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면 언롱 초장) 이태백(李太白)의 주량(酒量)은 긔 어떠허여 2장) 일일수경삼백배(一日須傾三百盃)허고 3장) 두목지(杜牧之) 풍채(風采)는 긔 어떠허여 주과양주귤만거(醉過楊州橘滿車)런고 4장) 아마도 5장) 이둘의 풍도(風度)는 못 미츨가 허노라 ○ 계면 평롱 초장) 북두칠성 하나 둘 서이 너이 다섯 여섯 일곱분께, 2장) 민망한 발괄〔白活〕 소지(所持)한 장(張) 아뢰나이다 3장) 그리던 임을 만나 옛 말쌈 채 못하여 날이 쉬 새니 글로 민망 4장) 밤중만 5장) 삼태성(三台星) 차사(差使) 놓아 샛별없이 허소서
내용
○ 2014 토요명품공연: 종합 나형[05.24.]의 두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가곡(歌曲)은 조선시대 선비들의 풍류방에서 즐기던 전문 성악가의 노래로, 짧은 시조시를 관현악 반주에 얹어 부른다. 고려가요를 모태로 하여 조선후기 때 오늘날 가곡의 형태가 만들어졌는데, 우조와 계면조로 구분되며, 또 남자가 부르는 곡과 여자가 부르는 곡이 달라 현재 남창(男唱) 26곡, 여창(女唱) 15곡이 전승되고 있다. 남자가 우조 초수대엽을 부르면 여자가 우조 이수대엽을 부르는 형식으로 남자와 여자 가객이 한 곡씩 번갈아 부르는데,대체로 느린 곡에서 빠른 곡으로 흐르며, 마지막에 남녀가 함께 부르는 태평가에서는 다시 느려진다. 가곡은 가야금, 거문고, 대금, 해금, 피리, 단소, 장구편성으로 반주를 하며, 처음에는 전주에 해당하는 대여음, 중간에는 간주에 해당하는 중여음을 연주해 격식을 갖춘다. 1969년 한국의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로 지정되었고, 2010년 세계유네스코위원회의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선정되었다. ○ 노래/김병오·이준아 ○ 피리/김성진, 대금/채조병, 해금/김주남, 거문고/윤성혜, 가야금/김윰희, 단소/이종범, 장구/홍석복
음향 - 2014 토요명품공연: 종합 나형[05.24.] - 01. 대풍류
음향 - 2014 토요명품공연: 종합 나형[05.24.] - 02. 가곡 ’언롱’, ’평롱’
음향 - 2014 토요명품공연: 종합 나형[05.24.] - 03. 검기무
음향 - 2014 토요명품공연: 종합 나형[05.24.] - 04. 피리독주 ’염양춘’
음향 - 2014 토요명품공연: 종합 나형[05.24.] - 06. 도드리
음향 - 2014 토요명품공연: 종합 나형[05.24.] - 07. 살풀이
동영상 - 2014 토요명품공연: 종합 나형[05.24.]
음향 - 2014 토요명품공연: 종합 나형[05.24.]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4 토요명품공연: 종합 나형[05.24.] - 02. 가곡 ’언롱’, ’평롱’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