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 율[十二律]
  • 25현 가야금[二十五--絃--]
  • 가객[歌客]
  • 가곡[歌曲]
  • 가곡금보[歌曲琴譜]
  • 가곡명창[歌曲名唱]
  • 가곡 백선(저서:김기수)[歌曲百選]
  • 가곡보감[歌曲寶鑑]
  • 가곡성 우조[歌曲性羽調]
  • 가곡 원류(시조집:박효관)[歌曲源流]
  • 가곡 장단[歌曲長短]
  • 가곡집[歌曲集]
  • 가곡 형식[歌曲形式]
  • 가난 타령[--打令]
  • 가라도(가야금곡:황병기)[加羅都]
  • 가락더리[加樂--]
  • 가래조 장단[--調長短]
  • 가로일표[--一標]
  • 가무 별감[歌舞別監]
  • 가무 보살[歌舞菩薩]
  • 가무악[歌舞樂]
  • 가무 유희요[歌舞遊戱謠]
  • 가사[歌辭]
  • 가사(노랫말)[歌詞]
  • 가사(시가와산문중간형태의문학)[歌辭]
  • 가사 노동요[家事勞動謠]
  • 가사문학[歌辭文學]
  • 가사 장단[歌詞長短]
  • 가사항
  • 가산 오광대[駕山五廣大]
  • 가서[嘉瑞]
  • 가성표[假聲標]
  • 가수(노래부르는것이직업인사람)[歌手]
  • 가시리
  • 가시버시 사랑
  • 가안지곡[嘉安之曲]
  • 가야금[伽倻琴]
  • 가야금 2중주[伽倻琴二重奏]
  • 가야금 3중주[伽倻琴三重奏]
  • 가야금 4중주[伽倻琴四重奏]
  • 가야금 6중주[伽倻琴六重奏]
  • 가야금곡[伽倻琴曲]
  • 가야금 교본(저서:김영윤)
  • 가야금 교칙본(저서:안기옥)[伽倻琴敎則本]
  • 가야금 구음 정악보(저서:김윤덕)[伽倻琴口音正樂譜]
  • 가야금 독주[伽倻琴獨奏]
  • 가야금 독주곡[伽倻琴獨奏曲]
  • 가야금 독주회[伽倻琴獨奏會]
  • 가야금 명인[伽倻琴名人]
  • 가야금 병창[伽倻琴竝唱]
  • 가야금보[伽倻琴譜]
  • 가야금 산조[伽倻琴散調]
  • 가야금산조(진양조)
  • 가야금 산조 명인[伽倻琴散調名人]
  • 가야금 산조 반주[伽倻琴散調伴奏]
  • 가야금 산조 악보[伽倻琴散調樂譜]
  • 가야금 정악[伽倻琴正樂]
  • 가야금 정악보(저서:김윤덕)[伽倻琴正樂譜]
  • 가야금 중주[伽倻琴重奏]
  • 가야금 풍류 국문 신보(저서:김윤덕)[伽倻琴風流國文新譜]
  • 가야금 합주[伽倻琴合奏]
  • 가야금 합주곡[伽倻琴合奏曲]
  • 가야금 협주[伽倻琴協奏]
  • 가야금 협주곡[伽倻琴協奏曲]
  • 가야금 협주곡 1번(가야금곡:이강덕)
  • 가야지무[伽倻之舞]
  • 가영성[歌詠聲]
  •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 가인필휴[歌人必携]
  • 가자(대궐안의잔치때부르던노래)
  • 가자(악기를매달아놓는틀)[架子]
  • 가자가자
  • 가조각[假爪角]
  • 가지게[加持偈]
  • 가지법[加持法]
  • 가진방물가[-方物歌]
  • 가집[歌集]
  • 가창 방식[歌唱方式]
  • 가창 유희요[歌唱遊戱謠]
  • 가척[歌尺]
  • 각(관악기)[角]
  • 각(국악장단)[刻]
  • 각(음이름)[角]
  • 각구목질
  • 각대[角帶]
  • 각설이 타령[--打令]
  • 각성(角聲)
  • 각시조[刻時調]
  • 각조[角調]
  • 각퇴[角槌]
  • 간[干]
  • 간격보[間隔譜]
  • 간인(가악:천상욱개자)[竿引]
  • 간척무[干戚舞]
  • 갈고[羯鼓]
  • 갈고리쇠(鉤鐵)
  • 갈처사십보가[葛處士十步歌]
  • 감군은[感君恩]
  • 감내기
  • 감는 목
  • 감상요[感傷謠]
  • 감은다령[感恩多令]
  • 감자비[甘自非]
  • 감황은령[感皇恩令]
  • 감회가[感懷歌]
  • 갑민가[甲民歌]
  • 갓놀음
  • 강(가곡형식)[腔]
  • 강(정간보의횡선)[綱]
  • 강강술래소리
  • 강고[掆鼓]
  • 강남중(1900-?:판소리명창)[姜南中]
  • 강도근(1918-1996:판소리명창)[姜道根]
  • 강령 탈춤[康翎:康怜--]
  • 강릉[江陵]
  • 강릉 관노 가면극[江陵官奴假面劇]
  • 강릉 농악[江陵農樂]
  • 강릉 단오제[江陵端午祭]
  • 강릉 매화 타령[江陵梅花打令]
  • 강릉 모내기 소리[江陵--]
  • 강릉 타작 소리[江陵打作--]
  • 강릉 학산 오독떼기[江陵鶴山--]
  • 강백천(1898-1982:대금산조명인)[姜白川]
  • 강백천류 대금 산조[姜白川流大芩散調]
  • 강보[降寶]
  • 강산제[江山制:岡山制]
  • 강상 풍월[江上風月]
  • 강소춘(?-?:판소리명창)[姜小春]
  • 강신 무당[降神巫堂]
  • 강약표[强弱標]
  • 강용환(1865-1938:판소리명창)[姜龍煥]
  • 강원 농악[江原農樂]
  • 강원도 금강산 조리장수[江原道金剛山--]
  • 강원도 닐리리[江原道─]
  • 강원도 명주 장례 소리[江原道溟州葬禮--]
  • 강원도 민요[江原道民謠]
  • 강원도 아리랑[江原道--]
  • 강인식(?-?:거문고연주자)[姜寅植]
  • 강장원(1909-1962:판소리명창)[姜章沅]
  • 강재만(?-?:판소리명창:조선)[姜載萬]
  • 강천성곡(거문고곡:옥보고)[降天聲曲]
  • 강촌 별곡(가사:차천로)[江村別曲]
  • 강태홍(1894-1968:가야금산조명인)[姜太弘]
  • 강태홍류 가야금 산조[姜太弘流伽倻琴散調]
  • 강호가도[江湖歌道]
  • 강호 별곡(가사:차천로)[江湖別曲]
  • 강호 사시가(시조:맹사성)[江湖四時歌]
  • 강호연군가(시조:장경세)[江湖戀君歌]
  • 강화도 시선 뱃노래[江華島柴船─]
  • 강화도 아용 타령[江華島─打令]
  • 갖은 방물가[--房物歌]
  • 갖은 열두 마치
  • 개(꽹과리구음)
  • 개(의장기물)[蓋]
  • 개구리 타령[--打令]
  • 개방현[開放絃]
  • 개선악[凱旋樂]
  • 개안[凱安]
  • 개암가[皆巖歌]
  • 개암정[皆巖亭]
  • 개인 영산 놀이
  • 개책[介幘]
  • 개천부(가악곡:김기수)[開天賦]
  • 개타령[--打令]
  • 객악보[客樂譜]
  • 갱가[賡歌]
  • 갱마쿵쿵노세
  • 거견[擧肩]
  • 거령산[擧靈山]
  • 거령산 장단[擧靈山長短]
  • 거령산 춤[擧靈山-]
  • 거문고
  • 거문고곡[--曲]
  • 거문고 구음법[--口音法]
  • 거문고 독주[--獨奏]
  • 거문고 명인[--名人]
  • 거문고 병창[--竝唱]
  • 거문고보[--譜]
  • 거문고 산조[--散調]
  • 거문고 산조 명인[--散調名人]
  • 거문고 삼절[--三絶]
  • 거문고 연주법[--演奏法]
  • 거문고 연주자[--演奏者]
  • 거문도 뱃노래[巨文島--]
  • 거북놀이
  • 거불[擧佛]
  • 거사가[居士歌]
  • 거사련[居士戀]
  • 거상악[擧床樂]
  • 거열(가야금곡:우륵)[居烈]
  • 거창가[居昌歌]
  • 거창 망깨 소리[居昌--]
  • 거창 삼베일 소리[居昌─]
  • 건고[建鼓]
  • 건귁[巾幗]
  • 건드렁 타령[--打令]
  • 건무[巾舞]
  • 걸궁 농악[乞窮農樂]
  • 걸립굿[乞粒--]
  • 걸립패[乞粒牌]
  • 걸목
  • 걸음걸이춤
  • 검가[劍歌]
  • 검기[劍器]
  • 검무[劍舞]
  • 검지표[--指標]
  • 검질 매는 소리
  • 게송[偈頌]
  • 격안지곡[格安之曲]
  • 격음표[激音標]
  • 격쟁[擊錚]
  • 격팔상생법[隔八相生法]
  • 견우노옹(?-?:신라증대)[牽牛老翁]
  • 결성 농요[結城農謠]
  • 겸내취[兼內吹]
  • 겹꾸밈음표[--音標]
  • 겹 다드래기
  • 겹마치
  • 겹미는표[--標]
  • 겹북
  • 겹서
  • 겹 수부채 장단[--長短]
  • 겹흘림표[--標]
  • 경[磬]
  • 경근지곡[敬勤之曲]
  • 경금지령[慶金枝令]
  • 경기 놀량[京畿--]
  • 경기 농악[京畿農樂]
  • 경기도 고양 장례 소리[京畿道高陽葬禮--]
  • 경기도 도당굿[京畿道都堂--]
  • 경기 뒷산 타령[京畿--山打令]
  • 경기무가[京畿巫歌]
  • 경기 무악[京畿巫樂]
  • 경기 무악 장단[京畿巫樂長短]
  • 경기 민요[京畿民謠]
  • 경기 산타령 토리[京畿山打令--]
  • 경기 선소리 산타령[京畿--山打令]
  • 경기 송서[京畿誦書]
  • 경기 앞산 타령[京畿─山打令]
  • 경기 유희요[京畿遊戱謠]
  • 경기 입창[京畿立唱]
  • 경기 잡가[京畿雜歌]
  • 경기체가[京畿體歌]
  • 경남 농악[慶尙南道農樂]
  • 경드름[京--]
  • 경모궁[景慕宮]
  • 경모궁악기조성청[景慕宮樂器造成廳]
  •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景慕宮樂器造成廳儀軌]
  • 경모궁의궤[景慕宮儀軌]
  • 경모궁 제례악[景慕宮祭禮樂]
  • 경몽가[警蒙歌]
  • 경민가[警民歌]
  • 경발림[景--]
  • 경배악[傾盃樂]
  • 경복궁 타령[景福宮打令]
  • 경부 철도가[京釜鐵道歌]
  • 경북 농악[慶北農樂]
  • 경상남도 고성 장례 소리[慶尙南道固城葬禮--]
  •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17호[慶尙南道無形文化財제17호]
  • 경상도 민요[慶尙道民謠]
  • 경상북도 예천 장례 소리[慶尙北道醴泉葬禮--]
  • 경석[磬石]
  • 경세가[警世歌]
  • 경쇠[磬--]
  • 경안법[輕按法]
  • 경안악[景安樂]
  • 경안지곡[景安之曲]
  • 경암사함옹구년명금고[瓊巖寺咸雍九年銘金鼓]
  • 경정산가단[敬亭山歌壇]
  • 경제(시조)[京制]
  • 경제 단소[京制短簫]
  • 경제 줄풍류[京制--風流]
  • 경주 꽃노래[慶州--]
  • 경토리[京--]
  • 경풍년[慶豊年]
  • 경풍도[慶豐圖]
  • 경학편익지세[驚鶴翩翼之勢]
  • 곁피리
  • 계고(?-?:악사:신라)[階古]
  • 계녀가[誡女歌]
  • 계대[繼隊]
  • 계라[啓螺]
  • 계락[界樂]
  • 계루고[鷄婁鼓]
  • 계면
  • 계면 가락 도드리[界面--]
  • 계면굿[--]
  • 계면조(선법)[界面調]
  • 계면조(판소리)[界面調]
  • 계면조 다스름[界面調--]
  • 계면조 두거[界面調頭擧]
  • 계면조 삼수대엽[界面調三數大葉]
  • 계면조 소용[界面調搔聳]
  • 계면조 음계[界面調音階]
  • 계면조 이수대엽[界面調二數大葉]
  • 계면조 중거[界面調中擧]
  • 계면조 초수대엽[界面調初數大葉]
  • 계면조 평거[界面調平擧]
  • 계면할머니[--]
  • 계아가[戒兒歌]
  • 계우[啓宇]
  • 계원필경(문집:최치원)[桂苑筆耕]
  • 계자[啓字]
  • 계지향만[桂枝香慢]
  • 계초엽[界初葉]
  • 계화 타령[桂花打令]
  • 고(편경에서‘ヘ’모양이긴부분)[鼓]
  • 고(편경에서‘ヘ’모양이짧은부분)[股]
  • 고가 신조(작곡집:김기수)[古歌新調]
  • 고각제명[鼓角齊鳴]
  • 고갯 장단[--長短]
  • 고고 천변[皐皐天邊]
  • 고공가(가사:허전)[雇工歌]
  • 고공 답 주인가(가사)[雇工答主人歌]
  • 고구려 고분[高句麗古墳]
  • 고구려무[高句麗舞]
  • 고구려 음악[高句麗音樂]
  • 고금 가곡(시가집:송계연월옹)[古今歌曲]
  • 고금기가[古今奇歌]
  • 고금영[古琴詠]
  • 고깔
  • 고대가요[古代歌謠]
  • 고려 가요[高麗歌謠]
  • 고려도경(저서:서긍)[高麗圖經]
  • 고려사악지(저서:정인지)[高麗史樂志]
  • 고려 향악[高麗鄕樂]
  • 고마가쿠[高麗樂]
  • 고사[告祀]
  • 고사굿[告祀--]
  • 고사리 타령[─打令]
  • 고사 소리[告祀--]
  • 고사 소리꾼[告祀--]
  • 고산 구곡가(시조:이이)[高山九曲歌]
  • 고산 농악[孤山農樂]
  • 고산방석[高山放石]
  • 고산방석지세[高山放石之勢]
  • 고삼[--]
  • 고삼 장단[--長短]
  • 고상[翺翔]
  • 고상사별곡[古相思別曲]
  • 고선[姑洗]
  • 고성 농요[固城農謠]
  • 고성 오광대[固城五廣大]
  • 고수[鼓手]
  • 고수관(1764-?:판소리명창:조선)[高壽寬]
  • 고아게[故我偈]
  • 고아게성[故我偈聲]
  • 고악보[古樂譜]
  • 고양시 송포 호미걸이[高陽市松浦--]
  • 고원 화류가[故園花柳歌]
  • 고음 단소[高音短簫]
  • 고장수
  • 고전무용
  • 고취악[鼓吹樂]
  • 고향 가는 길(대금곡:원장현)[故鄕--]
  • 고향게[告香偈]
  • 고흥 월포 농악[高興月浦農樂]
  • 고흥 한적들 노래
  • 곡예 유희요[曲藝遊戱謠]
  • 곡파무[曲破舞]
  • 곡파정재[曲破呈才]
  • 곡호대[曲號隊]
  • 곤충 유희요[昆蟲遊戱謠]
  • 골패 타령[骨牌打令]
  • 곰배질 노래
  • 곰보 타령[--打令]
  • 곳간굿
  • 공막무[公莫舞]
  • 공명가[孔明歌]
  • 공무도하가(노래:여옥)[公無渡河歌]
  • 공산농요[公山農謠]
  • 공악[空樂]
  • 공안지곡[恭安之曲]
  • 공주 봉현리 상여 소리[公州鳳峴里喪輿--]
  • 공창식(1887-1936:판소리명창)[孔昌植]
  • 공척보[工尺譜]
  • 공척 차용보[工尺借用譜]
  • 공후[箜篌]
  • 과교선[過橋仙]
  • 과두악[裹頭樂]
  • 과부가[寡婦歌]
  • 과시이선[科詩二選]
  • 관[管]
  • 관동무[關東舞]
  • 관동 별곡(가사:정철)[關東別曲]
  • 관동 별곡(경기체가:안축)[關東別曲]
  • 관동속별곡[關東續別曲]
  • 관동 장유가[關東壯遊歌]
  • 관동팔경[關東八景]
  • 관동해가[觀東海歌]
  • 관등가[觀燈歌]
  • 관등놀이[觀燈--]
  • 관모[冠帽]
  • 관산융마[關山戎馬]
  • 관산융마(시:신광수)[關山戎馬]
  • 관산융마시(시:신광수)[關山戎馬詩]
  • 관서 별곡(가사:백광홍)[關西別曲]
  • 관서악부[關西樂府]
  • 관습 도감[慣習都監]
  • 관악기 연주법[管樂器演奏法]
  • 관악 보허자[管樂步虛子]
  • 관악 영산 회상[管樂靈山會相]
  • 관악 합주[管樂合奏]
  • 관예악장[觀刈樂章]
  • 관예악장문(편찬서:조관빈)[觀刈樂章文]
  • 관왕묘악[關王廟樂]
  • 관욕게 바라[灌浴偈哱囉]
  • 관우희[觀優戱]
  • 관음찬[觀音讚]
  • 관재(호:서경린)[寬齋]
  • 관찬 악보[官撰樂譜]
  • 관현맹[管絃盲]
  • 관현악 편성[管絃樂編成]
  • 관현 합주 편성[管絃合奏編成]
  • 광대[廣大]
  • 광대가(단가:신재효)[廣大歌]
  • 광대굿[廣大--]
  • 광대 굿놀이[廣大--]
  • 광대 놀음[廣大--]
  • 광명 농악[光明農樂]
  • 광무대[光武臺]
  • 광산 농악[光山農樂]
  • 광수[廣袖]
  • 광수공양가[廣修供養歌]
  • 광수무[廣袖舞]
  • 광업 노동요[鑛業勞動謠]
  • 광한루악부[廣寒樓樂府]
  • 괘[棵]
  • 괘상청[棵上淸]
  • 괘상청표[棵上淸標]
  • 괘표[棵標]
  • 괘하청[棵下淸]
  • 괘하청표[棵下淸標]
  • 교대죽
  • 교방[敎坊]
  • 교방가요[敎坊歌謠]
  • 교방고[敎坊鼓]
  • 교방 굿거리춤[敎坊--]
  • 교방악[敎坊樂]
  • 교선무[交旋舞]
  • 교술민요[敎述民謠]
  • 교주[交奏]
  • 교회 음악[敎會音樂]
  • 구구가[九九歌]
  • 구군복[具軍服]
  • 구궁
