보유자는 김천흥, 김기수, 봉해룡, 김태섭, 김용이었다. 또한 처용무는 인류 문화로서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인정받아 2009년 9월 30일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린 제4차 무형문화유산정부간위원회에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춤/한국전통문화연구원 - 윤연희(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이수자)·정금희(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이수자)·김경진(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이수자)·최효선(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이수자)·최순희(중요무형문화재 제40호 학연화대합설무 이수자) ○ 음악/국립국악원 정악단, 전통음악그룹 '판'(유인상)
동영상 - 2016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수요춤전, 영원한 무동 심소 김천흥 재조명[03.09.]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6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수요춤전, 영원한 무동 심소 김천흥 재조명[03.09.] - 04. 처용무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