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상세

국립국악원 전승음악 악보: 해금 정악보[2015.12.31.] 음원 - 07-02. 취타(만파정식지곡) ’길군악(절화)’

  • 등록번호 A025959
  • 기록 분류정악>기악>취타 
  • 기록 일시2015.12.31 - 2015.12.31
  • 기록 장소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
  • 소장처국악아카이브실
  • 기록유형음향
  • 저장매체스토리지

내용

○ 국립국악원 전승음악 악보: 해금 정악보[2015.12.31.]의 취타(만파정식지곡)의 두 번째 음원

○ 수록내용
<취타>는 조선시대 취고수(吹鼓手)의 전통을 이은 행진음악 <대취타(大吹打)>를 관현악기에 맞추어 편곡한 곡으로, 임금의 행차, 군대의 행진 및 개선 의식 등에 쓰였다. 다른 이름으로 <만파정식지곡(萬波亭息之曲)>이라 부른다.
20세기 초 이왕직아악부가 편찬한 정악보에 ‘만파정식지곡’의 명칭으로 관악기 중심의 취타 악보가 등장한다. 1976년 국립국악원에서 처음으로 <취타>에 이어 <길군악>-<길타령>-<별우조타령>-<군악>을 계주(繼走)한 이래 현재까지 계주 형식으로 연주되어 왔다.
<관악취타>의 두 번째 악곡인 <길군악(길軍樂)>은 아명(雅名)으로 <절화(折花)>라고도 한다. 太·姑·林·南·潢의 다섯음을 주요 음으로 하는 평조 계열의 악곡이며, 다음 악곡인 <길타령>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가기 위하여 4장에서 계면조로 변조한다.
<길타령(길打令)>은 <취타>, <길군악>에 이어 세 번째로 연주하는 악곡으로, 아명(雅名)으로 <우림령(雨林鈴)> 또는 <일승월항지곡(一昇月恒之曲)>이라 부른다. 1각 12박의 빠른 타령장단에 총 4장으로 구성된다.
<별우조타령(別羽調打令)>은 <취타>, <길군악>, <길타령>에 이어 네 번째로 연주하는 악곡으로, 아명으로 <금전악(金殿樂)> 또는 <우조타령(羽調打令)>이라 부른다. <영산회상> 중 <타령>을 우조로 변조한 것으로 2장 중간에 다시 본연의 계면조 타령으로 환원한다.
<취타>의 마지막 악곡인 <군악(軍樂)>은 <영산회상>의 <군악>과 같다. 1각 12박 장단에, 총 4장으로 구성되며 3장 중간에 등장하는 ‘권마성’ 가락이 특징이다.
○ 연주/국립국악원 정악단

관련자료

이전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