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창 _ 삼수대엽 초장 도화(桃花) 이화(李花) 행화(杏花) 방초(芳草)들아 2 장 일년춘광(一年春光)을 한(恨)치마라 3 장 너희는 그리허여도 여천지무궁(與天地無窮)이라 4 장 우리는 5 장 백세(百歲)뿐이니 그를 설워 허노라 ○ 여창 _ 두거 초장 일각(一刻)이 삼추(三秋)라 허니 2 장 열흘이면 몇 삼추(三秋)오 3 장 제 마음 즐겁거니 남의 시름 생각허랴 4 장 천리(千里)에 5 장 임 이별 허고 잠 못 일워 하노라 ○ 남창 _ 소용 초장 불 아니 땔지라도 절로 익는 솟과 2 장 여무죽 아니 먹여도 크고 살져 한 것는 말과 3 장 길삼 잘하는 여기첩(女妓妾)과 술 샘는 주전자(酒煎子)와 양부로 낳는 감은 암소 4 장 평생에 5 장 이 다섯 가지를 두량이면 부러울 것이 없에라 ○ 여창 _ 우락 초장 바람은 지동(地動) 치듯 불고 2 장 궂인 비는 붓드시 온다 3 장 눈 정(情)에 거룬 님을 오늘밤 서로 만나자 허고 판첩처서 맹서(盟誓) 받았더니 이 풍우중(風雨中)에 제 어이 오리 4 장 진실로 5 장 오기 곳 오 량이면 연분(緣分)인가 하노라
내용
○ 2013 하반기 정악단 정기공연: 우면 청산 가을을 노래하다-우조 '산봉우리에 오르다'[09.11.]의 두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가곡(歌曲)은 시조시(時調詩)를 노래하는 성악곡이다. 우리 전통음악 중에서 시조시를 노랫말로 삼아 부르는 성악곡으로는 가곡과 시조(時調)가 있는데, 가곡은 시조보다 훨씬 먼저 발생하여 널리 불리던 음악이다. 학자에 따라서 가곡의 발생을 고려시대로 추정하기도 하지만, 적어도 조선전기에는 가곡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대엽조(大葉調) 악곡이 불려진듯하다. 고려가요나 조선초기의 노래들은 강(腔)과 엽(葉)으로 구성되었는데, 엽은 오늘날의 '후렴'과 비슷하고, 이것이 확대된 것이 대엽이다. 악곡의 후반에 대엽이 붙어있는 곡으로는 정과정(鄭瓜亭, 眞勺)이 대표적이다. 가곡은 영산회상과 더불어 풍류방을 대표하는 음악일 뿐만 아니라, 조선후기 궁중에서 연행됨으로써 관악 중심의 대규모 반주를 통하여 자진한잎 '사관풍류'계통의 기악곡을 파생시키기도 하면서 우리 전통음악의 연주곡목을 확대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대중성이 강한 시조창의 형성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인접장르인 가사(歌詞)와 더불어 정가(正歌)의 맏형으로서 우리나라의 성악문화를 이끌고 있다. 일찍이 최남선(崔南善, 1890~1957)은 이와 같은 가치를 인정하여 판소리·범패와 더불어 가곡을 우리나라 3대 성악곡의 하나로 꼽은 바 있다. ○ 남창/김병오(삼수대엽)·이정규(소용), 여창/조일하(두거)·이준아(우락) ○ 피리/김성진, 대금/김상준, 단소/이결, 해금/전은혜, 거문고/김미숙, 가야금/김윤희, 장구/안성일
동영상 - 2013 하반기 정악단 정기공연: 우면 청산 가을을 노래하다-계면조 ’달빛 사이 흐르는 노래’ [09.12.] 클린본 - 01. 초수대엽 ’청석령’, 이수대엽 ’언약이’
동영상 - 2013 하반기 정악단 정기공연: 우면 청산 가을을 노래하다-계면조 ’달빛 사이 흐르는 노래’ [09.12.] 클린본 - 02. 중거 ’청풍북창하에’, 평거 ’초강어부들아’, 삼수대엽 ’석양에’, 두거 ’임술지’, 언롱 ’이태백’, 평롱 ’북두칠성’
동영상 - 2013 하반기 정악단 정기공연: 우면 청산 가을을 노래하다-계면조 ’달빛 사이 흐르는 노래’ [09.12.] 클린본 - 03. 계락 ’철총마’, 계락 ’청산도’, 언편 ’한송정’, 편수대엽 ’모란은’
동영상 - 2013 하반기 정악단 정기공연: 우면 청산 가을을 노래하다-계면조 ’달빛 사이 흐르는 노래’ [09.12.] 클린본 - 04. 태평가
동영상 - 2013 하반기 정악단 정기공연: 우면 청산 가을을 노래하다-계면조 '달빛 사이 흐르는 노래' [09.12.] 클린본
동영상 - 2013 하반기 정악단 정기공연: 우면 청산 가을을 노래하다-우조 '산봉우리에 오르다'[09.11.] 클린본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3 하반기 정악단 정기공연: 우면 청산 가을을 노래하다-우조 ’산봉우리에 오르다’[09.11.] 클린본 - 02. 삼수대엽 ’도화이화’, 두거 ’일각이’, 소용 ’불 아니’, 우락 ’바람은’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