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장)홍매화 떨어진 잔에 봄눈이 녹지 않았나 싶고중장)술잔에 비친 홍색은 꽃구경할 때 풍경이로다종장)아이야 새술 걸러라 새봄맞이
내용
○ 2015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토요정담: 그리고 풍류 한 잔[04.04.]의 두 번째 프로그램○ 팸플릿 수록 내용 초장, 중장, 종장으로 구성된 우리 민족 고유의 정형시와 그 시를 일정한 장단과 가락에 얹어 부르는 노래, 둘 다를 모두 시조(時調)라 한다. 시조시를 가사로 부르는 노래로는 가곡(歌曲)과 시조, 두 가지 장르가 전승되고 있는데, 가곡은 가야금, 거문고, 대금, 해금, 피리, 장구 등 관현악을 모두 갖추고 엄격한 형식으로 노래를 하는데 비해 시조는 보다 대중적인 형식이어서 대금이나 피리 등 한 두 개의 관악기만 있어도 충분하다. 짧은 가사를 길게 늘여 부르기 때문에 그 사이에 다양한 목구성과 꾸밈음을 사용하는 변화를 즐기는 것이 시조 감상의 묘미이다. 몇 가지 일정한 곡조에 상황에 알맞은 시조시를 얹어 부르는데, 오늘은 대동여지도를 만든 김정호 선생이 붉은 진도 홍주를 보고 지은 시를 평시조 가락에 얹어 부른다. ○ 노래/이준아, 대금/문응관, 장구/안성일○ 작시/김정호
동영상 - 2015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토요정담: 그리고 풍류 한 잔[04.04.]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5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토요정담: 그리고 풍류 한 잔[04.04.] - 02. 평시조 ’홍매화’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