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면 언롱 이태백의 주량은 긔 어떠허여 일일수경(一日須傾) 삼백배(三百盃)허고 두목지(杜牧之) 풍채(風采)느 긔 어떠허여 취과양주(醉過楊洲) 귤만거(橘滿車)런고 아마도 둘의 풍도(風度)는 못 미츨가 허노라 ○ 계락(여창, 청산도) 청산(靑山)도 절로절로 녹수(綠水)라도 절로절로 산(山) 절로절로 수(水) 절로절로 산수간(山水間)에 나도 절로절로 우리도 절로절로 자란 몸이니 늙기도 절로절로 늙으리라
내용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10.06.]의 세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언롱'과 '계락'은 관현악 반주에 시조를 얹어 부르는 전통 가곡의 종류이다. 언롱은 초장을 높게 질러내고 2장 이하는 흥청거리는 창법으로 부르는 특징을 가진다. 가장 널리 불리는 남창가곡 계면 언롱은 하루 삼백 잔을 마시는 이태백의 주량과 여성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당나라 시인 두목지의 수려한 풍채와 태도를 부러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계락'은 유유자적하고 흥겨운 분위기의 가곡으로, 자연 속에 사는 인간의 모습을 노래하는내 용이다. ○ 출연/국립국악원 정악단 - 노래/문현·조일하 - 피리/김철, 대금/노붕래, 해금/김용선, 가야금/이명하, 거문고/윤성혜, 단소/이승엽, 장구/홍석복
동영상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10.06.] - 01. 영산회상 ’염불·타령’
동영상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10.06.] - 02. 거문고산조
동영상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10.06.] - 04. 공막무
동영상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10.06.] - 06. 장고춤
동영상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10.06.] - 07. 사물놀이 선반
동영상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10.06.]
건물 보수공사로 인하여 시청각자료에 대한 편집 서비스가 일시 중단 될 예정입니다. 5.12(월)부터 순차적으로 서비스 될 예정이오니 이용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10.06.] - 03. 가곡 <언롱·계락>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