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국악누리는 국악을 비롯한 전통 문화 전반을 다루는 국내 유일의 국악 전문지로 국립국악원 국악진흥과에서 기획, 편집하여 격월로 발간되고 있음. 국악 관련 기사를 수록해 국악 저변 확대 및 국악의 이미지 제고와 대중화에 기여하고, 국악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하며, 국악 공연의 관객 개발 및 기관 인지도 향상을 목적으로 함. 본 자료는 2015년 3월 발간된 '2015 국악누리 03+04월호(제142호)'의 내지, 표지 디자인.
내용
01. [사진 한 장]02. [기획-풍류사랑방 상설 공연] 풍류사랑방 상설 공연에 대해 답하다 ○ 기획운영단03. [기획-정악단․무용단 정기공연] 황제의 무대를 준비하며 ○ 김보람(국립국악원 진흥과)04. [공연 미리보기] 어느 봄날, 전통이 건넨 추억들이 쌓여간다 ○ 김산효(국악평론가, 국악방송 작가)05. [공연 다시보기] 국립민속국악원 판소리 마당 <창唱의 멋> ○ 최동현(군산대 국문과 교수)06. [특집-화하고악단 초청 중국 고대 음악 연주회] 중국의 옛 음악을 만나다, 두 번째 만남 ○ 문봉석(국립국악원 학예연구사)07. [특집-온 나라 국악경연대회] 온 나라 국악경연대회를 기다리며 ○ 김민선(객원 기자)08. 국립국악원 소식09. 예술단원 동정10. 국악지음 - 국립국악원 후원회11. [정민아의 그림이 들려주는 노래] ○ 정민아(극작가)12. [김연수의 소설가의 눈대목] ○ 김연수(소설가)13. [김수남의 노랫말 속 그곳] 산아 산아 추영산아, 놀기 좋다 유달산아 - 강강술래 ○ 김수남(여행작가)14. [유춘오가 만난 고집 있는 음악인들] 역사에서 국악을 다시 건져내다 ○ 유춘오(국악 잡지 라라 편집장)15. [편해문의 노래로 자라는 아이들] 세계가 깜짝 놀라는 ‘아이 어르는 노래’를 되살리자2 - 들강달강에서 자장자장까지 ○ 편해문(어린이책 작가)16. [고보석의 거문고 이야기] 좌금우서(左琴右書) ○ 고보석(국립국악원 정악단 단원)17. [서연호의 음악극의 시대] 창작 판소리의 의의와 한계 ○ 서연호(고려대 명예교수)18. [박성호의 벌인춤, 수다] 돌려라, 추어라 ○ 박성호(국립국악원 무용단 단원)19. [김용호의 굿과 향토 음식] 남해안 별신굿과 통영 꿀빵 ○ 김용호(국립남도국악원 기악단 악장)20. [오미환의 책으로 만나는 국악] 조선 최고 지성들의 낭만 클럽, 백탑파의 음악 풍류 ○ 오미환(한국일보 문화부 선임기자)21. [김우성의 소리소반] 나물, 비빔밥, 기지개를 켜다 ○ 김우성(YTN라디오 피디)22. [공연만평] 아티스트 숨[su:m]의 이미지를 호흡하다 - 숨 2nd 공연 ○ 송혜진(숙명여대 전통문화예술대학원 교수)23. [국악 백년대계] 가야금 소리에 실어 보는 아이들의 꿈 ○ 권정미(합천 남정초 교사)24. 국민제언25. 국악원 밖 소식○ 발간등록번호/11-1370132-000057-06○ 비매품
이미지 - 2015 국악누리 03+04월호[2015.03.] 삽화 ‘노래로 자라는 아이들’
이미지 - 2015 국악누리 03+04월호 : 제142호[2015.03.] 표지그림 ''국악을 대하는 나의 자세 - 자화상_self portrait(차미란)'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는 기록입니다.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2015 국악누리 03+04월호 : 제142호[2015.03.] 내지, 표지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