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조시조 월정명(月正明) 월정명커늘 배를 저어 추강(秋江)에 나니 물 아래 하늘이요 하늘 가운데 명월(明月)이라 선동(仙童)아 잠긴 달 건져라 완월(玩月)하게 (하리라) ○ 우조 지름시조 초장)석인이 이승 황학거허니 차지에 공여 황학루이로다 중장)황학이 일거 불부반허니 백운천재 공유유로다 청천 역력 한양수여늘 방초처처 앵무주이로다 종장)일모 향관이 하처시이요 연파강상이 사인수를(하노라) 昔人已乘黃鶴去(석인이승황학거): 옛 사람은 이미 황학을 타고 떠났으니 此地空餘黃鶴樓(차지공여황학루): 여기 황학루만 쓸쓸히 남아있네 黃鶴一去不復返(황학일거불부반): 황학은 떠나서 돌아오지 않고 白雲千載空悠悠(백운천재공유유): 흰 구름은 천 년을 떠도네 晴川歷歷漢陽樹(청천역력한양수): 맑은 내 저 편엔 한양의 나무들 역력하고 芳草萋萋鸚鵡洲(방초처처앵무주): 앵무주엔 향그러운 풀만 무성하네 日暮鄕關何處是(일모향관하처시): 해는 저무는데 고향은 어느 쪽인가 煙波江上使人愁(연파강상사인수): 강엔 안개 일고 나그네 근심은 더해가네
내용
○ 2017 토요명품공연[07.29.]의 세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시조는 초장·중장·종장의 3장 형식으로 된 시조시에 3음·4음·5음 음계의 가락을 일정한 장단에 얹어서 느리게 부르는 노래이다. 그 선율은 조금 단조롭고 정적인 편이며, 기악 반주 없이 무릎장단만으로 부르거나 필요하면 관악기 한두 개 정도를 붙이기도 한다. ○ 출연/국립국악원 정악단 - 노래/이준아·김병오 - 피리/고우석, 대금/김휘곤, 해금/한갑수, 장구/홍창남
동영상 - 2017 토요명품공연[07.29.] - 01. 경풍년(관악합주)
동영상 - 2017 토요명품공연[07.29.] - 03. 시조 ’평시조’, ’지름시조’
동영상 - 2017 토요명품공연[07.29.] - 07. 판굿
동영상 - 2017 토요명품공연[07.29.]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7 토요명품공연[07.29.] - 03. 시조 ’평시조’, ’지름시조’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