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2018 국립국악원 정악단 정기공연: 우리가 사랑하는 정악풍류 '영산회상'[09.20.]의 첫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현악영산회상은 아홉 곡의 모음곡을 모두 연주하는 표준형이다. 거문고가 악곡의 중심을 이루며, 합주 할 때는 가야금, 양금과 대금, 피리, 해금, 단소, 장구를 각 한 개씩 편성하는 '단잽이' 연주 형태다. 맨 처음 곡 상령산을 시작할 때는 거문고가 첫 선율 단락을연주하다가, 여러 악기들이 합세하는 식으로 연주하는 것이특징이다. 느린 속도로 연주되는 거문고 독주의 느낌이 아주 멋스럽다. 두 번째 곡 중령산도 상령산과 같이 한 장단이 20박이고, 장고 장단도 같지만, 음역이 높게 변한다.세 번째 곡 세령산은 한 장단이 20박으로 된 중령산을 한 장단 10박으로 변주하여 빠른 속도로 연주한 곡이고, 네 번째 곡 가락덜이는 세령산의 '가락을 덜어내면서' 단출하게 연주한다. 다섯 번째 곡 상현도드리부터 염불도드리는 한 장단이 6박인 '도드리장단'으로 구성되는데, 높은 음역의상현도드리에서 하현도드리로 넘어갈 때 음역이 낮아지는 동시에 속도가 느려짐으로써 분위기가 일시적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염불도드리는 2장 이후 중간쯤에서 속도가 조금씩 빨라지다가 마지막에 속도를 늦추어 다음 곡 '타령'으로 연결되는 되는데, 중간에 빨라진 부분을 '빠른 염불'이라고 한다. 여덟 번째 곡 타령은 춤곡 풍의 연주곡으로 활달한 악상으로 연주되며, 마지막곡인 군악은 높은 음역으로 행악의 느낌을 살려 연주된다. 특히 피리가 높은 음역을 연주하는 '쇠는 마루' 부분과, '높은 분이 행차를 하니 모두 말에서 내리라고 하며 호령하는' 것을 음악적으로 표현한 '권마성勸馬聲' 부분에 군악의 기상이 담겨있다. ○ 예술감독/유연숙 ○ 연주/국립국악원 정악단 - 피리/홍현우, 대금/김영헌, 가야금/고연정, 거문고/이방실, 양금/조유회, 장구/홍석복
동영상 - 2018 국립국악원 정악단 정기공연: 우리가 사랑하는 정악풍류 ’영산회상’[09.20.] - 01. 영산회상 ’상령산·중령산·세령산·가락덜이·삼현도드리·하현도드리·염불도드리·타령·군악’
동영상 - 2018 국립국악원 정악단 정기공연: 우리가 사랑하는 정악풍류 ’영산회상’[09.20.] - 02. 관악회상 ’상령산·중령산·세령산·가락덜이·삼현도드리·염불도드리·타령·군악’(표정만방지곡)
동영상 - 2018 국립국악원 정악단 정기공연: 우리가 사랑하는 정악풍류 '영산회상'[09.20.]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8 국립국악원 정악단 정기공연: 우리가 사랑하는 정악풍류 ’영산회상’[09.20.] - 01. 영산회상 ’상령산·중령산·세령산·가락덜이·삼현도드리·하현도드리·염불도드리·타령·군악’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