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창가곡 우조 언락 1장)벽사창이 어룬어룬커늘 2장) 임만 여겨 펄떡 뛰어 나가 보니 3장) 임은 아니 오고 명월(明月)이 만정(滿庭)헌데 벽오동(碧梧桐) 젖은 잎에 봉황(鳳凰)이 와서 긴 목을 후여다가 깃 다듬는 그림자로다 4장) 마초아 5장) 밤일세 망정 행여 낮이런들 남우일번 허여라 ○ 여창가곡 우조 우락 초장)바람은 지동치듯 불고 2장)구진비는 붓드시 온다 3장)눈정에 거룬 님은 오늘밤 서로 만나자하고 판첩처서에 맹서받았더니 이 풍우 중에 제 어이오리 4장)진실로 5장)오기곧 오량이면 연분인가 하노라
내용
○ 2016 토요명품공연: 세계 속의 우리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01.16.]의 네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가곡(歌曲)은 시조시를 얹어서 노래하는 5장 형식의 성악곡이다. 가곡의 전신(前身)은 삭대엽인데 이는 임진왜란 직후인 17세기 초반부터 발달하기 시작했다. 17세기와 18세기를 거치면서 삭대엽은 다양한 파생곡을 낳았으며, 원곡과 파생곡의 관계에 따라 초수대엽, 이수대엽, 삼수대엽 등의 이름이 붙여졌다. 18세기 후반에는 '농','낙','편'의 이름이 붙는 악곡들이 만들어졌는데 이는 좀 더 가볍고 통속화된 경향의 음악들이다. 16박과 10박 한 장단의 곡으로 나뉘며, 19세기 중반에 이르게 되면 삭대엽 파생의 마지막 단계인 태평가가 만들어져 가곡은 초수대엽부터 태평가까지 20여곡의 거대한 세트를 이루게 되며, 남창·여창 또는 남녀창으로 구분된다. 1969년 한국의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로 지정되었고, 2010년 세계유네스코위원회의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선정되었다. ○ 노래/문현·이준아 ○ 피리/이건회, 대금/노붕래, 해금/윤문숙, 단소/김영헌 ○ 가야금/장경원, 거문고/김미숙, 장구/홍석복
음향 - 2016 토요명품공연: 세계 속의 우리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01.16.] - 01. 종묘제례악
음향 - 2016 토요명품공연: 세계 속의 우리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01.16.] - 04. 남창가곡 우조 언락·여창가곡 우조 우락
음향 - 2016 토요명품공연: 세계 속의 우리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01.16.] - 06. 무을농악
음향 - 2016 토요명품공연: 세계 속의 우리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01.16.]
동영상 - 2016 토요명품공연: 세계 속의 우리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01.16.]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6 토요명품공연: 세계 속의 우리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01.16.] - 04. 남창가곡 우조 언락·여창가곡 우조 우락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