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약이 늦어가니 정매화도 다지것다 아침에 우던 까치 유신타 허랴마는그러나 경중아미를 다스려 볼까 하노라
내용
○ 우조 이수대엽 '버들은'의 세 번째 프로그램○ 프로그램 해설 시조시를 노랫말로 하여 정격의 관현악 반주(거문고, 가야금, 대금, 피리, 해금, 장구)에 얹어 부르는 성악곡인 가곡(歌曲)과 역시 시조시를 노랫말로 하는 '시조(時調)', 그리고 가사체 문학을 노랫말로 하는 '가사(歌詞)를 함께 '정가(正歌)'라고 한다. 이는 가곡, 시조, 가사의 세 갈래 성악곡을 '바른[正] 노래[歌]'라고 보고, '이 성악곡을 향유하면 사람의 성정(性情)이 바르게 될 수 있다'라는 당시대인들의 철학적 사고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가곡은 고려가요를 모태로 하여 조선시대 영·정조 때 발전하였으며, 시조나 가사와 달리, 남자가 부르는 곡과 여자가 부르는 곡이 구분되어 있으며, 현재 전하고 있는 가곡에는 남창(男唱)으로 26곡, 여창(女唱)으로 15곡이 있으며, 조에 따라 우조와 계면조로 구분된다. 정보미상
음향 - 우조 이수대엽 ’버들은’ 등[미상] - 01. 흥보가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우조 이수대엽 ’버들은’ 등[미상] - 03. 계면 이수대엽 ’언약이~’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