  • 구귀가[九歸歌]
  • 구나행[驅儺行]
  • 구다라가쿠[百濟樂]
  • 구라철사금자보[歐邏鐵絲琴字譜]
  • 구례 향제 줄풍류[求禮鄕制--風流]
  • 구르는 목
  • 구왕궁아악부[舊王宮雅樂部]
  • 구음[口音]
  • 구음법[口音法]
  • 구음 살풀이[口音--]
  • 구음 장단[口音長短]
  • 구인[鉤引]
  • 구일(?-?:음악가:신라)[丘日]
  • 구장기별기[九長機別伎]
  • 구전동요선[口傳童謠選]
  • 구전 민요[口傳民謠]
  • 구전심수[口傳心授]
  • 구조아리랑
  • 구지가[龜旨歌]
  • 구천[九天]
  • 구호[口號]
  • 국가 무형 문화재 기능 보유자[國家無形文化財技能保有者]
  • 국극사[國劇社]
  • 국립 국악원[國立國樂院]
  • 국립국악원 부설 국악사 양성소[國立國樂院附設國樂士養成所]
  • 국립 민속 국악원[國立民俗國樂院]
  • 국립 전통 예술 고등 학교[國立傳統藝術高等學校]
  • 국문 뒷풀이[國文--]
  • 국악[國樂]
  • 국악가요[國樂歌謠]
  • 국악개요(저서:장사훈)[國樂概要]
  • 국악 계이름[國樂階--]
  • 국악 고등 학교[國樂高等學校]
  • 국악 교육[國樂敎育]
  • 국악 교육 기관[國樂敎育機關]
  • 국악기[國樂器]
  • 국악기 연주법[國樂器演奏法]
  • 국악기연주법(저서:장사훈)[國樂器演奏法]
  • 국악기 편성법[國樂器編成法]
  • 국악논고[國樂論攷]
  • 국악 단체[國樂團體]
  • 국악대전집[國樂大全集]
  • 국악론방(저서:장사훈)[國樂論放]
  • 국악보(저서:정경태)[國樂譜]
  • 국악보(편저:정경태)[國樂譜]
  • 국악사[國樂史]
  • 국악사 양성소[國樂士養成所]
  • 국악 예술 학교[國樂藝術學校]
  • 국악 음계[國樂音階]
  • 국악이론가[國樂理論家]
  • 국악 입문(저서:김기수)[國樂入門]
  • 국악 작곡가[國樂作曲家]
  • 국악 전문 중학교[國樂專門中學校]
  • 국악 전집(저서:김기수)[國樂全集]
  • 국악해설서[國樂解說書]
  • 국악 형식[國樂形式]
  • 국연정재창사초록[國讌呈才唱詞抄錄]
  • 국조 악장[國朝樂章]
  • 국창[國唱]
  • 군[裙]
  • 군마대왕[軍馬大王]
  • 군목
  • 군밤 타령[--打令]
  • 군악(영산회상)[軍樂]
  • 군악 놀이[軍樂--]
  • 군악 장단[軍樂長短]
  • 군 장단[--長短]
  • 굳은 목
  • 굴림채
  • 굴림표[--標]
  • 굴부르는 소리
  • 굿(무속의종교제의)
  • 굿거리굿
  • 굿거리 시조
  • 굿거리 장단[--長短]
  • 굿거리춤
  • 궁(음이름)[宮]
  • 궁상자보[宮商字譜]
  • 궁시무[弓矢舞]
  • 궁중 무용[宮中舞踊]
  • 궁중 음악[宮中音樂]
  • 궁채
  • 궁초 댕기[宮梢--]
  • 권근(1352-1409:문신:조선)[權近]
  • 권번
  • 권삼득(1771-1841:판소리명창:조선)[權三得]
  • 권선지로가[勸善指路歌]
  • 권선징악가[勸善徵惡歌]
  • 권안[權按]
  • 권유가[勸遊歌]
  • 권주가[勸酒歌]
  • 권학가[勸學歌]
  • 권호문(1532-1587:학자:조선중기)[權好文]
  • 궐리가[闕里歌]
  • 귀곡성[鬼哭聲]
  • 귀금(?-?:거문고:신라)[貴金]
  • 귀래가[歸來歌]
  • 귀명창[--名唱]
  • 귀산곡(가사:침굉)[歸山曲]
  • 귀인[歸仁]
  • 규방 가사[閨房歌辭]
  • 규수 상사곡[閨秀相思曲]
  • 규원가(가사:허난설헌)[閨怨歌]
  • 규중 행실가[閨中行實歌]
  • 균여(923-973:승려:고려전기)[均如]
  • 극상(?-?:거문고명인:신라)[克相]
  • 극종(?-?:거문고명인:신라)[克宗]
  • 근대요[近代謠]
  • 근천정[覲天庭]
  • 금[琴]
  • 금강 별곡(기행가사:박순우)[金剛別曲]
  • 금강산 타령[金剛山打令]
  • 금강성[金剛城]
  • 금강성곡[金剛城曲]
  • 금고(불구)[金鼓]
  • 금괘자 노래[錦掛子--]
  • 금다래꿍
  • 금릉 빗내 농악[金陵--農樂]
  • 금보(악보:김경남)[琴譜]
  • 금보고[琴譜古]
  • 금부[金部]
  • 금수현(1919-1992)[金水賢]
  • 금슬상화[琴瑟相和]
  • 금일경
  • 금잔자[金盞子]
  • 금잔자사[金盞子詞]
  • 금잔자최자[金盞子嗺子]
  • 금전악[金殿樂]
  • 금전악만[金殿樂慢]
  • 금척무[金尺舞]
  • 금학절요[琴學切要]
  • 금합자보[琴合字譜]
  • 금합자보(저서:안상)[琴合字譜]
  • 금환[金丸]
  • 급기[急機]
  • 급박[急拍]
  • 기경 작법[起經作法]
  • 기능요[技能謠]
  • 기덕
  • 기덕쿵
  • 기마차(?-?:악사:백제)[己麻次]
  • 기명[基命]
  • 기보법[記譜法]
  • 기본 장단[基本長短]
  • 기생[妓生]
  • 기생방[妓生房]
  • 기생청[妓生廳]
  • 기생 타령[妓生打令]
  • 기성 별곡[箕城別曲]
  • 기악[伎樂]
  • 기암곡(거문고곡:옥보고)[倚灸曲]
  • 기와 밟기
  • 기행 가사[紀行歌辭]
  • 긴 난봉가[--歌]
  • 긴 농부가[--農夫歌]
  • 긴 모뜨는 소리
  • 긴 목
  • 긴 못소리
  • 긴 삼채[--三--]
  • 긴아라리
  • 긴아리
  • 긴아리랑
  • 긴안맹탄[緊按猛彈]
  • 긴 절로 소리
  • 길경[吉慶]
  • 길군악[--軍樂]
  • 길군악 1[ㅡ軍樂1]
  • 길군악 2[ㅡ軍樂2]
  • 길군악 칠채 장단[ㅡ軍樂七ㅡ]
  • 길굿
  • 길놀이
  • 길몽가[吉夢歌]
  • 길쌈 노래
  • 길타령
  • 김거복(?-?:판소리명창:조선)[金巨福]
  • 김경남(?-?:거문고명인:대한제국)[金景南]
  • 김경흠(1815-1880:가사작가)[金景欽]
  • 김계선(1891-1943:국악인:한말)[金桂善]
  • 김계선(1891-1943:대금명인)[金桂善]
  • 김관준(?-?:서도소리명창)[金寬俊]
  • 김광식(1911-1972:대금명인)[金光植]
  • 김광주(1906-1985:악기장)[金廣胄]
  • 김기수(1917-1986:국악인)[金琪洙]
  • 김길임(1927?-1999:국악인)
  • 김녹주(1896-1923:판소리명창)[金綠珠]
  • 김대정(?-?:가야금명인)[金大丁]
  • 김덕수(1952-:국악인)[金德洙]
  • 김도삼(?-?:호남농악의상쇠)[金道三]
  • 김동준(1929-1990:판소리고수)[金東俊]
  • 김두규(?-?:가인:조선중기)[金斗奎]
  • 김두성(?-?:가인:조선중기)[金斗星]
  • 김득수(1917-1990:판소리명고)[金得洙]
  • 김만흥(1905-1969:해금명인)[金萬興]
  • 김매기 소리
  • 김명환(1913-1989:판소리고수)[金命煥]
  • 김무규(1908-1994:단소명인)[金茂圭]
  • 김묵수(?-?:가객:조선)[金默壽]
  • 김문달(1903-1989:꽹과리명인)[金文達]
  • 김민순(?-?:시인:조선)[金敏淳]
  • 김백봉(1927-:무용가)[金白峰]
  • 김병호(1910-1968:가야금산조명인)[金炳昊]
  • 김병호류 가야금 산조[金炳昊流伽倻琴散調]
  • 김복곤(?-:악기장)[金僕坤]
  • 김복근(?-?:전악:조선)[金福根]
  • 김봉문(1876-1930:판소리명창)[金奉文]
  • 김봉학(1883-1943:판소리명창)[金鳳鶴]
  • 김석창(?-?:판소리명창)[金碩昌]
  • 김성기(?-?:가객:조선후기)[金聖器]
  • 김성옥(1801-1834:판소리명창)[金成玉]
  • 김성진(1916-1996:대금명인)[金星振]
  • 김세종(?-?:판소리명창)[金世宗]
  • 김소운(1907-1981)[金素雲]
  • 김소재(?-?:아쟁명인)[金小材]
  • 김소희(1917-1995:판소리명창)[金素姬]
  • 김수영(?-?:판소리명창)[金壽永]
  • 김수장(1690-?:가인:조선)[金壽長]
  • 김수정(1913-1969:가곡명창)[金水晶]
  • 김수천(1895-1939)[金壽天]
  • 김수현(1898-1970:명창)[金洙鉉]
  • 김순태(1914-1978:소리명창)[金順泰]
  • 김씨계녀사[金氏戒女詞]
  • 김씨괴정본중금보급방향보[金氏槐庭本中芩譜及方響譜]
  • 김여란(1907-1983:판소리명창)[金如蘭]
  • 김연수(1907-1974:판소리명창)[金演洙]
  • 김영동(1951-:국악인)[金英東]
  • 김영윤(1911-1972:가야금명인)[金永胤]
  • 김영제(1883-1956:국악이론가,가야금명인)[金甯濟]
  • 김완손(1909-1971:국악인)[金完孫]
  • 김용근(1885-1965:거문고명인)[金容根]
  • 김용태(1922-1995:국악인)[金容泰]
  • 김우규(1691-?:가객:조선후기)[金友奎]
  • 김우규(1691_?:가객:조선후기)[金友奎]
  • 김원길(1922-1958:판소리명창)[金元吉]
  • 김월하(1918-1996:가곡명창)[金月荷]
  • 김유기(?-?:가객:조선후기)[金裕器]
  • 김윤덕(1918-1978:가야금,거문고산조명인)[金允德]
  • 김윤덕류 가야금 산조[金允德流伽倻琴散調]
  • 김윤덕류 거문고 산조[金允德流--散調]
  • 김인후(1510-1560:문신:조선중기)[金麟厚]
  • 김일손(1464-1498:문신:조선)[金馹孫]
  • 김재선(1900-?)[金在先]
  • 김재원(1923-1993:국악인)[金在元]
  • 김정구(?-?:가객:조선중기)[金鼎九]
  • 김정근(?-?:판소리명창)[金定根]
  • 김정길(1875-1964)[金正吉]
  • 김정문(1887-1935:판소리명창)[金正文]
  • 김정애(1938-2008:거문고명인)[金貞愛]
  • 김정연(1913-1987)[金正淵]
  • 김정희(?-?:가객:조선후기)[金鼎熙]
  • 김제철(?-?:판소리명창)[金濟哲]
  • 김종기(1902-1940?:가야금,거문고산조명인)[金宗基]
  • 김종기류 가야금 산조[金宗基流伽倻琴散調]
  • 김종남(?-?:가야금명인:조선후기)[金宗南]
  • 김종운(?-?:판소리명창:조선후기)[金鍾運]
  • 김종표(?-?:가야금명인:조선후기)[金宗杓]
  • 김죽파(1911-1989:가야금산조명인)[金竹坡]
  • 김죽파류 가야금 산조[金竹坡流伽倻琴散調]
  • 김준섭(1913-1968:판소리명창,창극명인)[金俊燮]
  • 김준현(1918-1961:피리명인)[金俊鉉]
  • 김중열(?-?:가객:조선후기)[金重說]
  • 김진태(?-?:가객:조선후기)[金振泰]
  • 김질엽(1850-?:판소리명창:조선말기)[金質燁]
  • 김찬업(?-?:판소리명창)[金贊業]
  • 김창록(?-?:판소리명창:조선후기)[金昌祿]
  • 김창룡(1872-1935:판소리명창)[金昌龍]
  • 김창조(1865-1929:가야금산조창시자:조선후기)[金昌祖]
  • 김창하(?-?:가야금명인:조선후기)[金昌河]
  • 김창환(1848-1933:판소리명창)[金昌煥]
  • 김창환(1854-1927:판소리명창)[金昌煥]
  • 김채만(1865-1911:판소리명창)[金采萬]
  • 김천 징[金泉鉦]
  • 김천징장[金泉鉦匠]
  • 김천택(?-?:가인:조선)[金天澤]
  • 김천흥(1909-2007:해금연주가)[金千興]
  • 김초향(1899-?:판소리명창)[金楚香]
  • 김추월(?-?:판소리명창)[金秋月]
  • 김춘지(1919-1980:가야금산조명인)[金春枝]
  • 김충현(?-?:판소리명창)[金忠鉉]
  • 김칠성(?-?:서도소리명창)[金七星]
  • 김타업(1913-1990:국악인)[金他業]
  • 김태석(?-?:가객:조선후기)[金兌錫]
  • 김태운(1897-1963:경기소리명창)[金泰運]
  • 김환철(1910-1991:대금명인)[金煥喆]
  • 김희조(1920-2001:작곡가)[金熙祚]
  • 깊은 밤, 그 가야금 소리(에세이집:황병기)[--伽倻琴--]
  • 까부는 목
  • 까치걸음(춤사위)
  • 까투리 타령[--打令]
  • 깎는 목
  • 꺽는 목
  • 꺾음표[--標]
  • 꼭꼭 숨어라
  • 꼭두각시
  • 꼭두각시놀음
  • 꼭두각시놀이
  • 꼭두쇠
  • 꽂는표[--標]
  • 꽃나무장단
  • 꽃노래
  • 꽃분네야
  • 꽃타령
  • 꽹과리[小金]
  • 꽹과리채
  • 꿩꿩 장서방
  • 끊는 목
  • 끊는소리표[--標]
  • 나각[螺角]
  • 나나니타령
  • 나너나표[--標]
  • 나노나표[--標]
  • 나느나표[--標]
  • 나니가[羅尼歌]
  • 나니가타령
  • 나니나표[--標]
  • 나니더여표[--標]
  • 나니르노니더여표[--標]
  • 나니르노니르표[--標]
  • 나니르표[--標]
  • 나례[儺禮]
  • 나례가[儺禮歌]
  • 나무꾼 노래
  • 나무 쪼개는 노래
  • 나무켜는 노래
  • 나무 타령
  • 나무하는 소리
  • 나물 노래
  • 나물 뜯는 소리
  • 나발[喇叭]
  • 나발표[喇叭標]
  • 나비춤
  • 나주 들노래[羅州--]
  • 나타냄말
  • 낙도가[樂道歌]
  • 낙민가[樂民歌]
  • 낙성 고사[洛成告祀]
  • 낙시조[樂時調:落時調]
  • 낙양 삼월[洛陽三月]
  • 낙양춘[洛陽春]
  • 낙은 별곡[樂隱別曲]
  • 낙지가[樂志歌]
  • 낙화유수[落花流水]
  • 난계유고[蘭溪遺稿]
  • 난봉가[--歌]
  • 난봉가 토리[--歌--]
  • 날개 타령[--打令]
  • 날현인[捺絃引]
  • 남구만(1629-1711:문신:조선)[南九萬]
  • 남급(?-?:음악가:조선전기)[南汲]
  • 남녀창[男女唱]
  • 남념-시[藍念詩]
  • 남도굿거리[南道─]
  • 남도 들노래[南道--]
  • 남도 무악[南道巫樂]
  • 남도 민요[南道民謠]
  • 남도소리[南道─]
  • 남도 잡가[南道雜歌]
  • 남도창[南道唱]
  • 남도창동편제[南道唱東便制]
  • 남도 판소리[南道-]
  • 남도판소리서편제[南道--西便制]
  • 남려[南呂]
  • 남려궁[南呂宮]
  • 남명가[南冥歌]
  • 남명가(가사:조식)[南冥歌]
  • 남무(남자무당)[男巫]
  • 남무(민속무용)[男舞]
  • 남사당[男寺黨]
  • 남사당 놀이[男寺黨--]
  • 남사대[藍絲帶]
  • 남산요[南山謠]
  • 남악[男樂]
  • 남원 경치[南原景致]
  • 남원산성[南原山城]
  • 남전대[藍纏帶]
  • 남정가[南征歌]
  • 남주의[藍紬衣]
  • 남창[男唱]
  • 남창 가곡[男唱歌曲]
  • 남창 춘향가[男唱春香歌]
  • 남해곡(거문고곡:옥보고)[南海曲]
  • 남해안 별신굿[南海岸別神--]
  • 남훈태평가[南薰太平歌]
  • 납씨가(악장:정도전)[納氏歌]
  • 납씨곡[納氏曲]
  • 낭도사령[浪淘沙令]
  • 낭옹신보(악보:김성기)[浪翁新譜]
  • 내는 장단[--長短]
  • 내당[內堂]
  • 내리더름표[--標]
  • 내리싸랭표[--標]
  • 내림게바라[來臨偈哱囉]
  • 내림표[--標]
  • 내원성[來遠城]
  • 내취[內吹:궁중취타대]
  • 내포제[內浦制]
  • 내포제시조[內浦制時調]
  • 내풍류[內風流]
  • 너나표[--標]
  • 너냥나냥
  • 너녜표[--標]
  • 너는 목
  • 너영나영
  • 널뛰기
  • 널뛰기 노래
  • 넓은 목
  • 넘김채
  • 네로나표[--標]
  • 네로네표[--標]
  • 노계가[蘆溪歌]
  • 노고[路鼓]
