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이 없습니다.
내용
○ 국립국악원 정악단 연주회: 한국 전통음악의 세계 '영산회상' [2012.03.27.]의 첫 번째 프로그램 ○ 프로그램 해설 부처님을 노래한 영산회상은 여러 가지로 연주된다. 즉 이름을 알 수 없는 우리 선조 음악인들은 원래의 영산회상을 변주해 평조회상과 관악영산회상을 만들었다. 그리고 영산회상에 다른 곡을 곁들여 연주하는 관습을 만들어 이를 후세에 전해주었다. 이렇게 연주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보통 이를 별곡(別曲), 혹은 정상지곡(呈祥之曲)이라고 한다. 가진회상은 이 중 하나이다. 물론 가진회상의 주 음악은 영산회상이다. 여기에 도드리와 천년만세(千年萬歲)로 불리는 계면가락도드리ㆍ양청도드리ㆍ우조가락도드리를 곁들여 연주한다. 즉 상령산에서 시작하여 도드리장단으로 된 제5곡 삼현도드리 제4장 끝 장단에서 거문고에 의한 도드리 선율로의 전환 신호로 도드리로 넘어가고, 다시 도드리 제7장 끝에서 삼현도드리 제4장으로 넘어와 군악까지 연주하고, 이어서 천년만세의 3곡을 계속 연주한다. 각 악기가 하나로 편성되어 조용한 세악(細樂)으로 연주되는 이 가진회상은 특이한 음악적 세계와 맛을 창출한다. 즉 대부분이 불교적 세계를 그 사상적 배경으로 한 영산회상에 도교적 배경을 지닌 보허자(步虛子)에서 파생된 도드리계통의 음악을 곁들여 타는 새로운 방법이 고안된 것이다. 그것도 다음과 같이 아주 특이하게 고안되었다. 위와 같은 음악적 변신으로 인해 가진회상은 처음의 명상적 고요함이 엄숙함으로, 경쾌함으로, 우아함으로, 짧은 격렬함을 거쳐 다시 우아함으로 무쌍하게 바뀌어가는 맛의 세계를 창조해가는 음악이 되었다. ㅇ 피리/나영선·홍현우, 대금/이상원·김영헌, 해금/류은정·전은혜, 거문고/홍선숙·김치자·김미숙·채은선·윤성혜·이방실·고보석·도경태(객원)·김준하(객원), 가야금/유연숙·채성희·장경원·이종길·이유나·김윤희·고연정·강효진·정지영, 양금/조유회, 단소/채조병, 장구/홍석복
동영상 - 국립국악원 정악단 연주회: 한국 전통음악의 세계 ’영산회상’ [2012.03.27.] - 01. 가즌회상
동영상 - 국립국악원 정악단 연주회: 한국 전통음악의 세계 ’영산회상’[2012.03.28.] - 01.평조회상
동영상 - 국립국악원 정악단 연주회: 한국 전통음악의 세계 ’영산회상’[2012.03.28.] - 02. 관악영산회상
음향 - 국립국악원 정악단 연주회: 한국 전통음악의 세계 ’영산회상’[2012.03.28.] - 02. 관악영산회상
음향 - 국립국악원 정악단 연주회: 한국 전통음악의 세계 ’영산회상’[2012.03.28.] - 01. 평조회상
음향 - 국립국악원 정악단 연주회: 한국 전통음악의 세계 '영산회상'[2012.03.28.]
동영상 - 국립국악원 정악단 연주회: 한국 전통음악의 세계 '영산회상' [2012.03.27.]
동영상 - 국립국악원 정악단 연주회: 한국 전통음악의 세계 '영산회상'[2012.03.28.]
복합 - 국립국악원 정악단 연주회: 한국 전통음악의 세계 '영산회상'[2012.03.27.~28.] 포스터
건물 보수공사로 인하여 시청각자료에 대한 편집 서비스가 일시 중단 될 예정입니다. 5.12(월) 부터 순차적으로 서비스 될 예정이오니 이용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국립국악원 정악단 연주회: 한국 전통음악의 세계 ’영산회상’ [2012.03.27.] - 01. 가즌회상 ’상령산-중령산-세령산-가락더리-삼현도드리-도드리-돌장-하현도드리-염불도드리-타령-군악-계면가락도드리-양청도드리-우조가락도드리’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