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상세

R. Garfias 채록 음향자료 ’민요 6곡’[미상] - 01. 범벅타령

조회 107 1 0

<범벅타령> 어리야 둥글 범벅이야 둥글둥글 범벅이야 이 도령은 본낭군이요 김 도령은 훗남자라 이 도령은 멥쌀 범벅 김 도령은 찹쌀 범벅 기집년에도 거동봐라 이도령이 외방장사를 나간다고 민비 쪽두레 봐가지고 외방장사를 나간다고 기집년에도 거동봐라 외방장사 나간다면 언제 오마늘 일러주오 이도령이 허는 말이 외방장사가 잘 되며는 석달 열흘이 된다하니 기집년에 거동을 봐라 이도령을 눈치줄고 건너말 김도령 기다릴제 산을 넘고 고개를 넘어 이도령집 다다르니 문을 여오 문을 여오 내가 왔으니 문을 여오 기집년의 거동봐라 김도령 목소릴 알아듣고 육간대청 시련 치마를 잘잘 끌며 나오면서 중문을 열고 큰문 열고 열상수 내사랑아 김도령을 들여놓고 중문 닫고 크난 문 닫고 방문을 치어다 보느냐 소란반자 굽어 살피니 각장장판 샛별같은 놋요강은 이리 저리 펼쳐놓고 송공단 이불을 펼쳐놓고 모란병풍 둘러치고 와룡촛대 불밝히고 잣베개를 훨씬 비고 잔풍밭에 금니나 놀 듯 이리 둥실 저리 둥실 잘도 논다 이도령의 거동을 봐라 외방장사 나간다고 뒷동산에 ○○○○ 밤은 점점 야삼경에 문을 여오 문을 여오 내가 왔으니 문을 여오 기집년의 거동을 봐라 이도령 목소릴 알아듣고 김도령 처치를 어이하나 삼대사대 가려놓은 고목 뒤주를 열고보니 김도령을 넣어를 놓고 금거북 자물쇠로 어슥비슥이 잠겨 놓고 못살겄네 못살겄네 이도령 등살에 못살것네 문을 열고 허는 말이 외방장사 나간다면 석달열흘이 된다더니 아닌 밤중에 웬일이오 이도령 허는 말이 외방장사가 안되길래 산을 넘고 물을 건너 돌팔이한테 물었더니 외방장사가 안 되길래 돌팔이 한테 물었더니 삼대 사대 나려오는 시간지 그물이 탓이라서 화장 불사를 하러왔네 기집년이 허는 말이 시간지 그물은 그만한데 화장불사가 웬일이요 이도령은 헛말 없이 방문을 덜컥 열고 새끼서발 끊어다가 뒤주 다리를 얼기설기 걸머를 지고 뒷동산으로 올라가서 김도령에도 거동봐라 빨간 몸통이 들앉어서 오줌잘잘 싸는구나 뒷동산에 올라를 가서 잠근 문을 열고보니 빨간 몸둥이 들앉었네 널 죽일 것이 무엇이냐 내 집 기집년의 행실걸로 내 눈앞에 보이지 말고 멀리 멀리 어서 가거라 김도령을 보낸 후에 빈 뒤주를 화장하고 화장한지도 삼일만에 기집년의 거동을 봐라 김도령 죽은줄 꼭 알고서 삼색 과일 사가지고 높은 산으로 올라가서 이리 저리 들쳐놓고 왜죽었소 왜죽었소 날버리고 왜죽었소 다려가오 다려가오 혼이라도 다려가오 넋이라도 다려가오 이도령의 거동을 봐라 높은 산에 올라를 가서 머리채를 휘어잡고 엎어놓고 목을 칠면 자차놓고 배를 치며 기집년의 허는 말이 마오 마오 그리를 마오 당신이 살면 천년사나 내가 살면은 만년사나 의만 좋으면 그만이지 금슬이 좋으면 그만이지 이월에는 시래기 범벅 삼월에는 쑥범벅 사월에는 수리치 범벅 오월에는 느티 범벅 유월에는 밀범벅이요 팔월에는 호박범벅 구월에는 귀리 범벅 시월에는 무시루 범벅 동짓달에 동지 범벅 섣달에 흰떡 범벅 열두가지 범벅을 다개우면 아이고 지고 설운지고 왜죽었소 왜죽었소 옥같은 나를 죽이자고 어서 가고 어서 갔네 <노랫가락> 기러기 후루 다 날어가니 임의 소식을 뉘전하리 언제나 김도령 만나서 꽃피는 동산에 잘놀거나

0
  • 등록번호 A027055
  • 기록 분류민속악>성악>민요>통속민요>경기>범벅타령 
  • 기록 일시9999.01.01 - 9999.12.31
  • 기록 장소미상
  • 소장처국악아카이브실
  • 기록유형음향
  • 저장매체스토리지

내용

○ R. Garfias(로버트 가피어스) 선생이 미상의 일시에 미상의 장소에서 촬영한 '민요 6곡'의 음향자료. 경기민요 명창 이진홍·묵계월·김옥심·이은주가 부른 경기민요 6곡으로, 대금·피리·해금·가야금·장구로 반주하고 있다. 이 중 <범벅타령>은 서사 민요로, <장대장타령>과도 유사한 내용으로 되어 있으며, 부르는 이마다 가사 구성이 달라지므로 가사를 채록하여 아래에 첨부하였다. <범벅타령>의 종지는 노랫가락을 붙여 하게 되는데, 이는 서사 민요에서 종지를 확실히 하기 위해 채택하는 방식 중 하나다.
○ 소리/이진홍·묵계월·김옥심·이은주 ○ 대금·피리·해금·가야금·장구/미상

관련자료

관련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