  • 노고 타령[盧古打令]
  • 노나표[--標]
  • 노너노느표[--標]
  • 노녜표[--標]
  • 노느노너표[--標]
  • 노니노표[--標]
  • 노니로표[--標]
  • 노도[路鼗]
  • 노동요[勞動謠]
  • 노들 강변[--江邊]
  • 노래(음악)
  • 노랫가락
  • 노령노래
  • 노부[鹵簿]
  • 노인가[老人歌]
  • 노인곡(거문고곡:옥보고)[老人曲]
  • 노장춤[老長--]
  • 노진규(1905-1981:예능인)[盧振奎]
  • 노창[臚唱]
  • 노처녀가[老處女歌]
  • 녹류춘풍[綠柳春風]
  • 녹음방초[綠陰芳草]
  • 녹초삼[綠綃衫]
  • 논매는 소리
  • 논문집[論文集]
  • 논삶는소리
  • 놀량
  • 놀량 목
  • 놀이노래
  • 놀이 무가[--巫歌]
  • 놀이요[--謠]
  • 놋다리 밟기
  • 농가 월령가[農家月令歌]
  • 농경의례[農耕儀禮]
  • 농공가무[農功歌舞]
  • 농발무[弄鈸舞]
  • 농부가[農夫歌]
  • 농악[農樂]
  • 농악기[農樂器]
  • 농악대[農樂隊]
  • 농악무[農樂舞]
  • 농악북[農樂--]
  • 농악 십이차[農樂十二次]
  • 농악 장구[農樂杖鼓]
  • 농악 장단[農樂長短]
  • 농악 편성[農樂編成]
  • 농업일노래
  • 농요[農謠]
  • 농음표[弄音標]
  • 농현[弄絃]
  • 농화무[弄花舞]
  • 놓는 목
  • 뇌고[雷鼓]
  • 뇌도[雷鼗]
  • 눅은 목
  • 눈대목
  • 눈죽조[嫩竹調]
  • 느나니나표[--標]
  • 느나니표[--標]
  • 느나표[--標]
  • 느너느표[--標]
  • 느녜표[--標]
  • 느니르나니표[--標]
  • 느니르표[--標]
  • 느니표[--標]
  • 느라표[--標]
  • 느로니더여표[--標]
  • 느로니르표[--標]
  • 느리개타령[─打令]
  • 느린 굿거리 장단[--長短]
  • 느린마치
  • 느린 목
  • 느린 살풀이 장단[--煞--長短]
  • 느린 진양 장단[--長短]
  • 느린 타령 장단[--打令長短]
  • 느린 허튼 타령[--打令]
  • 느진 길군악 칠채[ㅡ軍樂七ㅡ]
  • 느진 연물 장단[--長短]
  • 느진 자진 모리 장단[--長短]
  • 는실 타령[--打令]
  • 능게
  • 능엄찬[楞嚴讚]
  • 늦추어서
  • 늴리리
  • 늴리리야
  • 니나표[--標]
  • 니댜야표[--標]
  • 니라표[--標]
  • 니레나표[--標]
  • 니레다야표[--標]
  • 니레표[--標]
  • 니로나표[--標]
  • 니로표[--標]
  • 니루니표[--標]
  • 니르나니표[--標]
  • 니리구 얼싸
  • 니표[--標]
  • 다게[茶偈]
  • 다게 작법[茶偈作法]
  • 다는 목
  • 다는 장단[--長短]
  • 다는 장단형[--長短型]
  • 다대포후리소리[多大浦─]
  • 다드래기
  • 다루치기
  • 다스름
  • 다야니더여표[--標]
  • 다야니르표[--標]
  • 다요[多搖]
  • 단가[短歌]
  • 단가(짧은노래)[短歌]
  • 단가행[短歌行]
  • 단소[短簫]
  • 단소 교범(저서:김기수)[短簫敎範]
  • 단소 산조[短簫散調]
  • 단소 요가[短簫鎐歌]
  • 단소장[短簫匠]
  • 단시조[短時調]
  • 단오제[端午祭]
  • 단장 이별곡[斷腸離別曲]
  • 단장인단표회곡[斷腸人簞瓢懷曲]
  • 단잽이[單--]
  • 단정례[單頂禮]
  • 단정례 허덜품[單頂禮--]
  • 단중모리장단[--長短]
  • 단형시조[單形時調]
  • 달거리[月令歌]
  • 달거리 놀이
  • 달구 소리
  • 달기(가야금곡:우륵)[達己]
  • 달도가[怛忉歌]
  • 달풀이
  • 달하 노피곰(가야금곡:황병기)
  • 담고[擔鼓]
  • 담바귀 타령[--打令]
  • 담부난보지태[擔負難步之態]
  • 담원시조[薝園時調]
  • 담종[擔鐘]
  • 답사행 가무[踏沙行歌舞]
  • 당기는표[--標]
  • 당부[唐部]
  • 당비파[唐琵琶]
  • 당산굿[堂山--]
  • 당산제[堂山祭]
  • 당악[唐樂]
  • 당악곡[唐樂曲]
  • 당악기[唐樂器]
  • 당악 장단[唐樂--]
  • 당악 정재[唐樂呈才]
  • 당음[唐音]
  • 당적[唐笛]
  • 당주굿
  • 당피리[唐--]
  • 당피리 중심 관악 합주[唐--中心管樂合奏]
  • 대각[大角]
  • 대각수[大角手]
  • 대감놀이[大監--]
  • 대감타령
  • 대강[大綱]
  • 대강박[大綱拍]
  • 대강보[大綱譜]
  • 대고[大鼓]
  • 대고장[大鼓匠]
  • 대공후[大箜篌]
  • 대국[大國]
  • 대금(관악기)[大芩]
  • 대금 교본(저서:김기수)[大금敎本]
  • 대금 명인[大芩名人]
  • 대금무[碓琴舞]
  • 대금 산조[大芩散調]
  • 대금 산조 명인[大芩散調名人]
  • 대금소리[大芩--]
  • 대금장[大笒匠]
  • 대금 정악
  • 대너리
  • 대도곡[大道曲]
  • 대동[大同]
  • 대동강곡[大同江曲]
  • 대려[大呂]
  • 대례복[大禮服]
  • 대마디 대장단
  • 대면[大面]
  • 대명지곡[大明之曲]
  • 대모[玳瑁]
  • 대모반[玳瑁盤]
  • 대무[對舞]
  • 대문놀이[大門─]
  • 대바람 소리(대금협주곡:이상규)
  • 대사례악장[大射禮樂章]
  • 대사습놀이[大私習--]
  • 대섬수[大閃袖]
  • 대성 아악[大晟雅樂]
  • 대성악[大成樂]
  • 대성악보[大成樂譜]
  • 대악(궁중음악)[大樂]
  • 대악(노래:백결선생)[碓樂]
  • 대악감[大樂監]
  • 대악서[大樂署]
  • 대악 전보(저서:서명응)[大樂前譜]
  • 대악 후보(저서:서명응)[大樂後譜]
  • 대여음[大餘音]
  • 대엽[大葉]
  • 대엽조[大葉調]
  • 대왕반[大王飯]
  • 대유[大猶]
  • 대유(종묘제례악)[大猷]
  • 대장부가(가야금병창:강남중)[大丈夫歌]
  • 대쟁[大箏]
  • 대점[大點]
  • 대정십구년명금고[大定十九年銘金鼓]
  • 대정지곡[大定之曲]
  • 대축[大祝]
  • 대춘향전[大春香傳]
  • 대취타[大吹打]
  • 대취타 편성[大吹打編成]
  • 대침[大沈]
  • 대풍류(국악기편성법)[竹風流]
  • 대피리[大--]
  • 대함
  • 대헌[大獻]
  • 대현[大絃]
  • 대현표[大絃標]
  • 댕기 노래
  • 댕기 타령[--打令]
  • 더늠
  • 더덕채
  • 더러러러
  • 더름표[--標]
  • 더벅머리 삼패[搭仰謨利三牌]
  • 더여나표[--標]
  • 더여라표[--標]
  • 덕사내[德思內]
  • 덕석몰기
  • 덜미 목
  • 덜미 소리
  • 덜미쇠
  • 덤부리산 장단[--長短]
  • 덧길이
  • 덧배기 놀이
  • 덧배기 법고 놀이[--法鼓--]
  • 덧뵈기
  • 덧뵈기 장단[--長短]
  • 덧뵈기춤
  • 덩덕궁이 장단[--長短]
  • 도(거문고연주법)[挑]
  • 도(국악기)[鼗]
  • 도가[道歌]
  • 도구 유희요[道具遊戱謠]
  • 도동곡[道東曲]
  • 도둑 숨
  • 도드락 장단[--長短]
  • 도드리(진주농악십이차)
  • 도드리(환입곡)
  • 도드리 장단[--長短]
  • 도라지 타령[--打令]
  • 도랑선배 청정각씨 노래
  • 도량게[道場偈]
  • 도량게작법[道場偈作法]
  • 도령가[徒領歌]
  • 도리깨질 소리
  • 도리화가[桃李花歌]
  • 도산가(가사:조성신)[陶山歌]
  • 도산 십이곡(시조:이황)[陶山十二曲]
  • 도살풀이 장단[道煞--長短]
  • 도선길(1455-1468)[都善吉]
  • 도섭[道習]
  • 도솔가(가악)[兜率歌]
  • 도솔가(향가)[兜率歌]
  • 도수아[掉袖兒]
  • 도이장가[悼二將歌]
  • 도임사수원사가
  • 도창[導唱]
  • 도창악사[導唱樂師]
  • 도천수 관음가[禱千手觀音歌]
  • 도피 피리[桃皮--]
  • 도형보[圖形譜]
  • 도화타령[桃花--]
  • 독[牘]
  • 독경[讀經]
  • 독경(정대업)[篤慶]
  • 독경곡[篤慶曲]
  • 독공(독학)[獨工]
  • 독공(발성수련)[獨功]
  • 독락당[獨樂堂]
  • 독락팔곡[獨樂八曲]
  • 독주[獨奏]
  • 독주곡[獨奏曲]
  • 독주회[獨奏會]
  • 돈돌나리
  • 돈실타령[--打令]
  • 돋움새
  • 돌개소리
  • 돌괘[--棵]
  • 돌돌이
  • 돌려부르는 방식[--方式]
  • 돌아악
  • 돌장[─章]
  • 돌 장단[--長短]
  • 돔부리 장단[--長短]
  • 동가선
  • 동강산제[東江山制]
  • 동경[東京]
  • 동고[銅鼓]
  • 동구[銅口]
  • 동녀요[童女謠]
  • 동동[動動]
  • 동동무[動動舞]
  • 동래 야유[東萊野遊]
  • 동래 학춤[東萊鶴--]
  • 동맹[東盟]
  • 동물 유희요[動物遊戱謠]
  • 동발[銅鈸]
  • 동백목[冬柏木]
  • 동백 타령[冬栢打令]
  • 동부 무악[東部巫樂]
  • 동부 민요[東部民謠]
  • 동살풀이 장단[--煞--長短]
  • 동심가[同心歌]
  • 동아따기
  • 동아따기 소리
  • 동요집[童謠集]
  • 동작 유희요[動作遊戱謠]
  • 동정추월지태[洞庭秋月之態]
  • 동제[洞祭]
  • 동종[銅鐘]
  • 동창[童唱]
  • 동창이[東窓--]
  • 동창 춘향가[童唱春香歌]
  • 동초제[東超制]
  • 동팔랑[銅八郞]
  • 동편제[東便制]
  • 동편제 수궁가[東便制水宮歌]
  • 동편제 흥보가[東便制興甫歌]
  • 동풍가(민요)[東風歌]
  • 동풍노래[東風─]
  • 동해안 무악 장단[東海岸巫樂長短]
  • 동해안 별신굿[東海岸別神--]
  • 된 목
  • 두갑[頭匣]
  • 두거[頭擧]
  • 두렁쇠
  • 두레굿
  • 두레패[--牌]
  • 두루룽표[--標]
  • 두루마기
  • 둑제[纛祭]
  • 둥가 타령[--打令]
  • 둥그래당실
  • 둥근 목
  • 둥당기 타령
  • 둥둥타령[--打令]
  • 뒤넘는소리표[--標]
  • 뒷궁
  • 뒷산타령[-山打令]
  • 뒷손 자리
  • 뒷치배
  • 드렁갱이 장단[--長短]
  • 득음[得音]
  • 들국화타령[─菊花打令]
  • 들놀음
  • 등가[登歌]
  • 등가악[登歌樂]
  • 등게[燈偈]
  • 등게 허덜품[燈偈--]
  • 등등곡[登登曲]
  • 등맞이굿
  • 등왕각서[滕王閣序]
  • 등채[藤策]
  • 등타령[燈打令]
  • 디딤새
  • 땅재주
  • 떠는 목
  • 떡노래
  • 떡 목
  • 떡타령
  • 떨음표[--標]
  • 떼는 목
  • 뜬쇠
  • 뜯는표[--標]
  • 뜰모리
  • 뜰표[--標]
  • 띠[帶]
  • 로니로표[--標]
  • 로표[--標]
  • 류형선(1965-:국악인)
  • 마구간굿[馬廐間--]
  • 마는 목
  • 마당(판)
  • 마당극[--劇]
  • 마당놀이
  • 마당밟기굿
  • 마들농요[--農謠]
  • 마루
  • 마른 목
  • 마을굿
  • 막목[莫目]
  • 막바라[--哱囉]
  • 막음채
  • 막조[邈調]
  • 만고가[萬古歌]
  • 만고 강산[萬古江山]
  • 만기[慢機]
  • 만년환만[滿年歡慢]
  • 만대엽[慢大葉]
  • 만덕(?-?:가야금명인:신라)[萬德]
  • 만만파파식적[滿滿波波息笛]
  • 만분가[萬憤歌]
  • 만수무[萬壽舞]
  • 만수받이
  • 만엽치요도[萬葉熾瑤圖]
  • 만장단[--長短]
  • 만전춘[滿殿春]
  • 만조환령[滿朝歡令]
  • 만파식적[滿滿波波息笛]
  • 만파정식지곡[萬波停息之曲]
  • 만학천봉[萬壑千峯]
  • 말군[襪裙]
  • 말명거리
  • 말 붙임새
  • 말엮기요
  • 말장단[--長短]
  • 망건노래[網巾--]
  • 망국 애가[亡國哀歌]
  • 망부사[望夫詞]
  • 망선문[望仙門]
  • 망자풀이[亡者--]
  • 매[韎,昧]
  • 매굿(관현악작품집:김영동)
  • 매롱이소리
  • 매암(호:이숙량)[梅巖]
  • 매호 별곡[梅湖別曲]
  • 매화(시조:안민영)사[梅花詞]
  • 매화가(십이가사)[梅花歌]
  • 매화점[梅花點]
  • 매화점 자리[梅花點--]
  • 매화점 장단[梅花點長短]
  • 매화 타령[梅花--]
  • 맴돌이 장단[--長短]
  • 맷돌노래
  • 맹꽁이 타령[--打令]
  • 맹사성(1360-1438:재상:조선)[孟思誠]
  • 맹상군가[孟嘗君歌]
  • 맹수포물지세[猛獸抱物之勢]
  • 맹인 덕담가[盲人德談歌]
  • 맺는 장단[--長短]
  • 맺는 장단형[--長短型]
  • 먼저 속도보다 좀 늦추어서[--速度--]
  • 먼저 속도보다 좀 속하게 몰아서[--速度--速--]
  • 멋벅구 놀이
  • 메기고 받는 방식[--方式]
  • 메기고 받는 소리
  • 메기고 받는 형식[--形式]
  • 메기는 소리
  • 메나리조[--調]
  • 메밀노래
  • 면복[冕服]
  • 면앙정가[俛仰亭歌]
  • 멸치 후리는 소리
  • 명당가[明堂歌]
  • 명당 고사[明堂告祀]
  • 명바라[鳴哱囉]
  • 명안지곡[明安之曲]
  • 명안지악[明安之樂]
  • 명완벽(1842-1929:가야금)[明完璧]
  • 명인호보[名人號譜]
  • 명주[溟州]
  • 명주가[溟州歌]
  • 명지표[--標]
  • 명창[名唱]
  • 모갑[某甲]
  • 모갑이[某甲--]
  • 모듬북
  • 모뜬 소리
  • 모란찬작법[牡丹讚作法]
  • 모리(개념)
  • 모리(장단)
  • 모심는 소리
  • 모음곡 형식[--曲形式]
  • 모자[帽子]
  •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 모찌기 소리
  • 모흥갑(?-?:판소리명창)[牟興甲]
  • 목계가[木鷄歌]
  • 목계 별신제[--別神祭]
  • 목근통신(저서:김소운)[木槿通信]
  • 목금[木琴]
  • 목도소리
  • 목동가(가사:임유후)[牧童歌]
  • 목부[木部]
  • 목어[木魚]
  • 목욕진언[沐浴眞言]
  • 목주가[木州歌]
  • 목중춤
  • 목탁[木鐸]
  • 목퇴[木槌]
  • 목피리
  • 목화[木靴]
  • 몬놀 소리
  • 몰부가[沒斧歌]
  • 몽금척[夢金尺]
  • 몽금포 타령[夢金浦打令]
  • 몽두리[蒙頭里]
  • 몽유가[夢遊歌]
  • 몽천요(시조:윤선도)[夢天謠]
  • 묘입운중지세[妙入雲中之勢]
  • 무가[巫歌]
  • 무경[巫經]
  • 무고[舞鼓]
  • 무고무(舞鼓舞)
  • 무고정재[舞鼓呈才]
  • 무공[武工]
  • 무구[舞具]
  • 무녀시조[巫女時調]
  • 무당[巫堂]
  • 무당무[巫堂舞]
  • 무덕악[武德樂]
  • 무동[舞童]
  • 무동춤[舞童--]
  • 무등산[無等山]
  • 무령지곡[武寧之曲]
  • 무릎디피무[--舞]
  • 무릎 장단[--長短]
  • 무무[武舞]
  • 무변[武弁]
  • 무보[舞譜]
  • 무복[舞服]
  • 무산향[舞山香]
  • 무속무용[巫俗舞踊]
  • 무속 음악[巫俗音樂]
  • 무숙이 타령[武叔--打令]
  • 무신[巫神]
  • 무악 장단[巫樂長短]
  • 무안왕묘제악[武安王廟祭樂]
  • 무안지곡[武安之曲]
  • 무애가[無㝵歌]
  • 무애무[無㝵舞]
  • 무양[武揚]
  • 무역[無射]
  • 무역궁[無射宮]
  • 무역평조[無射平調]
  • 무열지곡[武烈之曲]
  • 무요[巫謠]
  • 무용[舞踊]
