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창 우조 언락 초장)벽사창이 어룬 어룬커늘 2장) 임만 여겨 펄떡 뛰어 나가 보니 3장) 임은 아니 오고 명월(明月)이 만정(滿庭)헌데 벽오동(碧梧桐) 젖은 잎에 봉황(鳳凰)이 와서 긴 목을 후여다가 깃 다듬는 그림자로다 4장) 마초아 5장) 밤일세 망정 행여 낮이런들 남우일번 허여라 ○ 여창 우조 우락 초장)바람은 지동치듯 불고 2장)구진비는 붓드시 온다 3장)눈정에 거룬 님은 오늘밤 서로 만나자하고 판첩처서에 맹서받았더니 이 풍우 중에 제 어이오리 4장)진실로 5장)오기곧 오량이면 연분인가 하노라
내용
○ 2017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성악[10.28.]의 첫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가곡은 고려가요 진작을 기원으로 하는 오랜 역사와 많은 종류의 선율을 가진 성악곡이다. 조선시대에 선비들이 풍류방에서 시조시를 기악반주(거문고·가야금·해금·대금·세피리·단소·장구)에 맞춰 불렀다. <언락>은 여창에는 없고 오로지 '남창'에만 있는 노래인데다 옛날에는 언락을 '지르는 낙시조'라 불렀을 만큼 소리를 높이 질러내는 선율이 많아 화려한 남창 가곡의 맛을 감상할 수 있다. 여창 가곡 <우락>은 우조로 부르는 여창 가곡 다섯 곡(<이수대엽>, <중거>, <평거>, <두거>, <우락>) 중에서 속도가 가장 빠르고, 가락의 변화와 시김새가 멋스러워 여창 가객들이 즐겨 부르는 애창곡이다. ○ 출연/국립국악원 정악단 - 노래/홍창남·조일하 - 피리/김성진, 대금/노붕래, 해금/윤문숙, 가야금/이종길, 거문고/윤성혜, 단소/이승엽, 장구/안성일
동영상 - 2017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성악[10.28.] - 01. 가곡 ’언락·우락’
동영상 - 2017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성악[10.28.] - 03. 경기민요 ’한오백년·청춘가·창부타령’
동영상 - 2017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성악[10.28.] - 05. 평시조 ’국화야’, 사설지름시조 ’봉황대상에’
동영상 - 2017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성악[10.28.]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7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성악[10.28.] - 01. 가곡 ’언락·우락’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