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제70회 무형문화재 정기공연: 김혜선 가야금 2[1986.06.12.] ○ 프로그램 해설 산조는 민속 기악곡 가운데 음악적 짜임새와 완성도가 가장 높은 음악이다. 느린 장단으로 시작하여 갈수록 빨라지는 일정한 장단틀 안에서 연주자가 자유롭게 선율을 엮어가기 때문에 즉흥성이 강한 음악이다. 가야금산조는 19세기 말 전라도의 김창조, 한숙구 등이 처음으로 연주한 이래 십여 명이 넘는 뛰어난 명인들이 각기 고유의 유파를 형성하면서 가야금산조를 현대의 가장 대표적인 민속 기악독주곡으로 발전시켰다. 가야금산조는 오른손으로 현을 뜯거나 튕기는 숙련된 연주기교와 왼손으로 줄을 강하게 떨거나, 흘려 내리고, 밀어 올리는 등의 농현을 통해 특유의 생동감을 표현한다. 성금련류 가야금 산조는 충청제에 속하며 박팔봉-박상근-성금련의 계보를 이어 오늘에 전하는 것이다. 다른 류의 산조에 비해 가락의 진행이 다양하며 템포가 느린 중중모리가 추가된 점이 특징이다. ○ 가야금/김혜선, 장구/박종선
음향 - 제70회 무형문화재 정기공연: 김혜선 가야금 1[1986.06.12.] - 01. 별곡 ’잔도드리·상현도드리·하현도드리·염불도드리·타령·군악·계면가락도드리·양청도드리·우조가락도드리’
음향 - 제70회 무형문화재 정기공연: 김혜선 가야금 1[1986.06.12.]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제70회 무형문화재 정기공연: 김혜선 가야금 2[1986.06.12.] - 01. 가야금 산조(성금연류) - 진양조·중모리·늦은중중모리·굿거리·자진모리·휘모리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