  • 무용 음악[舞踊音樂]
  • 무용총[舞踊塚]
  • 무의[舞儀]
  • 무작[無作]
  • 무진[舞進]
  • 무척[舞尺]
  • 무천[舞天]
  • 무퇴[舞退]
  • 무현(가야금)[武絃]
  • 무현(거문고)[武絃]
  • 무현표[武絃標]
  • 무형문화재 가야금산조 및 병창 보유자[無形文化財伽倻琴散調--竝唱保有者]
  • 무형문화재 예능 보유자[무형문화재예능보유자]
  • 무호가(가사:강응한)[武豪歌]
  • 묵책요[墨冊謠]
  • 문경 새재(작품:민요)[聞慶--]
  • 문군곡[問群曲]
  • 문굿[門--]
  • 문굿 무가[--巫歌]
  • 문덕곡(악장:정도전)[文德曲]
  • 문덕지무[文德之舞]
  • 문명지곡[文明之曲]
  • 문묘 제례악[文廟祭禮樂]
  • 문묘 제례악 악기 편성[文廟祭禮樂樂器編成]
  • 문무[文舞]
  • 문백윤(1910-1981:삼천포농악의명상쇠)[文伯允]
  • 문선왕제[文宣王祭]
  • 문소전악장[文昭殿樂章]
  • 문수빈(?-?:가인:조선)[文守彬]
  • 문영수(1867-?:서도소리명창)[文泳洙]
  • 문육지(1913-1992:국악인)[文陸地]
  • 문자보[文字譜]
  • 문자 유희요[文字遊戱謠]
  • 문충(1213-1259:고려)[文忠]
  • 문충(?-?:고려)[文忠]
  • 문학사조[文學思潮]
  • 문현[文絃]
  • 문현표[文絃標]
  • 물계자가[勿稽子歌]
  • 물레
  • 물레 노래
  • 물레 타령[--打令]
  • 물방구
  • 물혜(가야금곡:우륵)[勿彗]
  • 미궁(가야금곡:황병기)[迷宮]
  • 미나리요[--謠]
  • 미는 목
  • 미는 장단[--長短]
  • 미는표[--標]
  • 미단[尾團]
  • 미마지[味摩之]
  • 미미곡[亹亹曲]
  • 미선[尾扇]
  • 미전사[尾前詞]
  • 미지[美知]
  • 미지무[美知舞]
  • 미지악[美知樂]
  • 미타찬[彌陀讚]
  • 미후사[尾後詞]
  • 민간 신앙가[民間信仰歌]
  • 민살풀이[--煞--]
  • 민속 무용[民俗舞踊]
  • 민속 무용 음악[民俗舞踊音樂]
  • 민속악[民俗樂]
  • 민속악 장단[民俗樂長短]
  • 민속악회 시나위[民俗樂會--]
  • 민속 지학[民俗地學]
  • 민요[民謠]
  • 민요풍 창작가요[民謠風創作家謠]
  • 민족악기[民族樂器]
  • 민 푸너리 장단[--長短]
  • 밀양 백중놀이[密陽百中--]
  • 밀양 북춤[密陽--]
  • 밀양 아리랑[密陽--]
  • 밑도드리
  • 바깥채비
  • 바깥채비 소리
  • 바느질 노래
  • 바늘노래
  • 바디
  • 바라무[哱囉舞]
  • 바라지
  • 바라춤[哱囉--]
  • 바심 소리
  • 바위 타령[--打令]
  • 바지
  • 박(타악기)[拍]
  • 박경규(1903-1970:예능인)[朴景奎]
  • 박곤(?-?:전악:조선)[朴棍]
  • 박귀희(1921-1993:판소리명창)[朴貴姬]
  • 박균석(1919-1989:악기장)[朴均錫]
  • 박기홍(?-?:판소리명창)[朴基洪]
  • 박녹주(1906-1979:판소리명창)[朴綠珠]
  • 박동신(1909-1992:강령탈춤기예능보유자)[朴東信]
  • 박동진(1916-2003:판소리명창)[朴東鎭]
  • 박만순(?-?:판소리명창)[朴萬順]
  • 박문욱(?-?:가객:조선)[朴文郁]
  • 박범훈(1948-:피리명인)[朴範薰]
  • 박범훈류 피리 산조[朴範薰流--散調]
  • 박봉래(1900-1933:판소리명창)[朴奉來]
  • 박봉술(1922-1989:판소리명창)[朴奉述]
  • 박부[搏拊]
  • 박상근(1905-1949:가야금산조명인)[朴相根]
  • 박상근류 가야금 산조[朴相根流伽倻琴散調]
  • 박상도(?-?:판소리명창)[朴尙道]
  • 박석기(1900-1953:거문고산조명인)[朴錫驥]
  • 박송암(1915-2000:태고종대종사)[朴松巖]
  • 박시춘(1913-1996:작곡가)[朴是春]
  • 박연(1378-1458:음악가:조선전기)[朴堧]
  • 박연 폭포[朴淵瀑布]
  • 박영복(1907-1980:장구명인)[朴永福]
  • 박옥진(1934-2004:국악인)[朴玉珍]
  • 박유전(1835-1906:판소리명창:조선후기)[朴裕全]
  • 박인로(1561-1642:문인:조선중기)[朴仁老]
  • 박적[拍笛]
  • 박접무[撲蝶舞]
  • 박종기(1880-1947:대금산조명인:조선말기)[朴鐘基]
  • 박종기류 대금 산조[朴鐘基流大芩散調]
  • 박종선(1941-:아쟁산조명인)[朴鍾善]
  • 박종선류 아쟁 산조[朴鍾善流牙箏散調]
  • 박준(?-?:악장가사의편자)[朴浚]
  • 박지홍(1889-1961:판소리명창)[朴枝洪]
  • 박첨지 놀음[朴僉知--]
  • 박초월(1913-1983:판소리명창)[朴初月]
  • 박춘경(?-?:명창)[朴春景]
  • 박춘재(1881-1948:명창)[朴春載]
  • 박타령[--打令]
  • 박태준(1900-1986:작곡가·합창지휘자)[朴泰俊]
  • 박판석(1857-1940:판소리고수)[朴判錫]
  • 박팔괘(1882-1940:가야금산조명인)[朴八卦]
  • 박표[拍標]
  • 박헌봉(1907-1977:국악이론가)[朴憲鳳]
  • 박형래(1927-2007)[朴炯來]
  • 박효관(?-?:가인:조선)[朴孝寬]
  • 박후웅(?-?:가객)[朴後雄]
  • 반각[半刻:半脚]
  • 반각 시조[半角時調]
  • 반경드름[半--]
  • 반경 토리[半京--]
  • 반군악[半軍樂]
  • 반규법[半窺法]
  • 반길이[半--]
  • 반 다드래기[半--]
  • 반드림제[半--制]
  • 반법고 웃놀음[半法鼓--]
  • 반복표[反復標]
  • 반사설 시조[半辭說時調]
  • 반살풀이 장단[半煞--長短]
  • 반설음 장단[--長短]
  • 반섭조[般涉調]
  • 반염불 장단[半念佛長短]
  • 반엽[半葉]
  • 반영산[半靈山]
  • 반우반계[半羽半界]
  • 반자[飯子]
  • 반주음악[伴奏音樂]
  • 반하무[班賀舞]
  • 반화전가[反花煎歌]
  • 반회심곡[半回心曲]
  • 받는 소리
  • 발(활)[撥]
  • 발검[拔劍]
  • 발림
  • 발목[撥木]
  • 발발성[--聲]
  • 발상지악[發祥之樂]
  • 발탈
  • 발해금[渤海琴]
  • 발해악[渤海樂]
  • 밤엿 타령
  • 밧짝
  • 방개[方蓋]
  • 방개 타령[--打令]
  • 방구
  • 방대[方臺]
  • 방등산곡[方登山曲]
  • 방만춘(1825-?:판소리명창)[方萬春]
  • 방물가[房物歌]
  • 방산 한씨 금보[芳山韓氏琴譜]
  • 방심곡령[方心曲領]
  • 방아 타령(경기,서도민요)[--打令]
  • 방아 타령(심청가)[--打令]
  • 방앗돌 굴리는 소리
  • 방울
  • 방울 목
  • 방의[防衣]
  • 방패연[防牌鳶]
  • 방향[方響]
  • 방황[彷徨]
  • 밭매는 소리
  • 밭밟는 소리
  • 배꽃 타령
  • 배내리는 소리
  • 배다리 장단[--長短]
  • 배따라기
  • 배무[背舞]
  • 배반[盃盤]
  • 배뱅이굿(국악작품:김관준)
  • 배비장전[裵裨將傳]
  • 배비장 타령[裵裨將打令]
  • 배설향(1895-1938:판소리명창)[裵雪香]
  • 배소[排簫]
  • 배치기 소리
  • 배탁성[倍濁聲]
  • 백결 선생(?-?:거문고명인:신라)[百結先生]
  • 백경순(?-?:판소리명창)[白慶順]
  • 백구사[白鷗詞]
  • 백근룡(?-?:판소리명창)[白根龍]
  • 백낙준(1876?-1930?:거문고산조창시자)[白樂俊]
  • 백대웅(1943-2011:국악인)
  • 백로규어지세[白鷺竅魚之勢]
  • 백모란(?-1944:경기,서도민요명창)[白牡丹]
  • 백발가[白髮歌]
  • 백보장[百寶粧]
  • 백상루 별곡(가사:이현)[百祥樓別曲]
  • 백수한[白首恨]
  • 백실[白實]
  • 백운암 금보[白雲庵琴譜]
  • 백점봉(1920-?:판소리명창및창극인)[白點奉]
  • 백점택(?-?:판소리명창)[白點澤]
  • 백제금[百濟琴]
  • 백제 음악[百濟音樂]
  • 백제적[百濟笛]
  • 백패 고사[白牌告祀]
  • 백희[百戱]
  • 뱃고사[--告祀]
  • 뱃노래
  • 뱃노래(뱃사공이부르는노래)
  • 버나
  • 버나쇠
  • 버나잡이
  • 버릇 유희요[--遊戱謠]
  • 벅구
  • 벅구 잡이
  • 번갈아 부르는 방식[--方式]
  • 번방곡[番方曲]
  • 번역문학가[飜譯文學家]
  • 번화곡[繁花曲]
  • 벌곡조[伐谷鳥]
  • 벌아 벌아 꿀 떠라
  • 벌채 노동요[伐採勞動謠]
  • 범벅 타령[--打令]
  • 범종[梵鐘]
  • 범패[梵唄]
  • 범패승[梵唄僧]
  • 범피중류[泛彼中流]
  • 법가[法駕]
  • 법가노부[法駕鹵簿]
  • 법고[法鼓]
  • 법고 놀이[法鼓--]
  • 법고춤[法鼓--]
  • 법무[法舞]
  • 법성포 뱃노래(곡:안기옥)[法聖浦--]
  • 법지(?-?:신라)[法知]
  • 벙어리 삼채[--三--]
  • 베틀가[--歌]
  • 벼부치기소리
  • 벼슬궁
  • 벽위가[闢衛歌]
  • 변강쇠 타령(경기잡가)[--打令]
  • 변강쇠 타령(판소리)[--打令]
  • 변궁[變宮]
  • 변동식(1923-1999:국악인)[邊同植]
  • 변박표[變拍標]
  • 변영호(1907-1996:퉁소명인)[邊永鎬]
  • 변조[變調]
  • 변죽
  • 변치[變徵]
  • 변형 장단[變形長短]
  • 별거리 놀이
  • 별곡(궁중연례악의하나)[別曲]
  • 별곡(우리의가요)[別曲]
  • 별굿 놀이
  • 별기은[別祈恩]
  • 별대왕[別大王]
  • 별사미인곡(가사:김춘택)[別思美人曲]
  • 별신굿[別神--]
  • 별우조 타령[別羽調--]
  • 별제 난봉가[別製難逢歌]
  • 별조공명가[別調孔明歌]
  • 별조 아리랑[別調--]
  • 별춘향가[別春香歌]
  • 별호[別號]
  • 병신 난봉가[病身難逢歌]
  • 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
  • 병와 문집(문집:이형상)[瓶窩文集]
  • 병정 타령[兵丁打令]
  • 병주[竝奏:倂奏]
  • 병창[竝唱]
  • 보개회향가[普皆廻向歌]
  • 보기(가야금곡:우륵)[寶伎]
  • 보렴[報念]
  • 보례[普禮]
  • 보례 허덜품[普禮--]
  • 보리 타작 노래[--打作--]
  • 보배(1860-1945:명창)[寶貝]
  • 보살[菩薩]
  • 보상무[寶相舞]
  • 보상반[寶相盤]
  • 보소청진언[普召請眞言]
  • 보예[保乂]
  • 보태평[保太平]
  • 보허자[步虛子]
  •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 보회향진언[普回香眞言]
  • 복두[幞頭]
  • 복청게[伏請偈]
  • 복판[腹板]
  • 본래 속도로[本來速度--]
  • 본반[本半]
  • 본사찬[本師讚]
  • 본조 아리랑[本調---]
  • 본청[本淸]
  • 본풀이 무가[本解巫歌]
  • 봉동채
  • 봉래 별곡[蓬萊別曲]
  • 봉래의[鳳來儀]
  • 봉미[鳳尾]
  • 봉산곡[鳳山曲]
  • 봉산 탈춤[鳳山--]
  • 봉상시[奉常寺]
  • 봉선[鳳扇]
  • 봉선화가(가사:허난설헌)[鳳仙花歌]
  • 봉소[鳳簫]
  • 봉업사정우5년명금고[奉業寺貞祐五年銘金鼓]
  • 봉작취[鳳雀吹]
  • 봉지가
  • 봉황곡[鳳凰曲]
  • 봉황대상[鳳凰臺上]
  • 봉황음(작품:윤회)[鳳凰吟]
  • 봉황조[鳳凰調]
  • 부[缶]
  • 부녀요[婦女謠]
  • 부들
  • 부법고[副法鼓]
  • 부산 농악[釜山農樂]
  • 부서
  • 부쇠[副釗]
  • 부쇠 놀이[副--]
  • 부여 산유화가[夫餘山有花歌]
  • 부여 용정리 상여 소리[扶餘龍井里喪輿--]
  • 부엽[附葉]
  • 부용관[芙蓉冠]
  • 부장고[副杖鼓]
  • 부전수[副典需]
  • 부전율[副典律]
  • 부전음[副典音]
  • 부정굿[不淨--]
  • 부정놀이 장단[不淨--長短]
  • 부정놀이 춤[不淨--]
  • 부정 장단[不淨長短]
  • 부채춤
  • 부호보[符號譜]
  • 북[鼓]
  • 북관곡(가사:송주석)[北關曲]
  • 북부 경토리[北部京--]
  • 북장단[--長短]
  • 북전[北殿]
  • 북정가[北征歌]
  • 북채
  • 북천가[北遷歌]
  • 북청 사자 놀음[北靑獅子--]
  • 북춤
  • 북편
  • 북표[--標]
  • 분웅[奮雄]
  • 분천강호가(시조:이숙량)[汾川講好歌]
  • 불교 가사[佛敎歌辭]
  • 불교 무용[佛敎舞踊]
  • 불교 음악[佛敎音樂]
  • 불교의례[佛敎儀禮]
  • 불림
  • 불림 장단[--長短]
  • 불만가[不滿歌]
  • 불수[拂袖]
  • 불수빈[不須嚬]
  • 불우헌가(단가:정극인)[不憂軒歌]
  • 불우헌곡(경기체가:정극인)[不憂軒曲]
  • 불효탄[不孝歎]
  • 붕우 춘회곡[朋友春懷曲]
  • 붙임새
  • 비가비
  • 비기능요[非技能謠]
  • 비나리쇠
  • 비나수 장단[--長短]
  • 비단길(가야금곡:황병기)[緋緞--]
  • 비단 타령(서울지방휘모리잡가의하나)[緋緞打令]
  • 비단 타령(흥보가)[緋緞打令]
  • 비목곡(거문고곡:옥보고)[比目曲]
  • 비성[鼻聲]
  • 비연우회지세[飛鳶迂廻之勢]
  • 비청[鼻淸]
  • 비파[琵琶]
  • 비형랑주사[鼻荊郎呪詞]
  • 빠르기
  • 빨래하는 노래
  • 뻗는소리표[--標]
  • 뻗음
  • 뼈피리
  • 뽑스린 목
  • 사거리[四--]
  • 사관청
  • 사관 풍류[舍館風流]
  • 사내기물악[思內奇物樂]
  • 사내악[思內樂]
  • 사다라니[四陀羅尼]
  • 사다라니바라[四茶羅尼哱囉]
  • 사단음[四短音]
  • 사당패[--牌]
  • 사대소리
  • 사랑가
  • 사룡[蛇龍]
  • 사륙집(저서:최치원)[四六集]
  • 사리원 난봉가[沙里院難逢歌]
  • 사리화[沙里花]
  • 사모[紗帽]
  • 사모곡[思母曲]
  • 사모요[詐謀謠]
  • 사모 잡이
  • 사물(가야금곡:우륵)[思勿]
  • 사물(범종,법고,운판,목어)[四物]
  • 사물(지명)[史勿]
  • 사물 놀이[四物--]
  • 사미
  • 사미인곡(가사:정철)[思美人曲]
  • 사발가[沙鉢歌]
  • 사방무[四方舞]
  • 사방요신작법[四方搖身作法]
  • 사방찬[四方讚]
  • 사부[絲部]
  • 사선무[四仙舞]
  • 사설 공명가[辭說孔明歌]
  • 사설 난봉가[辭說--歌]
  • 사설방아타령[辭說─打令]
  • 사설 시조[辭說設時調]
  • 사설 지름 시조[辭說--時調]
  • 사시 풍경가[四時風景歌]
  • 사악[詞樂]
  • 사엽[四葉]
  • 사음 음계[四音音階]
  • 사이 가락
  • 사일무[四佾舞]
  • 사자기(가야금곡:우륵)[獅子伎]
  • 사자 탈춤[獅子--]
  • 사장구[砂杖鼓]
  • 사제가[思弟歌]
  • 사제곡(가사:박인로)[莎堤曲]
  • 사중[祀中]
  • 사직궁악기제조청[社稷宮樂器製造廳]
  • 사직궁악기조성청의궤[社稷宮樂器造成廳儀軌]
  • 사직 제례악[社稷祭禮樂]
  • 사찬 악보[私撰樂譜]
  • 사창화류[紗窓花柳]
  • 사채[四--]
  • 사천시[泗川市]
  • 사철가[四--歌]
  • 사청[四淸]
  • 사청성[四淸聲]
  • 사촌집[沙村集]
  • 사통백이[四--]
  • 사팔혜(가야금곡:우륵)[沙八兮]
