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조 '녹수청산' 초장)녹수청산(綠水靑山) 깊은 골에 청려완보(靑藜緩步) 들어가니 중장)천봉(千峰)에 백운(白雲)이요 만학(萬壑)에 연무(烟霧)로다 종장)이곳이 경개(景槪) 좋으니 예와 놀려 (하노라) ○ 지름시조 '바람도' 초장)바람도 쉬여를 넘고 구름이라도 쉬여넘는 고개 중장)산진이 수진이라도 쉬여넘는 해동청(海東靑) 보라(甫羅)매라도 다 쉬여넘는 고봉장성령(高峯掌星嶺) 고개 종장)그 넘어 님이 왔다하며 나는 한번도 아니 쉬여 넘으리라
내용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07.14.]의 첫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시조(詩調)는 시조시를 장구 또는 대금, 피리, 해금 등의 반주에 맞춰 노래하는 성악곡이다. 초장, 중장, 종장의 간결한 형식에 삶의 희로애락을 담아낸 시조시는 가곡으로 노래하거나, 보다 단순한 시조창으로 불렀다. 시조의 음악 형식은 몇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 표준이 되는 것은 평시조(平詩調)이다. 지름시조는 말 그대로 지른다는 뜻으로, 초장의 첫째·둘째 장단을 높은 소리로 질러서 부르며, 중장과 종장은 평시조의 가락과 같다. ○ 출연/국립국악원 정악단 - 노래/홍창남·이준아 - 피리/윤형욱, 대금/김상준, 해금/윤문숙, 장구/박거현
동영상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07.14.] - 01. 시조 ’녹수청산’, 지름시조 ’바람도’
동영상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07.14.] - 02. 향발무
동영상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07.14.] - 03. 해금산조(한범수류)
동영상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07.14.] - 04. 승무(이매방류)
동영상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07.14.] - 05. 서도잡가 <공명가>
동영상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07.14.] - 06. 현악영산회상 상영산
동영상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07.14.] - 07. 기악합주 ’뱃노래·신뱃노래’
동영상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07.14.]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07.14.] - 01. 시조 ’녹수청산’, 지름시조 ’바람도’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