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2016 토요명품공연: 세계 속의 우리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01.16.]의 다섯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작법은 절에서 재(齋)를 올릴 때 추는 불교의식무용을 지칭한다. 현재 작법은 대표적인 불교의식인 영산재를 통해 잘 살펴볼 수 있으며, 대표적인 작법으로는 법고춤, 바라춤, 나비춤, 타주춤 네 가지를 들 수 있다. 법고춤은 법고를 치며 고통으로부터 해탈되도록 하는 염원을 담아 추며, 바라춤은 금속 타악기인 바라를 들고 부처를 찬양하고 중생을 천도하는 뜻에서 추는 춤으로 느리게 시작하여 빠른 장단의 강렬한 춤으로 연결된다. 나비춤은 승려의상에 고깔을 쓰고 나비가 사방으로 날아서 연꽃에 앉아 하늘로 올라가는 것을 표현한다. 타주춤은 손에 타주채를 들고 팔정도를 상징하는 기둥을 중심으로 돌면서 불보살의 공덕을 찬미한다. 영산재는 1973년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되었으며, 2009년 유네스코위원회의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선정되었다. ○ 반주/이종호·양선희, 음향/조은주 ○ 범종/최병재, 목어/박성호, 운판/김태훈, 법고/최경자, 뒷북/김영신, 타주/장민하·김혜영 ○ 나비/김혜자·백진희·이지연·김태은·유재연·최성희, 바라/안덕기·박상주·김청우·정현도·김서량, 태평소/이호진
음향 - 2016 토요명품공연: 세계 속의 우리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01.16.] - 01. 종묘제례악
음향 - 2016 토요명품공연: 세계 속의 우리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01.16.] - 04. 남창가곡 우조 언락·여창가곡 우조 우락
음향 - 2016 토요명품공연: 세계 속의 우리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01.16.] - 06. 무을농악
음향 - 2016 토요명품공연: 세계 속의 우리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01.16.]
동영상 - 2016 토요명품공연: 세계 속의 우리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01.16.]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6 토요명품공연: 세계 속의 우리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01.16.] - 05. 영산재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