  • 삭고[朔鼓]
  • 삭대엽[數大葉]
  • 산대 놀이[山臺--]
  • 산도깨비
  • 산성[散聲]
  • 산수가[山水歌]
  • 산신가[山神歌]
  • 산신제[山神祭]
  • 산아지타령[--打令]
  • 산염불[山念佛]
  • 산예[狻猊]
  • 산유 만세 장단[--長短]
  • 산유화[山有花]
  • 산유화가[山有花歌]
  • 산조[散調]
  • 산조 가야금[散調伽倻琴]
  • 산조 대금[散調大笒]
  • 산조 아쟁[散調牙箏]
  • 산천 초목[山川草木]
  • 산타령패[山打令牌]
  • 산행[山杏]
  • 살판
  • 살판쇠
  • 살풀이(굿)[煞--]
  • 살풀이 장단[煞--長短]
  • 살풀이춤[煞--]
  • 삼공잽이 장단[--長短]
  • 삼국사기 악지[三國史記樂志]
  • 삼국 시대의 음악[三國時代--音樂]
  • 삼국악[三國樂]
  • 삼근(?-?:음악인:백제)[三斤]
  • 삼남태[三喃駄]
  • 삼단음[三短音]
  • 삼대령[三臺令]
  • 삼동막 살장구
  • 삼분 손익법[三分損益法]
  • 삼분 손일[三分損一]
  • 삼분 익일[三分益一]
  • 삼산은 반락[三山--半落]
  • 삼삼기소리
  • 삼설기[三說記]
  • 삼성대왕[三城大王]
  • 삼수대엽[三數大葉]
  • 삼악[三樂]
  • 삼엽[三葉]
  • 삼장[三藏]
  • 삼장개비
  • 삼정례[三頂禮]
  • 삼죽[三竹]
  • 삼죽금보[三竹琴譜]
  • 삼중대엽[三中大葉]
  • 삼지[三指]
  • 삼차굿[三次--]
  • 삼차 다드래기[三次--]
  • 삼차 법고 놀이[三次法鼓--]
  • 삼채 장단[三--長短]
  • 삼천포 농악[三千浦農樂]
  • 삼천포 농악 십이차[三千浦農樂十二次]
  • 삼청[三淸]
  • 삼패[三牌]
  • 삼현[三絃]
  • 삼현 도드리[三絃還入]
  • 삼현 삼죽[三絃三竹]
  • 삼현육각[三絃六角]
  • 삼현타령[三絃打令]
  • 상[裳]
  • 상(악기)[相]
  • 상(음이름)[商]
  • 상가라도(가야금곡:우륵)[上加羅都]
  • 상공운
  • 상기물(가야금곡:우륵)[上奇物]
  • 상대 별곡(경기체가:권근)[霜臺別曲]
  • 상모[象毛]
  • 상무동[上舞童]
  • 상번[上番]
  • 상법구[上法鼓]
  • 상사 노래[相思--]
  • 상사도야
  • 상사 별곡[想思別曲]
  • 상사 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 상사회답가[相思回答歌]
  • 상사 회답곡[相思回答曲]
  • 상성[上聲]
  • 상성표[上聲標]
  • 상쇠[上--]
  • 상쇠 놀음[上--]
  • 상수불학가[常隨佛學歌]
  • 상신열무[上辛熱舞]
  • 상애짓기
  • 상애 짓는 장단[--長短]
  • 상여[喪輿]
  • 상여꾼[喪輿--]
  • 상여 소리(심청가)[喪輿--]
  • 상여 소리(장례식)[喪輿--]
  • 상영산[上靈山]
  • 상영산(대금연주곡집:김영동)
  • 상영산 장단[上靈山長短]
  • 상원곡(거문고곡:옥보고)[上院曲]
  • 상저가[相杵歌]
  •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
  • 상주모내기[尙州--]
  • 상주모내기소리
  • 상주모심기[尙州--]
  • 상주 모심기 소리[尙州--]
  • 상주민요[尙州民謠]
  • 상주 아리랑
  • 상춘곡(가사:정극인)[賞春曲]
  • 상표[--標]
  • 새노래
  • 새봄(곡:안기옥)
  • 새쫓기노래
  • 새 쫓는 소리
  • 새타령[--打令]
  • 샘굿
  • 생가요량[笙歌寥亮]
  • 생매잡아
  • 생목[生--]
  • 생황[笙簧]
  • 생황자보[笙簧字譜]
  • 서[舌]
  • 서(가야금곡:이문)[鼠]
  • 서강월만[西江月慢]
  • 서경 별곡[西京別曲]
  • 서금가곡[西琴歌曲]
  • 서금보[西琴譜]
  • 서긍(1091-1153:송나라문신)[徐兢]
  • 서낭굿
  • 서도 놀량[西道--]
  • 서도 뒷산 타령[西道--山打令]
  • 서도 무악[西道巫樂]
  • 서도 민요[西道民謠]
  • 서도 선소리 산타령[西道--山打令]
  • 서도식 송서[西道式誦書]
  • 서도 앞산 타령[西道--山打令]
  • 서도 입창[西道立唱]
  • 서도 잡가[西道雜歌]
  • 서도 토리[西道--]
  • 서동요[薯童謠]
  • 서명응(1716-1787:문신:조선후기)[徐命膺]
  • 서사 무가[敍事巫歌]
  • 서사민요[敍事民謠]
  • 서안지악[舒安之樂]
  • 서어[鉏鋙]
  • 서왕가[西往歌]
  • 서용석(1940-2013:대금산조명인)[徐龍錫]
  • 서용석류 대금 산조[徐龍錫流大芩散調]
  • 서우제소리
  • 서울 국악 예술 고등 학교[--國樂藝術高等學校]
  • 서울 굿 무가[--巫歌]
  • 서자고[瑞鷓鴣]
  • 서정 무가[抒情巫歌]
  • 서정 장단[抒情長短]
  • 서치기
  • 서침표[--標]
  • 서편제[西便制]
  • 서편제 춘향가[西便制春香歌]
  • 서편제 흥보가[西便制興甫歌]
  • 서해안 배연신굿[西海岸--]
  • 서호 별곡[西湖別曲]
  • 석남 사내[石南思內]
  • 석노교[惜奴嬌]
  • 석별가[惜別歌]
  • 석부[石部]
  • 석종[石鐘]
  • 석춘사[惜春詞]
  • 석하곡[錫蝦曲]
  • 석화제[--制]
  • 석화춘조기만[惜花春早起慢]
  • 선구호[先口號]
  • 선농[先農]
  • 선농제[先農祭]
  • 선도반[仙桃盤]
  • 선루 별곡[仙樓別曲]
  • 선법
  • 선부리 장단[先--長短.]
  • 선사노부[宣赦鹵簿]
  • 선상탄(가사:박인로)[船上歎]
  • 선소리꾼
  • 선소리패
  • 선시[禪詩]
  • 선운산가[禪雲山歌]
  • 선위[宣威]
  • 선유가[船遊歌]
  • 선유락[船遊樂]
  • 선율 기보법[旋律記譜法]
  • 선율선보[旋律線譜]
  • 선잠[先蠶]
  • 선잠제[先蠶祭]
  • 선흘리 안판관 본풀이
  • 설렁제[--制]
  • 설쇠
  • 설재천(1906-1988:선소리꾼)[薛在川]
  • 설전군유[舌戰群儒]
  • 성경린(1911-2008:거문고연주자)[成慶麟]
  • 성금연류의 가야금산조[成錦鳶流--伽倻琴散調]
  • 성대중(-:북청부사)[成大中]
  • 성산 별곡(가사:정철)[星山別曲]
  • 성악 창법[聲樂唱法]
  • 성안지악[成安之樂]
  • 성조가(단가:신재효)[成造歌]
  • 성주 중흥가(가사:정훈)[聖主中興歌]
  • 성주 풀이[城主--]
  • 성창순(1934-2017:판소리명창)[成昌順]
  • 성택무(무용)[聖澤舞]
  • 성현(1439-1504:문신:조선)[成俔]
  • 성황반[城隍飯]
  • 세경 본풀이
  • 세로일표[--一標]
  • 세마치 장단[--長短]
  • 세성[細聲]
  • 세습 무당[世襲巫堂]
  • 세시 유희요[歲時遊戱謠]
  • 세악[細樂]
  • 세악 편성[細樂編成]
  • 세영산[細靈山]
  • 세영산 장단[細靈山長短]
  • 세조실록악보[世祖實錄樂譜]
  • 세조 악보(보태평)[世祖樂譜]
  • 세조 악보(정대업)[世祖樂譜]
  • 세존굿[世尊--]
  • 세종실록악보[世宗實錄樂譜]
  • 세종 악보(보태평)[世宗樂譜]
  • 세종 악보(정대업)[世宗樂譜]
  • 세청[細--]
  • 세틀
  • 세틀 형식[--形式]
  • 세피리[細--]
  • 센더름표[--標]
  • 소(관악기)[簫]
  • 소강표[小强標]
  • 소고춤[小鼓--]
  • 소공후[小箜篌]
  • 소금(관악기)[小笒]
  • 소년유[少年遊]
  • 소년 행락이 다 진커든[少年行樂--盡--]
  • 소놀음굿
  • 소라진법채[--陣法--]
  • 소라표[--標]
  • 소리꾼
  • 소리 명창[--名唱]
  • 소리북
  • 소리조 아니리[--調--]
  • 소무[昭武]
  • 소박[小拍]
  • 소 보허사[小步虛詞]
  • 소상 팔경가[瀟湘八景歌]
  • 소성[疏聲]
  • 소약표[小弱標]
  • 소엽[小葉]
  • 소용[搔聳]
  • 소점[小點]
  • 소종[小鐘]
  • 소지표(거문고)[小指標]
  • 소지표(해금)[小指標]
  • 소춘향가[小春香歌]
  • 소취타[小吹打]
  • 소피리[小--]
  • 속독[束毒]
  • 속목
  • 속미인곡(가사:정철)[續美人曲]
  • 속사미인곡(가사:이진유)[續思美人曲]
  • 속악[俗樂]
  • 속악 고취[俗樂鼓吹]
  • 속악원보(악보집:장악원)[俗樂原譜]
  • 속요[俗謠]
  • 손춤
  • 송강 가사(가사:정철)[松江歌辭]
  • 송광록(?-?:판소리명창)[宋光祿]
  • 송광복(작곡집:김기수)[頌光復]
  • 송만갑(1865-1939:판소리명창)[宋萬甲]
  • 송만재(1788~1851:판소리연구가:조선후기)[宋萬載]
  • 송사[宋詞]
  • 송서[誦書]
  • 송순(1493-1582:문신:조선중기)[송순]
  • 송신[送神]
  • 송신악[送神樂]
  • 송우룡(1835-1897:판소리명창)[宋雨龍]
  • 송진[松津]
  • 송태평(?-?:향비파연주자:조선)[宋太平]
  • 송파 산대 놀이[松坡山臺--]
  • 송흥록(1801-1863:판소리명창)[宋興祿]
  • 쇠가락
  • 쇠옥성[--玉聲]
  • 수건춤[手巾--]
  • 수공 노동요[手工勞動謠]
  • 수공후[竪箜篌]
  • 수궁가[水宮歌]
  • 수룡음[水龍吟]
  • 수룡음만[水龍吟慢]
  • 수리성[--聲]
  • 수명명[受明命]
  • 수보록(춤)[受寶籙]
  • 수보록(회례악)[受寶籙]
  • 수부채 장단[--長短]
  • 수수 쌍불[垂手雙拂]
  • 수심가[愁心歌]
  • 수심가 토리[愁心歌--]
  • 수양산가[首陽山歌]
  • 수연장[壽延長]
  • 수영 야유[水營野遊]
  • 수월정가[水月亭歌]
  • 수잡가[首雜歌]
  • 수 장구[首--]
  • 수제천[壽齊天]
  • 수제천 장단[壽齊天長短]
  • 수필가[隨筆家]
  • 수희공덕가[隨喜功德歌]
  • 숙안지악[肅案之樂]
  • 숙여내는 소리
  • 숙영 낭자전[淑英娘子傳]
  • 숙제[肅制]
  • 숙천 난봉가[肅川--歌]
  • 순(가야금곡:이문)[鶉]
  • 순(악기)[錞]
  • 순검 타령[巡檢打令]
  • 순우[純佑]
  • 순응[順應]
  • 순팔역육법[順八逆六法]
  • 순획[順劃]
  • 술대[匙]
  • 술비 소리
  • 숨표[--標]
  • 숫자 뒤풀이[數字--]
  • 숫자보[數字譜]
  • 숫자요[數字謠]
  • 쉼표[--標]
  • 슬[瑟]
  • 슬기둥
  • 슬기둥표[--標]
  • 승강[承康]
  • 승려[僧侶]
  • 승무[僧舞]
  • 승전무[勝戰舞]
  • 승전무반주피리예능보유자
  • 승전무피리예능보유자[勝戰舞伴奏觱篥藝能保有者]
  • 승탑[僧塔]
  • 시가 기보법[詩歌記譜法]
  • 시구 차용보[詩句借用譜]
  • 시김새
  • 시나위
  • 시나위권[--圈]
  • 시도 무형 문화재 기능 보유자[市道無形文化財技能保有者]
  • 시라기가쿠[新羅樂]
  • 시선 뱃노래[柴船--]
  • 시시딱딱이
  • 시악화성[時樂和聲]
  •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 시월제[十月祭]
  • 시위 장단[--長短]
  • 시인[詩人]
  • 시조[時調]
  • 시조문학사전(저서:정병욱)[時調文學事典]
  • 시조유취(시조집:최남선)[時調類聚]
  • 시조 장단[時調--]
  • 시조집[時調集]
  • 시조집(시조를모아엮은책)[時調集]
  • 시조항
  • 시조 형식[時調形式]
  • 시창[詩唱]
  • 신경토리[新京--]
  • 신계[神啓]
  • 신고산 타령[新高山打令]
  • 신공사뇌가[身空詞腦歌]
  • 신관용(1912-1961:가야금산조명인)[申寬龍]
  • 신관용류 가야금 산조[申寬龍流伽倻琴散調]
  • 신광수(1712-1775:문인:조선후기)[申光洙]
  • 신놀이 장단[神--長短]
  • 신도가(악장:정도전)[新都歌]
  • 신라 오기[新羅五伎]
  • 신라 음악[新羅音樂]
  • 신만엽(?-?:판소리명창)[申萬葉]
  • 신민요[新民謠]
  • 신발[靴]
  • 신세 타령[身世打令]
  • 신영채(1915-1950?:판소리명창)[申永彩]
  • 신작금보[新作琴譜]
  • 신재효(1812-1884:판소리작가)[申在孝]
  • 신정[神定]
  • 신증금보[新證琴譜]
  • 신채효(1812-1884:판소리이론가,판소리평론가)[申在孝]
  • 신체 유희요[身體遊戱謠]
  • 신쾌동(1910-1977:거문고산조명인)[申快童]
  • 신쾌동류 거문고 산조[申快童流--散調]
  • 실상곡[實想曲]
  • 실혜가[實兮歌]
  • 심방
  • 심상건(1889-1965:가야금산조명인)[沈相健]
  • 심상건류 가야금 산조[沈相健流伽倻琴散調]
  • 심술 타령[--打令]
  • 심우가[尋牛歌]
  • 심청가[沈淸歌]
  • 심청이 아버지와 이별하는 대목[沈淸--離別--]
  • 심향춘[沈香春]
  • 십육 정간보[十六井間譜]
  • 십이 가사[十二歌詞]
  • 십이율 음역[十二律音域]
  • 십이 잡가[十二雜歌]
  • 십이채 장단[十二--長短]
  • 십자굿
  • 십장가[十杖歌]
  • 싸랭
  • 싸랭표[--標]
  • 쌀갱
  • 쌀갱표[--標]
  • 쌈싸기 소리
  • 쌍진풀이굿[雙陣--]
  • 쌍피리[雙--]
  • 쌍화점[雙花店]
  • 써레 소리
  • 쐑소리
  • 쑥대머리
  • 쑹거 장단[--長短]
  • 쓰개
  • 씻김굿
  • 아[雅]
  • 아귀성[餓鬼聲]
  • 아니리
  • 아래표[--標]
  • 아례곡[我禮曲]
  • 아리랑
  • 아미 농악[峨嵋農樂]
  • 아악[雅樂]
  • 아악곡[雅樂曲]
  • 아악기[雅樂器]
  • 아이 어르는 대목
  • 아쟁[牙箏]
  • 아쟁 산조[牙箏散調]
  • 아쟁 산조 명인[牙箏散調名人]
  • 아헌[亞獻]
  • 악곡[樂曲]
  • 악공[樂工]
  • 악기[樂器]
  • 악기 분류[樂器分類]
  • 악기장(서울시도무형문화재제28호)[樂器匠]
  • 악기장(중요무형문화재제42호)[樂器匠]
  • 악기제작[樂器製作]
  • 악기조성청[樂器造成廳]
  • 악기조성청의궤[樂器造成廳儀軌]
  • 악보[樂譜]
  • 악사[樂師]
  • 악상 표현[樂想表現]
  • 악생[樂生]
  • 악서고존[樂書孤存]
  • 악양루가[岳陽樓歌]
  • 악원고사[樂院故事]
  • 악장[樂章]
  • 악장 가사(편서:박준)[樂章歌詞]
  • 악절[樂節]
  • 악조[樂調]
  • 악지[樂志]
  • 악통[樂通]
  • 악학[樂學]
  • 악학 궤범(저서:성현)[樂學軌範]
  • 악학궤범의 악기분류법[樂學軌範--樂器分類法]
  • 악학 도감[樂學都監]
  • 악학 습령(시조집:이형상)[樂學拾零]
  • 악학 제조[樂學提調]
  • 안기옥(1894-1974:가야금산조명인)[安基玉]
  • 안기옥류 가야금 산조[安基玉流伽倻琴散調]
  • 안땅 장단[--長短]
  • 안민가[安民歌]
  • 안민영(?-?:가객:조선)[安玟英]
  • 안상(?-?:장악원첨정:조선전기)[安瑺]
  • 안숙선(1949-:판소리명창)[安淑善]
  • 안익태(1906-1965:작곡가)[安益泰]
  • 안장(?-?:거문고명인:신라)[安長]
  • 안전 벅구 놀이
  • 안족[雁足]
  • 안주 애원성[安州哀怨聲]
  • 안중근의사가(국악작품:김관준)[安重根義士歌]
  • 안진반
