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창미효황앵어(紗窓未曉黃鶯語, 사창이 아직 밝지 않았는데 꾀꼬리 소리 울려오고) 혜노소잔주(蕙爐燒殘炷, 혜초 피우는 향로에 남은 향줄기 다 타버렸네) 금유나막도춘한(錦帷羅幕度春寒, 비단 병풍 깁 방장으로 봄 추위 막았는데) 작약리삼 경우(昨夜裏三更雨, 간밤 삼경에 비 내렸네) 수렴한기취경서(繡簾閑倚吹輕絮, 수놓은 발에 한가히 기대 있는데 가벼운 버들솜이 바람에 나부끼니) 염미산무서(斂眉山無緖, 눈살 찌푸리고 마음 갈피 못 잡아) 파화식루향귀홍(把花拭淚向歸鴻, 꽃 꺽어 들고 눈물 씻고는 돌아오는 큰 기러기 향해) 문래조봉랑불(問來處逢郞否, 떠나온 곳에서 내 낭군 만나보았소 하고 물어 보았네)
내용
ㅇ 2010 토요명품공연 : 나형의 첫 번째 프로그램 ㅇ 팸플릿 수록내용 낙양춘(洛陽春)은 대금, 피리, 해금, 아쟁, 좌고, 장구와 같은 관악합주 편성에 편종과 편경·방향 등 유율타악기(음정을 표현하는 타악기)가 어울린 궁중음악이다. 이 곡은 보허자와 함께 고려시대에 송나라에서 들어온 성악곡으로, 기악 합주에 시를 노래하는 형식의 대표적인 중국계 음악에 속한다. 그러나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한국의 전통악기가 가지는 특성과 어우러져 한국음악으로 전해오는 음악이다. 농현과 시김새가 풍부한 향악과 달리 낙양춘의 선율 진행은 장식 없이 비교적 단순하게 진행되어 고전적인 느낌을 준다. 편종·편경 등의 여운 없이 고정음을 내는 타악기의 울림, 여러 명의 악사들이 창사(唱詞)를 함께 부르는 성악의 조화는 여러 궁중음악 중에서 낙양춘만이 지닌 독특한 매력이다. ㅇ 집박/김한승, 창사/이정규·문현·김병오·조일하·이선경(연수단원)·하윤주(연수단원) ㅇ 피리/이영·손범주·김성진·홍현우·윤형욱·김성준, 대금/이철이·이상원·노붕래·김상준·김영헌·이결(준단원), 해금/김주남·윤문숙·류은정·사현욱·김용선·한갑수, 편종/김기동, 편경/조인환, 아쟁/정계종·조결(연수단원), 소금/이승엽, 좌고/홍석복
동영상 - 2010 토요명품공연: 나형[08.14.] - 01. 낙양춘
동영상 - 2010 토요명품공연: 나형[08.14.] - 02. 가야금산조 ’서공철류’
동영상 - 2010 토요명품공연: 나형[08.14.] - 03. 단소독주 ’청성곡’
동영상 - 2010 토요명품공연: 나형[08.14.] - 04. 시나위
동영상 - 2010 토요명품공연: 나형[08.14.] - 05. 헌선도
동영상 - 2010 토요명품공연: 나형[08.14.] - 06. 사물놀이
동영상 - 2010 토요명품공연: 나형[08.14.]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0 토요명품공연 : 나형[08.14.] - 01. 낙양춘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