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상세

2011 국립국악원 ’공감! 청년국악’ 5월: 제638회 유소희 거문고 독주회 - 임동식편 거문고산조[05.20.]

조회 188 0 0

자막이 없습니다.

  • 등록번호 A015259
  • 기록 분류 
  • 기록 장소국립국악원 우면당
  • 소장처국악아카이브실
  • 기록유형음향
  • 저장매체DAT

개요

2011년 5월 20일 19시 30분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개최한 '유소희 거문고 독주회 - 임동식편 거문고산조' 공연실황을 우면당 보유장비로 녹음한 음향자료.

내용

01. 임동식편 거문고산조 (재생시간 06:53~53:28, 46분 35초)
ㅇ 많은 민속악인들은 나이 서른에 요절한 임동식을 무척 안타까워한다. 그는 임준옥과 성옥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광주 송정리 출신이고, 어머니는 전남 순천 출신이라 한다. 임준옥은 판소리 명창으로 특히 재담에 능했고, 창극배우로 활약을 했었다. 이렇듯 임동식의 부모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으나, 정작 임동식에 관해서는 밝혀지지 않은 것들이 더 많다. 대략 1950년생이며 생활이 무척 어려웠던 임동식은 늑막염 때문에 오랫동안 투병생활을 했지만, 불의의 연탄가스중독으로 1982년에 타계했다고 추정된다.
박종선, 김일구 등 민속음악계의 중견 연주자들은 지금도 임동식의 타계를 아쉬워한다. 지금 그가 활약하고 있다면 거문고계의 판도가 달라졌을 것이라고 얘기하기도 한다.
부모에게서 예술적인 기량을 물려받은 임동식은 거문고를 원광호 명인에게 사사해 일년 만에 거문고산조 전바탕을 다 뗀 후 스스로 독공을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음악적 색깔을 만들어 갔다고 전한다.임동식의 거문고 가락에는 신쾌동의 가락과 한갑득의 가락이 모두 섞여 있다. 한갑득의 가락이 더 많은 편이며, 그만의 독특한 가락이 담겨 있다. 이러한 특징이 잘 나타나 있는 것이 중중모리로써 '신쾌동가락 - 임동식 더늠 - 한갑득 가락'으로 엮어져 있고, 엇모리의 경우는 신쾌동의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음악적으로 꽉 채워져 있는 그의 가락들은 대체로 판소리의 시김새에 충실하며, 차분하면서도 무겁다.
윤화중(현재 전북대학교 한국음악학과 교수)이 처음 이태백(현재 목원대학교 한국음악학부 교수)으로부터 임동식의 거문고산조 녹음자료를 건네받아 이를 채보, 악보화 하여 현재 연주되고 있다. 이번 연주에서는 '다스름 - 진양 - 중모리 - 엇모리 - 중중모리 - 자진모리' 전바탕을 연주한다.
ㅇ거문고/유소희, 장구/이태백

* 총 재생시간: 59분

* 출연자 약력
ㅇ 유소희
- 학력
· 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 단원(1994~현재)
· 광주예술고등학교 국악과 강사(1997~2005)
· 전남대학교 국악학과 강사(2005~2007)
· 국악실내악단 「황토제」 단원(1999~2007)
· 광주교육대학교 강사 역임
· 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 수석단원
·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국악학과 겸임교수
- 사사
· 오명석, 채주병(정악), 김영재(신쾌동流),
· 김무길(한갑득流), 이태백(임동식編)
- 학력
· 90. 2 광주예술고등학교 국악과 졸업
· 94. 2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국악학과 졸업
· 98. 8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과 졸업
- 수상경력
· 89. 제4회 전국학생국악경연대회 기악부 최우수상
· 92. 11 제7회 전국학생국악경연대회 기악부 최우수상
· 93. 7 제3회 전국학생전통예술경연대회 기악부 최우수상
· 94. 6 제20회 전주대사습놀이 일반 기악부 차하
· 94. 11 제2회 광주국악대전 기악부 우수상
· 95. 5 제11회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거문고부문 금상
· 99. 12 광주시립예술단체 우수단원상
· 05. 10 제2회 악성옥보고거문고경연대회 명인부 대상
- 연주경력
· 92. 7 전남대 국악과 정기연주회 독주
· 97. 故신쾌동선생 서거 20주년 기념음악회 참여
· 97. 8 국악협회 미국 동부지회 초청연주
· New York Quee's College, New Jersey Locus University
· 97. 11 제4회 전국국악관현악축제 광주시립 국악관현악단 협연
· 98. 10 제1회 독주회
· 99. 1 국악실내악단 「황토제」 창단연주
· 00. 4 제14회 광주시립 국악관현악단 정기연주회 협연 「김영재의 음악세계」
· 00. 10 國唱 임방울의 쑥대머리 음악참여
· 01 4 제2회 독주회
· 02. 10 제3회 독주회
· 04. 5 윤진철 청소년국악예술단 창작악극 「청아 놀자」 음악참여
· 04. 5 대전 평송음악회 중앙국악관현악단 협연
· 04. 10 제4회 독주회
· 04. 11 KBS 국악한마당 출연
· 05. 6 「황토제」 국립국악원 상설공연 독주
· 05. 9 2005 국악축전 '종횡무진 우리음악' 광주공연 참여
· 06. 3 백호 임제선생의 혼을 기리는 시노래 음악회 독주
· 06. 6 거문고 듀오 「동행」 연주
· 06. 7 이난초 흥보가완창무대 축하독주
· 07. 3 서용석의 예술세계 연주 참여
· 07. 6 제5회 독주회
· 07. 9 카이스트 가을문화행사 초청연주
· 07. 10 「황토제」 정기연주회 독주
· 07. 11 전남대 국악과 교수음악회
· 08. 6 거문고 듀오 「동행」 두번째 이야기
· 08. 6 광주시립미술관 올해의 작가초대전 초청연주
· 08. 9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전통예술 고택상설공연
· 09. 5 국립남도국악원 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 초청공연 독주
· 09. 11 「황토제」 10주년 기념음악회
· 09. 11 제6회 독주회
· 09. 12 시낭송교육협회 「시 소리 꽃으로 피다」 초청연주
· 10. 7 사단법인 마당 '전라도의 춤 전라도의 가락' 초청독주
· 10. 11 제7회 독주회
· 10. 11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국악학과 교수음악회
ㅇ 장구/이태백(목원대학교 한국음악학부 교수, 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 단장 역임, 중요무형문화재 제72호 진도씻김굿 악기 이수자)
ㅇ 사회/윤중강(음악평론가)

주최정보

주최/국립국악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