  • 안짝
  • 안채비
  • 안채비 소리
  • 안축(1287-1348:학자:고려말)[安軸]
  • 안평악[安平樂]
  • 안현법[安玹法]
  • 앉은 법고 놀이[--法鼓--]
  • 알기쉬운 국악개론(저서:이성천)[--國樂槪論]
  • 알쟁[戛箏]
  • 암행어사 출두[暗行御史出頭]
  • 앞산타령[─山打令]
  • 앞치배
  • 애원성[哀怨聲]
  • 애원처창[哀怨悽愴]
  • 애월야면지만[愛月夜眠遲慢]
  • 액정서[掖庭署]
  • 앵무가[鸚鵡歌]
  • 야심사[夜深詞]
  • 약[籥]
  • 약성가[藥性歌]
  • 약자보[略字譜]
  • 약천집(저서:남구만)[藥泉集]
  • 양금[洋琴:揚琴]
  • 양금신보[洋琴新譜]
  • 양반광대
  • 양반 포수 놀이[兩班砲手--]
  • 양산가[陽山歌]
  • 양산도[陽山道:梁山刀]
  • 양성[陽聲]
  • 양신 화답가[良辰和答歌]
  • 양씨 아미 본풀이
  • 양양가[襄陽歌]
  • 양이두[羊耳頭]
  • 양주 별산대 놀이[楊州別山臺--]
  • 양청 도드리[兩淸--]
  • 어[敔]
  • 어가행령[御街行令]
  • 어디로 갈거나
  • 어름
  • 어름산이
  • 어부사(작품:이현보)[漁父詞]
  • 어사용 토리
  • 어약충천지세[魚躍沖天之勢]
  • 어업 노동요[漁業勞動謠]
  • 어은보[漁隱譜]
  • 어휴곡[於休曲]
  • 억취소[憶吹簫]
  • 언락[言樂]
  • 언롱[言弄]
  • 언어 유희요[言語遊戱謠]
  • 언편[言編]
  • 얼림굿
  • 엄연곡(작품:주세붕)[儼然曲]
  • 엄지표[--指標]
  • 엇모리 장단[--長短]
  • 엇붙임
  • 엇시조[--時調]
  • 엇엮음 시조[--時調]
  • 엇중모리 장단[--中--長短]
  • 엎는 목
  • 여늬박[--拍]
  • 여민락[與民樂]
  • 여민락만[與民樂慢]
  • 여민략령[與民樂令]
  • 여옥(?-?:고조선)[麗玉]
  • 여음[餘音]
  • 여창[女唱]
  • 여창 가곡[女唱歌曲]
  • 여창 지름 시조[女唱--時調]
  • 역성[繹成]
  • 역안법[力按法]
  • 역취[力吹]
  • 역획[逆劃]
  • 엮는 목
  • 엮음
  • 엮음 수심가(--愁心歌)
  • 엮음 형식[--形式]
  • 연귀소[燕歸巢]
  • 연극[演劇]
  • 연등노부[燃燈鹵簿]
  • 연례악[宴禮樂]
  • 연모가[戀母歌]
  • 연비여천지세[鳶飛戾天之勢]
  • 연속표[連續標]
  • 연음표[連音標]
  • 연음 형식[連音形式]
  • 연주[演奏]
  • 연튀김
  • 연튀김표[--標]
  • 연풍 다드래기[筵風--]
  • 연풍대(춤사위)[筵風擡]
  • 연풍대 놀이[筵風擡--]
  • 연풍대 얼림굿[筵風擡--]
  • 연행가[燕行歌]
  • 연형 시조[聯形時調]
  • 연형제곡[宴兄弟曲]
  • 연화대무[蓮花臺舞]
  • 연회[宴會]
  • 열녀가[烈女歌]
  • 열조상존호악장[列朝上尊號樂章]
  • 열조악장[列朝樂章]
  • 열조추상존호악장[列朝追上尊號樂章]
  • 열채
  • 염계달(?-?:판소리명창)[廉季達]
  • 염불 도드리[念佛還入]
  • 염불 장단[念佛長短]
  • 염불 풍류[念佛風流]
  • 염수[斂手]
  • 염양춘[艶陽春]
  • 엽[葉]
  • 영각[令角]
  • 영경[靈慶]
  • 영고[靈鼓]
  • 영관[永觀]
  • 영광 우도 농악 잡색탈[靈光右道農樂雜色─]
  • 영남 가락[嶺南--]
  • 영남 농악[嶺南農樂]
  • 영도[靈鼗]
  • 영동 농악[嶺東農樂]
  • 영등 굿놀이
  • 영변가[寧邊歌]
  • 영산 놀이[靈山--]
  • 영산 다드래기[靈山--]
  • 영산 도드리 법구[靈山--]
  • 영산홍[映山紅]
  • 영산 회상[靈山會上:靈山會相]
  • 영삼 별곡[寧三別曲]
  • 영서 농악[嶺西農樂]
  • 영신 희문[迎神熙文]
  • 영안지곡[永安之曲]
  • 영제[嶺制]
  • 영제시조[嶺制時調]
  • 영춘악령[迎春樂令]
  • 영해 별신굿 놀이[寧海別神--]
  • 예경제불가[禮敬諸佛歌]
  • 예술 무용[藝術舞踊]
  • 예자단[荔子丹]
  • 예천 공처 농요[醴泉公處農謠]
  • 예천 통명 농요[醴泉通明農謠]
  • 오(가야금곡:이문)[烏]
  • 오가[五歌]
  • 오가전집[五歌全集]
  • 오관[烏冠]
  • 오관청[五管淸]
  • 오광대 놀이[五--]
  • 오구굿
  • 오늘 오신 손님
  • 오단음[五短音]
  • 오돌또기
  • 오동래(?-?:가객)[吳東萊]
  • 오륜가[五倫歌]
  • 오방 신장무[五方神將舞]
  • 오방진[五方陣]
  • 오봉산 타령[五峯山--]
  • 오사식곡(거문고곡:옥보고)[吾沙息曲]
  • 오안지악[娛安之樂]
  • 오양선[五羊仙]
  • 오엽[五葉]
  • 오우가(시조:윤선도)[五友歌]
  • 오음악보
  • 오음약보[五音略譜]
  • 오음 음계[五音音階]
  • 오정대[烏鞓帶]
  • 오지[五指]
  • 오채 장단[五--長短]
  • 오청[五淸]
  • 옥루연가[玉樓宴歌]
  • 옥보고(?-?:악사:신라)[玉寶高]
  • 옥설화답가[玉屑和答歌]
  • 옥중가[獄中歌]
  • 온각[--刻]
  • 온각 자리[--刻--]
  • 올래 소리
  • 올리더름표[--標]
  • 올림채 장단[--長短]
  • 올림표[--標]
  • 옹고집 타령[壅固執打令]
  • 옹안지악[雍安之樂]
  • 와공후[臥箜篌]
  • 완산가[完山歌]
  • 완산 별곡[完山別曲]
  • 완여반석지세[完如盤石之勢]
  • 완자걸이(붙임새)[卍字--]
  • 완자 걸이(춤사위)
  • 완제[完制]
  • 완제 시조창[完制時調唱]
  • 왕롱가(가사:조식)[王弄歌]
  • 왕모대가무[王母隊歌舞]
  • 왕산악(?-?)[王山岳]
  • 왕소군원가[王昭君怨歌]
  • 왕실행차[王室行次]
  • 외가집 목
  • 외거[外擧]
  • 외도[外桃]
  • 요(작은징의하나)[鐃]
  • 요령[鐃鈴:搖鈴]
  • 요성[搖聲]
  • 요성표[搖聲標]
  • 요풍탕일[堯風湯日]
  • 용고[龍鼓]
  • 용광[龍光]
  • 용광정명[龍光貞明]
  • 용극여신[用戟如紳]
  • 용부가[庸婦歌]
  • 용왕 탄식[龍王歎息]
  • 용음창해지세[龍吟蒼海之勢]
  • 용추 유영가(가사:정훈)[龍湫游詠歌]
  • 우[竽]
  • 우(음이름)[羽]
  • 우도굿[右道--]
  • 우도 농악[右道農樂]
  • 우도 농악 판굿[右道農樂--]
  • 우락[羽樂]
  • 우롱[羽弄]
  • 우륵(?-?:가야금명인:신라)[于勒]
  • 우리 장단 배워 보자[--長短--]
  • 우림령만[雨淋鈴慢]
  • 우물 놀이
  • 우부가[愚夫歌]
  • 우순풍조[雨順風調]
  • 우식악[憂息樂]
  • 우적가[遇賊歌]
  • 우조(선법)[羽調]
  • 우조(판소리)[羽調]
  • 우조 가락 도드리[羽調--]
  • 우조 다스름[羽調--]
  • 우조 두거[羽調頭擧]
  • 우조 삼수대엽[羽調三數大葉]
  • 우조 소용[羽調搔聳]
  • 우조 시조[羽調時調]
  • 우조 이수대엽[羽調二數大葉]
  • 우조 중거[羽調中擧]
  • 우조 지름 시조[羽調--時調]
  • 우조 초수대엽[羽調初數大葉]
  • 우조 타령[羽調打令]
  • 우조 평거[羽調平擧]
  • 우중화만[雨中花慢]
  • 우편[羽編]
  • 우활가(가사:정훈)[迂闊歌]
  • 우후죽순지세[雨後竹筍之勢]
  • 욱수 농악[旭水農樂]
  • 운담 풍경[雲淡風景]
  • 운라[雲鑼]
  • 운봉대 놀이[雲峰臺--]
  • 운수 노동요[運輸勞動謠]
  • 운족[雲足]
  • 운지법[運指法]
  • 운판[雲板]
  • 울북
  • 울산 쇠불이 노래[蔚山--]
  • 울산 아가씨[蔚山--]
  • 울징
  • 웃다리 농악[--農樂]
  • 웃도드리
  • 원가[怨歌]
  • 원문출장[轅門出將]
  • 원산[遠山]
  • 원앙곡(거문고곡:옥보고)[鴛鴦曲]
  • 원왕생가[願往生歌]
  • 원장현(1950-:대금산조명인)
  • 원장현류 대금 산조[-流大芩散調]
  • 원포귀범지세[遠浦歸帆之勢]
  • 원호곡(거문고곡:옥보고)[遠岵曲]
  • 원화무[圓花舞]
  • 원효(617-686:승려:신라)[元曉]
  • 월곡답가(시조:정훈)[月谷答歌]
  • 월금[月琴]
  • 월선헌 십육경가(가사:신계영)[月先軒十六景歌]
  • 월전[月顚]
  • 월정명[月正明]
  • 월화청만[月華淸慢]
  • 위도 띠뱃놀이[蝟島--]
  • 위장악[衛仗樂]
  • 유개동(1898-1975:경기명창)[柳開東]
  • 유곡청성곡(거문고곡:옥보고)[幽谷淸聲曲]
  • 유교 음악[儒敎音樂]
  • 유구곡[維鳩曲]
  • 유길곡[維吉曲]
  • 유량 악보[有量樂譜]
  • 유림가[儒林歌]
  • 유배 가사[流配歌辭]
  • 유분곡[有芬曲]
  • 유빈[蕤賓]
  • 유산가[遊山歌]
  • 유성준(1874-1949:판소리명창)[劉成俊]
  • 유영(1045-?)[柳永]
  • 유예지[遊藝志]
  • 유월궁령[遊月宮令]
  • 유태 음악[猶太音樂]
  • 유파[流派]
  • 유현(가야금)[遊絃]
  • 유현(거문고)[遊絃]
  • 유현(해금)[遊絃]
  • 유현표[遊絃標]
  • 유희요[遊戱謠]
  • 육려[六呂]
  • 육률[六律]
  • 육보[肉譜]
  • 육일무[六佾舞]
  • 육자배기[六字--]
  • 육자배기 토리[六字--]
  • 육채 장단[六--長短]
  • 육칠월 흐린 날[六七月--]
  • 육현가(문집:주세붕)[六賢歌]
  • 육화대무[六花隊舞]
  • 윤대정 본풀이[尹大靜本─]
  • 윤선도(1587-1671:시조작가:조선중기)[尹善道]
  • 윤용구[尹用求]
  • 윤용구(1853~1939:문신,서화가)[尹用求]
  • 윤용구(?-?)[尹用求]
  • 윤회(1380-1436:유학자:여말선초)[尹淮]
  • 율리유곡(시조:김광욱)[栗里遺曲]
  • 율명 차용보[律名借用譜]
  • 율자보[律字譜]
  • 융안지악[隆安之樂]
  • 융은지악[隆恩之樂]
  • 융화[隆化]
  • 은사가[隱士歌]
  • 은산 별신굿[恩山別神--]
  • 은율 탈춤[殷栗--]
  • 음계[音階]
  • 음고 기보법[音高記譜法]
  • 음곡 태세[音曲態勢]
  • 음공표[音孔標]
  • 음성서[音聲署]
  • 음악[音樂]
  • 음악가[音樂家]
  • 음악사[音樂史]
  • 음악 이론서[音樂理論書]
  • 음악인[音樂人]
  • 음악통론과 그 실습(저서:이성천)[音樂通論--實習]
  • 응[應]
  • 응고[應鼓]
  • 응명[凝命]
  • 응안지악[凝安之樂]
  • 응종[應鐘]
  • 의[衣]
  • 의궤[儀軌]
  • 의물[儀物]
  • 의식 노래[儀式--]
  • 의식 음악[儀式音樂]
  • 의인[依仁]
  • 의장기물[儀仗器物]
  • 이강덕(1928-2007:국악인)[李康德]
  • 이견대가[利見臺歌]
  • 이기열(1919-:풍류가)[李基烈]
  • 이날치(1820-1892:판소리명창:조선말기)[李捺治]
  • 이날치(1820~1892:광대:조선말기)[李捺治]
  • 이단음[二短音]
  • 이담 농악[--農樂]
  • 이동백(1867-1950:판소리명창)[李東伯]
  • 이리 농악[裡里農樂]
  • 이리 향제 줄풍류[裡里鄕制--風流]
  • 이마지(?-?:거문고명인:조선)[李亇知]
  • 이명길(1890-1960:명창)[李命吉]
  • 이문(?-?:악사:가야)[泥文]
  • 이별가[離別歌]
  • 이병문(?-?:거문고명인:한말)[李柄文]
  • 이사(가야금곡:우륵)[爾赦]
  • 이상곡[履霜曲]
  • 이상규(1944-2010:국악인)[李相奎]
  • 이색(1328-1396:문인:고려말)[李穡]
  • 이선유(1872-1949:판소리명창)[李善有]
  • 이성천(1936-2003:국악작곡가)[李成千]
  • 이수경(1882-1955:거문고명인)[李壽卿]
  • 이수고저[以袖高低]
  • 이수대엽[二數大葉]
  • 이숙량(1519-1592)[李叔樑]
  • 이숙량(1519-1592:문신:조선중기)[李叔樑]
  • 이습회[肄習會]
  • 이야홍 타령[--打令]
  • 이어도사나
  • 이어도 타령[離於島--]
  • 이어부르는 방식[--方式]
  • 이엽[二葉]
  • 이왕직 아악 부원 양성소[李王職雅樂部員養成所]
  • 이은관(1917-2014:서도소리명창)[李殷官]
  • 이일무[二佾舞]
  • 이재(1680-1746)[李縡]
  • 이중대엽[二中大葉]
  • 이중원(1885-1970:독립운동가)[李中元]
  • 이지[二指]
  • 이창배(1916-1983:명창)[李昌培]
  • 이채 장단[--長短]
  • 이청[二淸]
  • 이칙[夷則]
  • 이팔 청춘가[二八靑春歌]
  • 이현보(1467-1555:문신:조선)[李賢輔]
  • 이형상(1653-1733:문신:조선)[李衡祥]
  • 이혜구(1909-2010:음악학자)[李惠求]
  • 이화중선(1898~1943)[李花仲仙]
  • 익산 목발 노래[益山木--]
  • 인간문화재 5호
  • 인금연(1923-1983:가야금명인)[成錦鳶]
  • 인명록[人名錄]
  • 인물 유희요[人物遊戱謠]
  • 인정전악기조성청[仁政殿樂器造成廳]
  • 인정전악기조성청의궤[仁政殿樂器造成廳儀軌]
  • 인형극[人形劇]
  • 일고수 이명창[一鼓手二名唱]
  • 일단음[一短音]
  • 일동장유가(가사:김인겸)[日東壯遊歌]
  • 일무[佾舞]
  • 일상 유희요[日常遊戱謠]
  • 일지[一指]
  • 일채 장단[一--長短]
  • 일청[一淸]
  • 임강선[臨江仙]
  • 임방울(1904-1961:판소리명창)[林芳蔚]
  • 임석윤(1908-1976:거문고산조명인)[任錫潤]
  • 임실 필봉 농악[任實筆峯農樂]
  • 임우[林宇]
  • 임유앵(1913-1964:판소리명창)[林柳鶯]
  • 임전무퇴지세[臨戰無退之勢]
  • 임종[林鐘]
  • 입실상곡(거문고곡:옥보고)[入實相曲]
  • 입죽[立竹]
  • 입창[立唱]
  • 입춘 승회가[立春勝會歌]
  • 입패고사[立牌告祀]
  • 잉어걸이(붙임새)
  • 잉어걸이(춤사위)
  • 잉어질
  • 잉어질표[--標]
  • 자경 별곡(가사:이이)[自警別曲]
  • 자도사(가사:조우인)[自悼詞]
  • 자바라[啫哱囉]
  • 자삼 장단[--長短]
  • 자양금 거문고[紫陽琴--]
  • 자연 유희요[自然遊戱謠]
  • 자운가[紫雲歌]
  • 자인 단오굿[慈仁端午--]
  • 자즌 다드래기
  • 자진 강강술래
  • 자진 굿거리 장단[--長短]
  • 자진 길군악 칠채[ㅡ軍樂七ㅡ]
  • 자진 난봉가[--歌]
  • 자진 농부가[--農夫歌]
  • 자진 만세 장단[--長短]
  • 자진 모뜨는 소리
  • 자진 모리 장단[--長短]
  • 자진 못소리
  • 자진 방아 타령
  • 자진 배따라기
  • 자진 뱃노래
  • 자진 삼채[--三--]
  • 자진 아리
  • 자진아리리
  • 자진 얼림굿
  • 자진 염불[--念佛]
  • 자진육자배기[--六字--]
  • 자진 자진 모리 장단[--長短]
  • 자진 장단[--長短]
  • 자진 절로 소리
  • 자진 타령 장단[--打令長短]
  • 자진 푸너리 장단[--長短]
  • 자진 허튼 타령[--打令]
  • 자출성[自出聲]
  • 자출표[--標]
  • 자현표[子絃標]
  • 작곡가[作曲家]
  • 작법[作法]
  • 작자미상
  • 잔 다드래기
  • 잡가[雜歌]
  • 잡색
  • 잡잡가[雜雜歌]
