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상세

R. Garfias 채록 음향자료 ’한국궁중음악’[미상] - 01. 가곡 ’편수대엽’

조회 126 0 0

○ 계면조 편수대엽 진국명산만장봉(鎭國名山萬丈峯)이 청천삭출금부용(靑天削出金芙蓉)이라 거벽(巨擘)은 흘립(屹立)하여 북주삼각(北主三角)이요 기암(奇巖)은 두기(陡起)하여 남안잠두(南案蠶頭)로다 좌룡락산(左龍駱山) 우호인왕(右虎仁旺) 서색(瑞色)은 반공응상궐(蟠空凝象闕)이요 숙기(淑氣)는 종영(鐘英) 출인걸(出人傑)하니 미재(美哉)라 아동산하지고(我東山河之固)여 성대태평(聖代太平) 의관문물(衣冠文物)이 만만세지금탕(萬萬世之金湯)이로다 연풍(年豊)코 국태민안(國泰民安)하여 구추황국단풍절(九秋黃菊丹楓節)에 인유이봉무(麟遊而鳳舞)커늘 면악등림(面嶽登臨)하여 취포반환(醉飽盤桓)하오면서 감격군은(感激君恩)이샷다

  • 등록번호 A027056
  • 기록 분류정악>성악>가곡>남창>계면조>편수대엽 
  • 기록 일시9999.01.01 - 9999.12.31
  • 기록 장소미상
  • 소장처국악아카이브실
  • 기록유형음향
  • 저장매체스토리지

내용

○ R. Garfias(로버트 가피어스) 선생이 미상의 일시에 미상의 장소에서 촬영한 '가곡 '편수대엽''의 음향자료. 이왕직아악부에서 일제 강점기에 발매한 아악 유성기음반을 녹음한 음원 자료다. 가피아스 교수는 현재까지 78rpm으로 녹음된 심상건의 중중모리 음악을 소장하고 있으며, 한국의 음악을 조사하고 이혜구·성경린·장사훈 등 학자들과 교류하며, 옛 한국음악을 담고 있는 유성기음반에 대해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 자료에는 1. 가곡 편수대엽 2. 송구여지곡 또는 수연장지곡 3. 종묘제례악 4. 세악-생황과 함께 방중악 5. 수제천 6. 생황과 가곡 반주 평롱 7. 종묘제례악 8. 가곡 언롱 등이 수록되어 있다. A027056 자료 중 첫 번째 곡인 <편수대엽>은 박 소리와 함께 시작해서 대여음 없이 바로 노래가 나온다. 역시 박을 세 번 치고 악곡이 끝난다.
○ 연주/이왕직아악부

관련자료

관련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