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산타령 후렴)나 너 니나노 에 에허 에허 에헤야 에헤 어 에허이어 어루 산이로구나 에- 1절)천관악산 염불암은 연주대요 도봉불성 삼막으로 돌아든다 후렴)에헤 에헤 어디이 지어어허 에헤야 에헤 어 에허이어 어루 산이로구나 에- ○ 뒷산타령 후렴)나지나 산이로구나 에 두견아 에 나 나 지루에도 산이로구나- 1절)강원도 금강산에 유점사 법당안에 느릅나무 뿌리마다 서천서역국서 나온 부처 오십삼불이 분명하다 후렴)동소문밖 썩내달어 무내미 얼른지나 다락원서 돌처보니 도봉망월이 천축사라 ○ 자진산타령 1절)청산에 저 노송은 어이 누웠느냐 풍설을 못이겨서 꺾어져서 누웠느냐 에- 2절)바람이 불랴는지 그지간 사단을 뉘안단말이요 나무중둥이 거드렁 거리고 억수장마 질랴는지 만수산에 구름만 모여든다 에- 3절)산천경개 유산가자 관동팔경 구경하고 영동구읍 돌아드니 금강산 유점사가 분명하다 에- 어데가 경갤러냐 어데가 경좋더냐 우도로 서산 좌도로 청안 강릉 경포대 간성 청간정 울진 망양정 평해에 월송정 삼척은 죽서루 통천 총석정 양양에 낙산사로다 고성은 삼일포 설악산 신흥사로구나 고성 영랑호 여기 놀기좋다 에-
내용
○ 2012 토요명품공연: 가형[01.07.]의 다섯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민요는 사람들 사이에서 저절로 생겨나서 오랜 세월동안 입에서 입으로 자연스럽게 전해온 노래이다. 크게 향토민요와 통속민요로 구분하는데, 향토민요는 일정한 지역 안에서 노동이나 놀이, 신에게 기원을 하는 의식의 현장에서 불려지던 노래이고, 통속민요는 전문적으로 훈련된 소리꾼이 불러 세련되게 다듬어 지고, 지역적인 경계를 넘어 널리 불려지던 노래이다. 지역마다 독특한 사투리가 있는 것처럼 민요에도 서로 다른 음악적인 특징이 있는데, 서울과 경기지역에서 부르던 경기민요는 굿거리·자진타령·세마치 같은 장단을 사용해 흥겹고 경쾌한 느낌을 주는 곡이 많고, 맑고 고운 창법으로 부드럽고 화사하게 부르는 것이 특징이다. ○ 노래/이금미·조경희·강효주·채수현(객원)·이미리(객원) ○ 장구/강형수
동영상 - 2012 토요명품공연: 가형[01.07.] - 01. 수제천
동영상 - 2012 토요명품공연: 가형[01.07.] - 02. 거문고산조(신쾌동류)
동영상 - 2012 토요명품공연: 가형[01.07.] - 03. 가사 ’상사별곡’
동영상 - 2012 토요명품공연: 가형[01.07.] - 05. 경기민요 ’앞산타령, 뒷산타령, 자진산타령’
동영상 - 2012 토요명품공연: 가형[01.07.] - 07. 태평무
동영상 - 2012 토요명품공연: 가형[01.07.]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2 토요명품공연: 가형[01.07.] - 05. 경기민요 ’앞산타령, 뒷산타령, 자진산타령’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