  • 잡처용[雜處容]
  • 장가[長歌]
  • 장강유수지세[長江流水之勢]
  • 장검을[長劍--]
  • 장경세(1547-1615:문인:조선)[張經世]
  • 장계춘(1848-1946:명창)[張桂春]
  • 장고재비[杖鼓--]
  • 장구[杖鼓:長鼓]
  • 장구 명인[杖鼓名人]
  • 장구 장단[--長短]
  • 장구채
  • 장구춤[杖鼓--]
  • 장기 노래[將棋--]
  • 장기타령[將棋打令]
  • 장끼 타령[--打令]
  • 장단[長短]
  • 장단보[長短譜]
  • 장단의 세
  • 장단형[長短型]
  • 장례 소리[葬禮--]
  • 장부가[丈夫歌]
  • 장부한[丈夫恨]
  • 장사훈(1916-1991:국악학자)[張師勛]
  • 장삼을 벗는다[長衫--]
  •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 장악서[掌樂署]
  • 장악원[掌樂院]
  • 장영찬(1930-1972:판소리명창)[張泳瓚]
  • 장우벽(1735-1809)[張友璧]
  • 장원질 노래[壯元--]
  • 장원질 소리[壯元--]
  • 장인식(1908-1980:거문고명인)[張寅湜]
  • 장자마리
  • 장자백(?-1907:판소리명창)[張子伯]
  • 장재봉(1896-1966:민속예술인)[張在奉]
  • 장지표[長指標]
  • 장진주[將進酒]
  • 장진주사(시조:정철)[將進酒辭]
  • 장판개(1885-1937:판소리명창)[張判介]
  • 장한성[張漢城]
  • 장형 시조[長型時調]
  • 잦은 방아타령[--打令]
  • 재담[才談]
  • 재담소리[才談--]
  • 재밟기
  • 재삼차 법고 놀이[再三次--法鼓--]
  • 저취[低吹]
  • 적[篴]
  • 적막처장[寂寞悽悵]
  • 적벽가(국악작품:김관준)[赤壁歌]
  • 적벽부[赤壁賦]
  • 적성가[赤城歌]
  • 전강[前腔]
  • 전남 농악[全南農樂]
  • 전대[戰帶]
  • 전두리
  • 전라남도 나주 장례 소리[全羅南道羅州葬禮--]
  • 전라도 민요[全羅道民謠]
  • 전래 동요[傳來童謠]
  • 전래동요집[傳來童謠集]
  • 전립[戰笠]
  • 전부 고취[前部鼓吹]
  • 전북 농악[全北農樂]
  • 전성[轉聲]
  • 전승 인형극
  • 전악(궁중음악)[典樂]
  • 전악(조선시대의,정육품잡직)[典樂]
  • 전악서[典樂署]
  • 전우조[全羽調]
  • 전인자[前引子]
  • 전쟁가(국악작품:김관준)[戰爭歌]
  • 전정 고취[殿庭鼓吹]
  • 전주곡
  • 전주 대사습놀이[全州大私習--]
  • 전통연희공연[傳統演戱公演]
  • 전통연희공연장[傳統演戱公演場]
  • 전투복
  • 전폐희문[奠幣熙文]
  • 전해종(?-?:판소리명창)[全海宗]
  • 전화지령[轉花枝令]
  • 전후 고취[殿後鼓吹]
  • 절고[節鼓]
  • 절로 소리
  • 절사 소리
  • 절이름 타령[--打令]
  • 점강표[漸强標]
  • 점약표[漸弱標]
  • 점점 느리게
  • 점점 빠르게
  • 정가[正歌]
  • 정간보[井間譜]
  • 정경태(1916-2003:국악인)[鄭坰兌]
  • 정과정곡(작품:정서)[鄭瓜亭曲]
  • 정광수(1909-2003:판소리명창)[丁珖秀]
  • 정권진(1927-1986:판소리명창)[鄭權鎭]
  • 정극인(1401-1481:문신:조선)[丁克仁]
  • 정남희(1905-1984:가야금산조명인)[丁南希]
  • 정농악회[正農樂會]
  • 정대업[定大業]
  • 정대업정재[定大業呈才]
  • 정대화평[正大和平]
  • 정도전(1337-1398:문인:여말선초)[鄭道傳]
  • 정동방곡(악장:정도전)[靖東方曲]
  • 정득만(1907-1992:명창)[鄭得晩]
  • 정렬가[貞烈歌]
  • 정명[貞明]
  • 정병욱(1922-1985:국문학자)[鄭炳昱]
  • 정서(?-?:문인:고려)[鄭敍]
  • 정석가[鄭石歌]
  • 정선 아리랑[旌善--]
  • 정세[靖世]
  • 정악[正樂]
  • 정악 대금[正樂大笒]
  • 정악유지회[正樂維持會]
  • 정악 장구[正樂杖鼓]
  • 정악 장단[正樂長短]
  • 정약대(?-?:대금명인)[鄭若大]
  • 정양(?-?:음악가:조선전기)[鄭穰]
  • 정원섭(1878-?:판소리명고)[丁元燮]
  • 정읍사[井邑詞]
  • 정응민(1896-1964:판소리명창)[鄭應珉]
  • 정인보(1893-?:역사학자,교육자)[鄭寅普]
  • 정인지(1396-1478:조선)[鄭麟趾]
  • 정재[呈才]
  • 정재근(1853-1914:판소리명창)[鄭在根]
  •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忽記]
  • 정정렬(1876-1938)[丁貞烈]
  • 정정렬(1876-1938:판소리명창)[丁貞烈]
  • 정주
  • 정창업(1849-1919:판소리명창)[丁昌業]
  • 정철(1536-1593:문신)[鄭澈]
  • 정희(궁중무용)[呈戱]
  • 정희(발상)[禎禧]
  • 젖힌 목
  • 제권곡[帝眷曲]
  • 제금표[提金標]
  • 제대춘만[帝臺春慢]
  • 제례[祭禮]
  • 제례악[祭禮樂]
  • 제례 음악 편성[祭禮音樂編成]
  • 제마수 장단[--長短]
  • 제망매가[祭亡妹歌]
  • 제명곡[齊明曲]
  • 제비가[鷰子歌]
  • 제비 노정기[--路程記]
  • 제비 후리러 나가는 대목
  • 제석굿[帝釋--]
  • 제석 본풀이[帝釋本─]
  • 제수창[帝壽昌]
  • 제자리표[--標]
  • 제전[祭奠]
  • 제주 농요[濟州農謠]
  • 제주도 성읍 장례 소리[濟州道城邑葬禮--]
  • 제주도 토리[濟州島--]
  • 제주 민요[濟州民謠]
  • 제주 칠머리 당굿[濟州--堂--]
  • 제천의식[祭天儀式]
  • 제화 소리
  • 조[調]
  • 조계순(1914-1996:중요무형문화재)[曺桂順]
  • 조관빈(1691-1757:문신:조선후기)[趙觀彬]
  • 조국산천(곡:안기옥)[祖國山川]
  • 조금 느리게
  • 조금 빠르게
  • 조기준(?-?:명창)[曺基俊]
  • 조롱목
  • 조르는 목
  • 조복[朝服]
  • 조선구전민요집(저서:김소운)[朝鮮口傳民謠集]
  • 조선동요선(저서:김소운)[朝鮮童謠選]
  • 조선성악연구회[朝鮮聲樂硏究會]
  • 조선장단에 대하여(논문:안기옥)[朝鮮--對--]
  • 조선정악전습소[朝鮮正樂傳習所]
  • 조성신(1765-1835:문인:조선)[趙聖臣]
  • 조식(1501-1572:학자:조선중기)[曺植]
  • 조양구락부[調陽俱樂部]
  • 조왕굿[竈王--]
  • 조왕굿 가락[竈王--加樂]
  • 조우인(1561-1625:문신:조선중기)[曺友仁]
  • 조으는 목
  • 조이개
  • 조임줄
  • 조조(155-220:정치인:중국후한말기)[曹操]
  • 조학진(1877-1951:판소리명창)[曺學珍]
  • 조형 유희요[造形遊戱謠]
  • 조회례연의통용악장[朝會禮宴儀通用樂章]
  • 조회악[朝會樂]
  • 족도[足蹈]
  • 졸름표[--標]
  • 종교 음악[宗敎音樂]
  • 종묘악장[宗廟樂章]
  • 종묘 제례악[宗廟祭禮樂]
  • 종묘 제례악 악기 편성[宗廟祭禮樂樂器編成]
  • 종성[鐘聲]
  • 종적[縱笛]
  • 종헌[終獻]
  • 좌고[座鼓]
  • 좌단[坐團]
  • 좌도굿[左道--]
  • 좌도 농악[左道農樂]
  • 좌상남지비(굴씨:남구만)[左相南智碑]
  • 좌창[坐唱]
  • 주과포혜[酒果脯醯]
  • 주법 기보법[奏法記譜法]
  • 주세붕(1495-1554:학자:조선중기)[周世鵬]
  • 주수봉(?-?:명창)[朱壽奉]
  • 주아[周兒]
  • 주역참동계주(저서:남구만)[周易參同契註]
  • 주의식(?-?:시조작가:조선후기)[朱義植]
  • 주철[柱鐵]
  • 죽간자[竹竿子]
  • 죽계 별곡(경기체가:안축)[竹溪別曲]
  • 죽부[竹部]
  • 죽암곡(거문고곡:옥보고)[竹庵曲]
  • 죽 장구[竹--]
  • 죽장 망혜[竹杖芒鞋]
  • 죽장망혜(가야금병창:강남중)[竹杖芒鞋]
  • 죽지사(12가사)[竹枝詞]
  • 죽지사(시:이재)[竹枝詞]
  • 줄다리기
  • 줄소리[繩渡唱]
  • 줄풍류[--風流]
  • 줄풍류꾼[--風流--]
  • 줍는 목
  • 중강[中腔]
  • 중강표[中强標]
  • 중거[中擧]
  • 중거리 놀이
  • 중고제[中高制]
  • 중광[重光]
  • 중근본 타령[--根本打令]
  • 중금[中笒]
  • 중대엽[中大葉]
  • 중려[中呂:仲呂]
  • 중모리 장단[中--長短]
  • 중상성[重上聲]
  • 중성[中聲]
  • 중약표[中弱標]
  • 중여음[中餘音]
  • 중엽[中葉]
  • 중영산[中靈山]
  • 중원곡(거문고곡:옥보고)[中院曲]
  • 중 절로 소리[中--]
  • 중중모리 장단[中中--長短]
  • 중청성[重淸聲]
  • 중타령[--打令]
  • 중판 장단[--長短]
  • 중표[--標]
  • 중하성[重下聲]
  • 중허리 시조[--時調]
  • 중 허튼 타령[中--打令]
  • 중현[中絃]
  • 중현표[中絃標]
  • 쥔쥐새끼
  • 쥔쥐새끼 놀이
  • 즙녕[輯寧]
  • 증보 문헌 비고[增補文獻備考]
  • 증헌문헌비고의 악기분류
  • 지(국악기)[篪]
  • 지(축을치는망치자루)[止]
  • 지공[指孔]
  • 지귀주사[志鬼呪詞]
  • 지네 밟기
  • 지덕[至德]
  • 지름 시조[--時調]
  • 지신 밟기 소리[地神--]
  • 지영희(1909-1979:해금산조명인)[池瑛熙]
  • 지영희류 해금 산조[池瑛熙流奚琴散調]
  • 지화굿
  • 직업[職業]
  • 진[籈]
  • 진경토리[眞京--]
  • 진고[晉鼓]
  • 진국 명산[鎭國名山]
  • 진노[進奴]
  • 진노(?-?:악사:백제)[進奴]
  • 진도 검무[珍島劍舞]
  • 진도 북춤[珍島--]
  • 진도 아리랑[珍島--]
  • 진복창(?-1563:문신:조선중기)[陳復昌]
  • 진색곡[震索曲]
  • 진쇠 장단[--長短]
  • 진양조[--調]
  • 진오기굿
  • 진요[震耀]
  • 진주 검무[晉州劍舞]
  • 진주 교방 굿거리춤[晋州敎坊--]
  • 진주 농악[晉州農樂]
  • 진주 농악 십이차[晉州農樂十二次]
  • 진주 삼천포 농악[晉州三千浦農樂]
  • 진주 삼천포 농악 십이차[晉州三千浦農樂十二次]
  • 진주 오광대[晉州五廣大]
  • 진찬[進饌]
  • 진채선(1842-?)[陳彩仙]
  • 진타(?-?:악사:백제)[進陀]
  • 진풍정악장[進豐呈樂章]
  • 진현관[進賢冠]
  • 질꼬냉이
  • 질러내는 소리
  • 집박[執拍]
  • 집사(집사관)[執事]
  • 집사 악사[執事樂士]
  • 집장가[執杖歌]
  • 짓소리
  • 징[鉦]
  • 징채[鉦--]
  • 징표[--標]
  • 짜는 목
  • 짝드름
  • 짝타령[--打令]
  • 짧은 목
  • 쩍쩍이 가락
  • 찌른 목
  • 찍는 목
  • 찍음채
  • 차용보[借用譜]
  • 차천로(1556-1615)[車天輅]
  • 착어성[着語聲]
  •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찬불가[讚佛歌]
  • 찬불요[讚佛謠]
  • 찬성장현광비(글씨:남구만)[贊成張顯光碑]
  • 참요[讖謠]
  • 참회업장가[懺悔業障歌]
  • 창가[唱歌]
  • 창검무[槍劍舞]
  • 창극[唱劇]
  • 창랑곡[滄浪曲]
  • 창민요[唱民謠]
  • 창법[唱法]
  • 창부(발상의둘째장)[昌符]
  • 창부 타령[倡夫--]
  • 창작 국악[創作國樂]
  • 창작 국악 동요[創作國樂童謠]
  • 창작 국악 민요[創作國樂民謠]
  • 창해풍랑지세[蒼海風浪之勢]
  • 창혼[唱魂]
  • 창휘[昌徽]
  • 채궁자리
  • 채는 목
  • 채채요[採菜謠]
  • 채편[--便]
  • 채홍철(1261-1340:문신:고려후기)[蔡洪哲]
  • 책불 일월 본풀이
  • 처사가[處士歌]
  • 처용가(향가)[處容歌]
  • 처용관복[處容冠服]
  • 처용무[處容舞]
  • 척[戚]
  • 천구성[--聲]
  • 천년 만세[千年萬歲]
  • 천도굿[薦度--]
  • 천상욱개자(-:연주가:작가:신라)[川上郁階子]
  • 천수 바라[千手哱囉]
  • 천의[天衣]
  • 천자 뒤풀이[千字--]
  • 천추세령[千秋歲令]
  • 천하락령[天下樂令]
  • 철룡굿
  • 철변두[撤籩豆]
  • 철성[鐵聲]
  • 철현금[鐵絃琴]
  • 첨수무[尖袖舞]
  • 첨염[尖斂]
  • 첩승무[疊勝舞]
  • 청가리개
  • 청개[靑蓋]
  • 청개구리 타령[靑--]
  • 청경집(저서:윤회)[青卿集]
  • 청공[淸孔]
  • 청구 영언(고시조집:김천택)[靑丘永言]
  • 청도 차산 농악[淸道車山農樂]
  • 청문성[請文聲]
  • 청배 무가[請拜巫歌]
  • 청보 장단[--長短]
  • 청불주세가[請佛住世歌]
  • 청산리[靑山裏]
  • 청산 별곡[靑山別曲]
  • 청성[淸聲]
  • 청소년을 위한 국악 관현악 입문(관현합주곡:이성천)[靑少年--爲--國樂管絃樂入門]
  • 청송 추현 상두 소리[靑松楸峴喪--]
  • 청전법륜가[請轉法輪歌]
  • 청좌 굿[請座--]
  • 청철장려[淸澈壯勵]
  • 청춘가[靑春歌]
  • 청평악[淸平樂]
  • 청학동가(가사:침굉)[靑鶴洞歌]
  • 청현[淸絃]
  • 체괘표[--標]
  • 체아직[遞兒職]
  • 초리경사[草裡驚蛇]
  • 초무[初舞]
  • 초수대엽[初數大葉]
  • 초적[草笛]
  • 초중대엽[初中大葉]
  • 초한가[楚漢歌]
  • 초헌[初獻]
  • 총각 타령[總角打令]
  • 총결무진가[總結無盡歌]
  • 총유[寵綏]
  • 최강표[最强標]
  • 최경식(1876-1949:명창)[崔景植,]
  • 최남선(1890-1957:사학자)[崔南善]
  • 최병두타령(창극:강용환)
  • 최상성[最上聲]
  • 최수보(?-?:가곡명창)[崔守甫]
  • 최약표[最弱標]
  • 최옥산(1905-1956:가야금산조명인:북한)[崔玉山]
  • 최옥산류 가야금 산조[崔玉山流伽倻琴散調]
  • 최정식(1886-1951:명창:한말)[崔貞植]
  • 최제우(1824-1864:동학교주:조선말기)[崔濟愚]
  • 최치원(857-?:학자:통일신라말기)[崔致遠]
  • 최하성[最下聲]
  • 최학봉(1856-?:대금명인)[崔鶴鳳]
  • 최화무[催花舞]
  • 추교신(?-?:명창)[秋敎信]
  • 추상표[追上標]
  • 추석곡(거문고곡:옥보고)[秋夕曲]
  • 추성[推聲]
  • 추수감사의식[秋收感謝儀式]
  • 추월만정[秋月晩汀]
  • 추쟁[搊箏]
  • 추천가[鞦韆歌]
  • 추천목[鞦韆--]
  • 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 축[柷]
  • 축랑번복[逐浪翻覆]
  • 축성수(경기체가)[祝聖壽]
  • 축원고사[祝願告祀]
  • 축원 무가[祝願巫歌]
  • 축원성[祝願聲]
  • 춘대옥촉[春臺玉燭]
  • 춘면곡[春眠曲]
  • 춘설(가야금곡:황병기)[春雪]
  • 춘앵전[春鶯鶩]
  • 춘유가[春遊歌]
  • 춘조곡(거문고곡:옥보고)[春朝曲]
  • 춘추풍우[春秋風雨]
  • 춘풍세류지세[春風細柳之勢]
  • 춘향가[春香歌]
  • 출인가[出引歌]
  • 춤(곡명)
  • 춤노래
  • 춤사위
  • 충무연[忠武鳶]
  • 충청남도 부여 장례 소리[忠淸南道扶餘葬禮--]
  • 충청 농악[忠淸農樂]
