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01. 아라리(1) (00:00~01:31 / 1분 31초)
02. 사발가 (01:50~02:33 / 43초)
○ 소리/서남(59)
03. 시집살이노래 (03:48~04:32 / 44초)
04. 노래가락(1) (05:07~06:07 / 1분)
05. 밭매는소리 (06:15~08:03 / 1분 48초)
○ 소리/엄아기(64)
06. 아라리(2) (09:49~11:54 / 2분 26초)
○ 소리/미상(43)
07. 칭칭이소리 (11:35~14:01 / 2분 26초)
08. 메밀노래 (14:27~16:10 / 1분 43초)
09. 쌍가락지노래 (16:18~17:19 / 1분 1초)
○ 소리/김진순(44)
10. 아라리(3) (17:55~18:39 / 44초)
11. 시집살이노래 (18:39~23:52 / 5분 13초)
12. 노래가락(2) (23:52~24:58 / 1분 6초)
13. 빨래 방망이질하는 소리(음향) (25:10~31:33 / 6분 47초)
* SIDE1 재생시간: 31분 33초
01. 목도소리 (01:30~02:37 / 1분 7초)
02. 메질소리 (03:24~04:41 / 1분 17초)
03. 보리타작소리 (05:38~06:45 / 1분 7초)
04. 난봉가 (06:55~09:06 / 2분 11초)
05. 흥타령 (09:45~10:59 / 1분 14초)
06. 육자배기 (11:53~12:57 / 1분 4초)
07. 방아타령 (13:20~14:27 / 1분 7초)
[영월군 대야리]
08. 성주풀이 (17:58~18:32 / 34초)
09. 아라리 (18:39~19:35 / 56초)
10. 무덤다지는소리 (21:09~25:56 / 4분 47초)
11. 상여소리 (26:28~29:48 / 3분 20초)
12. 밭가는소리 (31:34~31:53 / 19초)
13. 상여소리 (33:00~36:08 / 3분 8초)
14. 성주풀이 (36:40~37:11 / 31초)
15. 천수경 (40:29~46:39 / 6분 10초)
○ 소리/윤봉수(61)
16. 밭가는소리 (48:00~48:47 / 47초)
17. 자진아라리 (48:47~49:15 / 28초)
18. 엮음아라리 (49:25~49:45 / 20초)
19. 말머리잇기노래 (50:08~51:08 / 1분)
○ 소리/배지운(35)
* SIDE2 재생시간: 51분 50초
<해설>
01. 실외 잔치마당 분위기에서 양푼을 두들기는 등 어지러운 소음 속에서 간간이 노래함.
03. 시집살이노래-사촌 성님을 아라리 곡조로 부름.
05. 일반적인 시집살이노래의 갈등구조가 없는 가사가 전개되고 있으나 이야기 짜임새가 불완전함.
06. 아라리 자투리.
07. 진행자가 청해서 노래를 부르는 도중에 중단시킴. 가사 전개가 중단되어 아쉬움.
08. 빠른 리듬으로 불러 곡조가 미흡하나 가사는 좋음.
09. 진행자가 청하여 부름. 곡조 가사 좋음.
11. 곡조 좋고 가사 풍부함.
01. 둘이 잘 안 맞음.
02. 메질소리는 귀한 소리인데 재현이 잘 안됨. 리듬이 맞지 않음.
04. 통속민요.
05. 통속민요.
06. 통속민요.
07. 통속민요.
08. 통속민요.
09. 조금 부르고 그침.
10. 곡조, 가사 좋으니 중단되어 아쉬움.
11. 상여소리. 가사 전개가 중단되어 아쉬움.
13. 또 다른 상여소리. 가사 전개가 중단되어 아쉬움.
16. ‘정선 밭가는소리’라 하며 불렀는데 곡조가 달구소리와 비슷함.
17. 앞의 곡에 바로 이어서 자진아라리를 한 마디 부름.
18. 특이한 가사의 엮음아라리.
19. 아라리로 시작하여 아라리로 맺는 특이한 형식의 말머리잇기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