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SIDE1] [전북 옥구군]
01. 대담 (00:00~01:24 / 1분 24초)
02. 모심는소리 (01:24~05:46 / 4분 22초)
○ 소리/전광윤 외 2명
03. 모심는소리 (07:14~10:15 / 3분 1초)
○ 소리/전광윤 외 2명
04. 논매는소리-종다리소리 (10:15~16:11 / 5분 56초)
○ 소리/전광윤 외 2명
05. 벼베는소리-산야 (16:12~27:19 / 11분 7초)
○ 소리/전광윤 외 2명
06. 논매는소리-문여가 (27:19~29:40 / 2분 21초)
○ 소리/전광윤 외 2명
* SIDE1 재생시간: 30분 14초
[SIDE2] [선유도]
01. 보리타작소리 (00:21~00:50 / 29초)
02. 방아타령 (00:51~01:57 / 1분 6초)
03. 육자배기 (01:58~02:59 / 1분 1초)
04. 너영나영 (03:15~03:38 / 23초)
○ 소리/이춘희(56)
05. 담바구타령 (03:45~04:15 / 30초)
06. 아이어르는소리-둥개타령 (04:53~07:03 / 2분 10초)
07. 흥타령 (08:05~09:01 / 56초)
08. 뱃고사소리-배치기 (09:02~12:00 / 2분 58초)
09. 그물당기는소리 (12:03~12:28 / 25초)
10. 고기푸는소리 (12:28~13:18 / 50초)
11. 무당 신세타령 (13:49~22:57 / 9분 8초)
* SIDE2 재생시간: 23분 42초
<해설>
02. 매우 긴 호흡의 모심는소리. 후렴구는 귀한 곡조이나 앞소리가 정돈되지 않음.
03. 앞의 모심는소리 계속.
04. 장구를 치면서 소리를 하여 앞소리가 안 들리고 들쭉날쭉함. 후렴구의 곡조는 희귀함. 참고용으로 활용 가능.
05. 매우 귀한 벼베는소리로서 김제 만경평야의 벼베는소리와 연관됨. 오랜만에 해보느라 소리의 전형성이 잘 드러나지 않은 채로 끝남. 참고용으로 활용 가능.
06. 점심 먹고 더워서 한마디 한다는 논매는소리 ‘진소리’. 장구를 치며 부름. 호남 영산강 유역 논매는소리인 ‘긴소리’와 비교되는 귀한 소리임. 제대로 재현되지 않았으나 참고용으로 활용 가능.
01. 앞소리가 충분치 않음. 참고용으로 활용 가능.
02. 후렴구를 좀 부르다 맒.
05. 가사 불완전함.
06. 곡조, 가사 괜찮음.
08. 만선풍장소리로 흔히 부르는 배치기소리. 고사 지낼 때도 불렀다. 혼자 풍물 반주 없이 소리만 함.
10. 곡조 좋으나 혼자 불러 아쉬움.
11. 무당이 자기 신세를 한탄하는 내용. 노래가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