  • 충청북도 중원 장례 소리[忠淸北道中原葬禮--]
  • 취고수[吹鼓手]
  • 취구[吹口]
  • 취봉래만[醉蓬萊慢]
  • 취주 악기[吹奏樂器]
  • 취타[吹打]
  • 취타대[吹打隊]
  • 취타수[吹打手]
  • 취타 장단[吹打長短]
  • 취타 편성[吹打編成]
  • 취타 풍류[吹打風流]
  • 취태평[醉太平]
  • 취풍형[醉豊亨]
  • 측간굿
  • 치[徵]
  • 치는표[--標]
  • 치배
  • 치술령곡[鵄述嶺曲]
  • 치화평[致和平]
  • 치화평무[致和平舞]
  • 친경악장[親耕樂章]
  • 친잠악장[親蠶樂章]
  • 칠괘법[七棵法]
  • 칠성공[七星孔]
  • 칠음 음계[七音音階]
  • 침굉(1616-1684:승려)[枕肱]
  • 침향무(가야금곡:황병기)[沈香舞]
  • 칭찬여래가[稱讚如來歌]
  • 콩새야 팥새야
  • 쾌지나 칭칭 나네
  • 큰 농음표[--弄音標]
  • 큰북[大鼓]
  • 타령(영산회상)[打令]
  • 타령(판소리,잡가,민요)[打令]
  • 타령 장단[打令長短]
  • 타악기 연주법[打樂器演奏法]
  • 타주춤
  • 탁(금탁)[鐸]
  • 탁(정)[鐲]
  • 탁령[濯靈]
  • 탁성[濁聲]
  • 탁영 거문고[濯纓--]
  • 탁정[濯征]
  • 탄금가[彈琴歌]
  • 탄백성[歎白聲]
  • 탈[假面]
  • 탈이
  • 탈춤
  • 탈춤 놀이
  • 태왁
  • 태주[太蔟:太簇]
  • 태평가[太平歌]
  • 태평곡(가사:침굉)[太平曲]
  • 태평곡(경기체가:주세붕)[太平曲]
  • 태평년만[太平年慢]
  • 태평무[太平舞]
  • 태평사(가사:박인로)[太平詞]
  • 태평소[太平簫]
  • 태풍비진지세[颱風飛塵之勢]
  • 터벌림(굿터를벌려놓는일)
  • 터벌림춤
  • 토건 노동요[土建勞動謠]
  • 토고[土鼓]
  • 토끼 기변[--奇辯]
  • 토끼 욕하는 대목
  • 토끼 화상(경기잡가)[--畵像]
  • 토끼 화상(수궁가)[--畵像]
  • 토리
  • 토부[土部]
  • 통성[--聲]
  • 통속 민요[通俗民謠]
  • 통영 개타령[統營--打令]
  • 통영 오광대[統營五廣大]
  • 퇴계원 산대 놀이[退溪院山臺--]
  • 퇴성[退聲]
  • 퇴하표[退下標]
  • 투전 타령[鬪牋--]
  • 투전 풀이[鬪錢--]
  • 퉁소[洞簫]
  • 퉁소 산조[洞簫散調]
  • 튀김
  • 튀김표[--標]
  • 튀는 목
  • 특강표[特强標]
  • 특경[特磬]
  • 특종[特鐘]
  • 파경[罷經]
  • 파는 목
  • 파성[破聲]
  • 파연곡(시조:윤선도)[罷筵曲]
  • 판굿
  • 판소리
  • 판소리 고법[--鼓法]
  • 판소리 다섯 마당
  • 판소리 명창[--名唱]
  • 판소리 여섯 마당
  • 판소리 열두 마당
  • 판소리 음역[--音域]
  • 판소리의 제[--制]
  • 판소리의 조[--調]
  • 판소리 장단[--長短]
  • 판소리제[--制]
  • 판소리 창법[--唱法]
  • 팔관노부[八關鹵簿]
  • 팔선녀 타령[八仙女打令]
  • 팔음[八音]
  • 팔일무[八佾舞]
  • 팔잡가[八雜歌]
  • 팔조[八調]
  • 패성가[浿城歌]
  • 편경[編磬]
  • 편계성[遍界聲]
  • 편락[編樂]
  • 편수대엽[編數大葉]
  • 편시춘[片時春]
  • 편장단[編長短-]
  • 편종[編鐘]
  • 평거[平擧]
  • 평롱[平弄]
  • 평사낙안지태[平沙落雁之態]
  • 평산 소놀음굿[平山--]
  • 평성[平聲]
  • 평시조[平時調]
  • 평안도 민요[平安圖民謠]
  • 평양가[平壤歌]
  • 평염불[平念佛]
  • 평우조[平羽調]
  • 평으로 내는 목
  • 평으로 내는 소리
  • 평 자진 모리 장단[平--長短]
  • 평점[平點]
  • 평조(선법)[平調]
  • 평조(판소리)[平調]
  • 평조 다스름[平調--]
  • 평조 단소[平調短簫]
  • 평조 십체[平調十體]
  • 평조 음계[平調音階]
  • 평조 회상[平調會相]
  • 평지작보지태[平地鵲步之態]
  • 평 진양 장단[平--長短]
  • 평창 둔전평 농악[平昌屯田坪農樂]
  • 평취[平吹]
  • 포구락[抛毬樂]
  • 포부[匏部]
  • 폭풍취우[暴風驟雨]
  • 표풍(가야금곡:귀금)[飄風]
  • 푸너리 장단[--長短]
  • 푸념 장단[--長短]
  • 푸는 목
  • 푸는 장단[--長短]
  • 풀어내림표[--標]
  • 품앗이굿
  • 풍구 타령[--打令]
  • 풍년가[豊年歌]
  • 풍년 놀이[豊年--]
  • 풍등가[豊登歌]
  • 풍류[風流]
  • 풍류 가야금[風流伽倻琴]
  • 풍류객[風流客]
  • 풍류방[風流房]
  • 풍류 음악[風流音樂]
  • 풍류현금보집(악보집:김정애)[風流玄琴譜集]
  • 풍소 유희요[風騷遊戱謠]
  • 풍안지곡[豐安之曲]
  • 풍안지악(종묘제례의진찬례곡)[豊安之樂]
  • 풍어제[豊漁祭]
  • 풍월 강산[風月江山]
  • 풍입송[風入松]
  • 풍중류령[風中柳令]
  • 피리[觱篥]
  • 피리 산조[--散調]
  • 하가라도(가야금곡:우륵)[下加羅都]
  • 하규일(1867-1937:음악가)[河圭一]
  • 하기물(가야금곡:우륵)[下奇物]
  • 하림조[河臨調]
  • 하성[下聲]
  • 하성명[賀聖明]
  • 하성명무[賀聖明舞]
  • 하성표[下聲標]
  • 하시사굿
  • 하원곡(거문고곡:옥보고)[下院曲]
  • 하은담(1727-?)[河殷潭]
  • 하준권(?-?:가인)[河俊權]
  • 하표[下標]
  • 하현 도드리[下絃還入]
  • 하황은[荷皇恩]
  • 하황은무[荷皇恩舞]
  • 하회 별신굿[河回別神--]
  • 학무[鶴舞]
  • 학슬[鶴膝]
  • 학 연화대 처용무 합설[鶴蓮花代處容舞合設]
  • 한갑득(1919-1987:거문고산조명인)[韓甲得]
  • 한갑득류 거문고 산조[韓甲得流--散調]
  • 한강수 타령[漢江水打令]
  • 한국 고전 시가론(저서:정병욱)[韓國古典詩歌論]
  • 한국고전악기해설(저서:이혜구)[韓國古典樂器解說]
  • 한국 고전의 재인식(저서:정병욱)[韓國古典--再認識]
  • 한국 국악 예술 학교[韓國國樂藝術學校]
  • 한국국악협회[韓國國樂協會]
  • 한국악기도록(저서:이혜구)[韓國樂器圖錄]
  • 한국 음악(저서:김기수)[韓國音樂]
  • 한국음악사[韓國音樂史]
  • 한국음악연구(저서:이혜구)[韓國音樂硏究]
  • 한국 음악의 기보법[韓國音樂--記譜法]
  • 한국의 판소리(저서:정병욱)[韓國--]
  • 한국정악원[韓國正樂院]
  • 한국판소리보존연구회[韓國─保存硏究會]
  • 한국 한국인 한국음악(저서:이성천)[韓國韓國人韓國音樂]
  • 한국 환상곡(작품:안익태)[韓國幻想曲]
  • 한궁춘만[漢宮春慢]
  • 한금신보[韓琴新譜]
  • 한량무[閑良舞]
  • 한림 별곡[翰林別曲]
  • 한배
  • 한배에 따른 형식[--形式]
  • 한범수(1911-1984:해금산조명인)[韓範洙]
  • 한범수류 해금 산조[韓範洙流奚琴散調]
  • 한별곡[恨別曲]
  • 한삼[汗衫]
  • 한상효월지태[寒霜曉月之態]
  • 한성기(1899-1950:가야금산조명인)[韓成基]
  • 한성기류 가야금 산조[韓成基流伽倻琴散調]
  • 한성준(1874-1942:고수)[韓成俊]
  • 한시[漢詩]
  • 한양가(가사:한산거사)[漢陽歌]
  • 한오백년[--五百年]
  • 한운출수지세[閑雲出峀之勢]
  • 한일섭(1929-1973:아쟁연주자)[韓一燮]
  • 한일섭류 아쟁 산조[韓一燮類牙箏散調]
  • 한 잔 부어라[--盞--]
  • 한장군 놀이[韓將軍--]
  • 한주환(1904-1966:대금산조명인)[韓周煥]
  • 한주환류 대금 산조[韓周煥流大芩散調]
  • 한학수면지태[閑鶴睡眠之態]
  • 함경도 민요[咸鏡道民謠]
  • 함동정월(1917-1995:가야금산조명인)[咸洞庭月]
  • 함양 양잠가[咸陽養蠶歌]
  • 함재운(1854-1916:거문고명인)[咸在韻]
  • 함화진(1884-1949:국악인)[咸和鎭]
  • 합성표[合成標]
  • 합자보[合字譜]
  • 합장단[合長短]
  • 항순중생가[恒順衆生歌]
  • 항왕약마[項王躍馬]
  • 항장무[項莊舞]
  • 해가[海歌]
  • 해금[奚琴]
  • 해금 명인[奚琴名人]
  • 해금 산조[奚琴散調]
  • 해금 산조 명인[奚琴散調名人]
  • 해동가곡[海東歌曲]
  • 해동 가요(시조집:김수장)[海東歌謠]
  • 해동 악장[海東樂章]
  • 해령[解令]
  • 해서 탈춤[海西--]
  • 해야 해야
  • 해조사[諧嘲詞]
  • 해주 아리랑[海州--]
  • 해패령[解佩令]
  • 해활고범[海濶孤帆]
  • 행악[行樂]
  • 행운유수[行雲流水]
  • 행향자만[行香子慢]
  • 향가[鄕歌]
  • 향당교주[鄕唐交奏]
  • 향령무[響鈴舞]
  • 향발(국악기)[響鈸]
  • 향발무[響鈸舞]
  • 향비파[響琵琶]
  • 향산록[香山錄]
  • 향산별곡[香山別曲]
  • 향악[鄕樂]
  • 향악기[鄕樂器]
  • 향악무[鄕樂舞]
  • 향악잡영(저서:최치원)[鄕樂雜詠]
  • 향악 정재[鄕樂呈才]
  • 향제[鄕制]
  • 향제 단소[鄕制短簫]
  • 향제시조[鄕制時調]
  • 향제 줄풍류[鄕制--風流]
  • 향토 민요[鄕土民謠]
  • 향피리[鄕--]
  • 향피리 중심 관악 합주[鄕--中心管樂合奏]
  • 허금파(?-?)[許錦波]
  • 허난설헌(1563-1589)[許蘭雪軒]
  • 허덜품
  • 허득선(?-?:서도소리명창)[許得善]
  • 허리띠
  • 허무가[虛無歌]
  • 허벅
  • 허벅 장단[--長短]
  • 허사종(?-?:거문고명인)[許嗣宗]
  • 허오(?-?:피리명인:조선전기)[許吾]
  • 허튼굿
  • 허튼춤
  • 허튼 타령(반주음악)[--打令]
  • 허튼 타령(장단)[--打令]
  • 헌가[軒架]
  • 헌가악[軒架樂]
  • 헌가악(軒架樂)
  • 헌선도[獻仙桃]
  • 헌작[獻爵]
  • 헌좌게성[獻座偈聲]
  • 헌천수[獻天壽]
  • 헌천화(무용)[獻天花]
  • 헌화가(향가:견우노웅)[獻花歌]
  • 헐공[歇工]
  • 헐차비[歇差備]
  • 혁부[革部]
  • 혁우곡[赫佑曲]
  • 혁정[赫整]
  • 현금곡 전집(저서:신쾌동)[玄琴曲全集]
  • 현금동문유기[玄琴東文類記]
  • 현금산조보(저서:김윤덕)[玄琴散調譜]
  • 현금 오음 통론[玄琴五音統論]
  • 현금정악보(저서:김윤덕)[玄琴正樂譜]
  • 현금포곡[玄琴抱曲]
  • 현명 악기[絃鳴樂器]
  • 현무진굿
  • 현미[顯美]
  • 현수[絃首]
  • 현씨 일월 본풀이[玄氏日月本─]
  • 현악[絃樂]
  • 현악기[絃樂器]
  • 현악기 연주법[絃樂器演奏法]
  • 현악 보허자[絃樂步虛子]
  • 현악 영산 회상[絃樂靈山會相]
  • 현악 합주[絃樂合奏]
  • 현제명(1902-1960:작곡가)[玄濟明]
  • 현침[絃枕]
  • 현합곡(거문고곡:옥보고)[玄合曲]
  • 현휴[顯休]
  • 협률대성[協律大成]
  • 협무[挾舞]
  • 협종[夾鐘]
  • 형가[亨嘉]
  • 형광[亨光]
  • 형장가[刑杖歌]
  • 혜[鞋]
  • 혜성가[彗星歌]
  • 호금[胡琴]
  • 호남가(단가:신재효)[湖南歌]
  • 호남 농악[湖南農樂]
  • 호드기
  • 호령조[號令調]
  • 호목요[瓠木謠]
  • 호미걸이소리
  • 호미 타령
  • 호적 산조[胡笛散調]
  • 호조 다리패
  • 호호굿
  • 홋소리
  • 홋소리 허덜품
  • 홋소리 화청[--和請]
  • 홍개[紅蓋]
  • 홍도(?-?)[紅桃]
  • 홍동지[洪同知--]
  • 홍동지놀음[洪同知--놀음]
  • 홍문 연가[鴻門宴歌]
  • 홍부 일월 본풀이
  • 홍원기(1922-1997:국악인)[洪元基]
  • 홍주의[紅紬衣]
  • 홍패고사[紅牌告祀]
  • 홑 다드래기
  • 홑서
  • 홑 수부채 장단[--長短]
  • 화[和]
  • 화가[花歌]
  • 화관[花冠]
  • 화관무[花冠舞]
  • 화류가[花柳歌]
  • 화류태[花柳態]
  • 화산 별곡(경기체가:변계량)[華山別曲]
  • 화성[和成]
  • 화수 석춘가[和酬惜春歌]
  • 화순 한천 농악[和順寒泉農樂]
  • 화심동만[花心動慢]
  • 화안지곡[和安之曲]
  • 화원악보[花源樂譜]
  • 화의재진언바라[化衣財眞言哱囉]
  • 화전가[花煎歌]
  • 화전별곡[花田別曲]
  • 화전태[花前態]
  • 화조가[花鳥歌]
  • 화주[化主]
  • 화청[和請]
  • 화초사거리[花草四巨里]
  • 화초장[花草欌]
  • 화초장 타령[花草欌打令]
  • 화초 타령(심청가)[花草打令]
  • 화태[和泰]
  • 화투 타령[花鬪打令]
  • 환계락[還界樂]
  • 환궁악[還宮樂]
  • 환두[換頭]
  • 환두 형식[換頭形式]
  • 환무[歡舞]
  • 환산 별곡[還山別曲]
  • 환안지곡[桓安之曲]
  • 환화무[歡花舞]
  • 환환곡[桓桓曲]
  • 활대
  • 활방구
  • 활표[--標]
  • 황개[黃蓋]
  • 황계사[黃鷄詞]
  • 황병기(1936-2018:가야금연주자,작곡가)[黃秉冀]
  • 황성가는 대목[皇城--]
  • 황의종(1952-:국악작곡가)[黃義宗]
  • 황일백(1903-1976:진주농악의상쇠)[黃日佰]
  • 황조가[黃鳥歌]
  • 황종[黃鐘]
  • 황종조[黃鍾調]
  • 황종척[黃鍾尺]
  • 황철릭[黃帖裡]
  • 황풍악[皇風樂]
  • 황하청만[黃河淸慢]
  • 황해도 만구대탁굿[黃海道--]
  • 황해도 민요[黃海道民謠]
  • 황해도 배연신굿[黃海道--]
  • 황해천(?-?:판소리명창)
  • 황호통(?-?:판소리명창:조선)[黃浩通]
  • 황효성(?-?:전악:조선)
  • 회갑 노래[回甲--]
  • 회고가[懷古歌]
  • 회다지 소리
  • 회렴[回斂]
  • 회례악[會禮樂]
  • 회무[回舞]
  • 회상[回想]
  • 회소곡[會蘇曲]
  • 회심곡(불교)[回心曲]
  • 회팔선[會八仙]
  • 회향게바라[廻向偈哱囉]
  • 회혼례를 위한 시나위(국악관현악:백대웅)[回婚禮--爲--]
  • 횡살문[橫殺門]
  • 횡성 동그랑땡[橫城--]
  • 횡성 회다지 소리[橫城--]
  • 횡적[橫笛]
  • 횡지[橫指]
  • 후강[後腔]
  • 후구호[後口號]
  • 후부 고취[後部鼓吹]
  • 후인자[後引子]
  • 후주곡
  • 훈[塤:壎]
  • 훈민가[訓民歌]
  • 휘[麾]
  • 휘금가곡보[徽琴歌曲譜]
  • 휘모리 잡가[--雜歌]
  • 휘모리 장단[--長短]
  • 휘유곡[徽柔曲]
  • 휘파람
  • 휴명[休命]
  • 휴안지악[休安之樂]
  • 휴운곡[休運曲]
  • 흑피화[黑皮靴]
  • 흑홍금보[黑紅琴譜]
  • 흘기[笏記]
  • 흘림
  • 흘림 장단[--長短]
  • 흘림표[--標]
  • 흠안지곡[歆安之曲]
  • 흥(가야금의제2현)
  • 흥경지곡[興慶之曲]
  • 흥보가[興甫歌]
  • 흥안지곡[興安之曲]
  • 흥안지악[興安之樂]
  • 흥애기 소리
  • 흥타령[興打令]
  • 흩는 목
  • 흩음굿
  • 희곡 무가[戱曲巫歌]
  • 희광[熙光]
  • 희령군 어사금[熙寧君御賜琴]
  • 희문[熙文]
  • 희설가[喜彗歌]
  • 희운지악[熙運之樂]
  • 희유[羲遺]
  • 힐향곡[肸蠁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