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상세

R. Garfias 채록 음향자료 ’한국궁중음악’[미상] - 04. 가곡 ’계락’

조회 151 0 0

○ 계면조 계락 초장) (철)총마(鐵驄馬) 타고 보라매 받고 2장) 백우장전(白雨長箭) 천근각궁(千斤角弓) 허리에 띠고 3장) 산 넘어 구름 지나 꿩 사냥하는 저 한가한 사람 4장) 우리도 5장) 성은(聖恩) 갚은 후에 너를 좇아 놀리라

  • 등록번호 A027054
  • 기록 분류정악>성악>가곡>남창>계면조>계락 
  • 기록 일시9999.01.01 - 9999.12.31
  • 기록 장소미상
  • 소장처국악아카이브실
  • 기록유형음향
  • 저장매체스토리지

내용

○ R. Garfias(로버트 가피어스) 선생이 미상의 일시에 미상의 장소에서 촬영한 '가곡 '계락''의 음향자료. 이왕직아악부에서 일제 강점기에 발매한 아악 유성기음반을 녹음한 음원 자료다. 가피아스 교수는 현재까지 78rpm으로 녹음된 심상건의 중중모리 음악을 소장하고 있으며, 한국의 음악을 조사하고 이혜구·성경린·장사훈 등 학자들과 교류하며, 옛 한국음악을 담고 있는 유성기음반에 대해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 자료에는 1. 보태평지악-기명, 귀인(종묘제례악) 2. 가곡 언락 벽사창 3. 영산회상 세령산 4. 가곡 계락 5. 별우조타령 6. 가곡 언편 7. 만파정식지곡 등이 수록되어 있다. <계락>은 ‘한국궁중음악’이라고 이름 붙여진 A027054 자료의 4번째 음원인데, “철총마 타고”라는 노랫말 중 첫 음절이 들리지 않고 “총마 타고”부터 녹음되어 있어서 원래의 유성기음반의 가장 앞부분이 녹음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계락>과 마찬가지로 역시 박을 세 번 치고 악곡이 끝난다. 악곡의 처음 부분에서 박을 한 번 치고 시작하는데 유성기음반에서 재생되는 소리를 녹음하는 과정에서 앞부분은 미처 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 연주/이왕직아악부

관련자료

관련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