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국립국악원 '사직대제' 복원 VCD 동영상의 전체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토지와 곡식의 신에게 올리는 사직대제(社稷大祭)는 역대 왕들의 제사인 종묘제례(宗廟祭禮)와 함께 조선시대 가장 중요한 국가제례 중 하나였습니다. 이번 공연은 정조대왕 대에 만들어진 '사직서의궤'(1783)를 바탕으로,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이 고증하여 무대에 올린 것입니다. * 절차 1) 영신迎神 - 신을 맞이하는 의식 · 악명: 순안지악順安之樂(임종궁‧유빈궁‧응종궁‧유빈궁) · 일무: 열문지무烈文之舞 2) 전폐奠幣 - 신에게 폐백을 올리는 의식 · 악명: 숙안지악肅安之樂(응종궁) · 일무: 열문지무烈文之舞 3) 진찬進饌 - 신을 위한 제수(祭需)를 올리는 의식 · 악명: 옹안지악雍安之樂(태주궁) · 일무: 없음 4) 초헌初獻 - 신에게 첫 번째 술잔과 축문을 올리는 의식 · 악명: 수안지악壽安之樂(응종궁) · 일무: 열문지무烈文之舞 · 악명서안지악舒安之樂 태주궁 · 일무: 교체 5) 아헌亞獻 - 신에게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 · 악명: 수안지악壽安之樂(태주궁) · 일무: 소무지무昭武之武 6) 종헌終獻 - 신에게 마지막 술잔을 올리는 의식 · 악명: 수안지악壽安之樂(태주궁) · 일무: 소무지무昭武之武 7) 음복飮福 - 초헌관이 복주(福酒)를 마시는 의식 · 악명: 없음 · 일무: 없음 8) 철변두徹籩豆 - 제사에 쓰인 제물을 거두어 들이는 의식 · 악명: 옹안지악雍安之樂(응종궁) · 일무: 없음 9) 송신送神 - 신을 보내는 의식 · 악명: 순안지악順安之樂(송임종궁) · 일무: 없음 10) 망료望燎 - 제사에 쓰인 축문과 폐백을 태우는 의식 · 악명: 없음 · 일무: 없음 ○ 연주/국립국악원 정악단, 제례/사직대제 보존회, 일무/일무보존회
동영상 - 국립국악원 ’사직대제’ 복원 공연 영상[2014.12.12.] - 국립국악원 ’사직대제’ 복원 공연
동영상 - 국립국악원 '사직대제' 복원 VCD 동영상[2014.12.12.]
텍스트 - 국립국악원 '사직대제' 복원 CD 와 내지[2014.12.12.]
텍스트 - 국립국악원 '사직대제' 복원 VCD 와 내지[2014.12.12.]
동영상 - 국립국악원 '사직대제' 복원 공연 영상[2014.12.12.]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국립국악원 ’사직대제’ 복원 VCD 동영상[2014.12.12.] - 01. 사직대제(영신-전폐-진찬-초헌-아헌-종헌-음복-철변두-송신-망료)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