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상세

청소년이 꼭 알아야 할 우리음악과 춤 15선 : 우리음악과 춤 가까이 보고 듣기 (해설편) - 14. 승무(이매방류) 해설

조회 3,657 1 0

승무는 독무로 진행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속춤입니다.
살풀이가 무속 전통과 관련 있는 춤이라면,
승무는 불교에서 유래를 찾아 볼 수가 있지요.
민간 축제 등에서 연주되며 민속음악 문화를 주도 했던 대풍류 연주에 맞춰 추는 춤입니다.
먼저, 불교적인 색채가 드러나는 승무의 의상과 소품부터 알아볼까요?

보일 듯 말 듯 얼굴을 가린 흰 고깔, 남색 치마, 흰 저고리에 장삼, 어깨에 둘러 맨 붉은색 가사,
이것이 일반적인 승무의 의상입니다.

또한 승무에서는 ‘법고’라 불리는 북을 치는 가락이 절묘한데,
법고란 원래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북으로 승무에서는 무용수가 춤을 추다가 북을 치는 것으로
번뇌로부터 벗어나는 해탈을 상징하고,
다시 춤을 추며 불교에 귀의한다는 내용의 동작을 이어가죠.

승무의 반주음악은 '대풍류' 인데요.
대풍류는 민간축제 현장에서 연주되던 것으로 여러 개의 곡을 모아 구성한 음악입니다.
장구, 피리, 대금, 해금, 북 등으로 연주하죠.

승무의 반주음악은 입곱 번의 장단변화가 있으며, 장단의 변화에 따라 춤사위가 달라지는데요.
느린 장단에서는 무거운 움직임으로 장삼을 뿌리고, 젖히고, 휘돌리는 등의 동작을 선보이며,
장단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점차 고뇌와 갈등을 떨쳐버리는 꿋꿋함으로 표현되는 움직임으로
씩씩하게 춤을 춥니다.
끝 무렵에는 신명을 담아 매우 빠르고 격렬하게 북가락을 몰아가지요.
이렇게 장단의 변화에 따라 춤사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눈여겨보면서 승무를 감상해보세요.

승무의 아름다움은 조지훈 시인의 시 속에도 잘 드러나 있습니다.

얇은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접어서 나빌레라
파르라니 깍은 머리 박사(薄紗) 고깔에 감춰오고
두 볼에 흐르는 빛이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이 시 구절을 음미하면서 승무 감상해보시죠.

  • 등록번호 V008866
  • 기록 분류무용>전통무용>민속무용>독무>승무 
  • 기록 일시2010.01.19 - 2010.01.31
  • 기록 장소국립국악원 예악당, 우면당
  • 소장처국악아카이브실
  • 기록유형동영상
  • 저장매체동영상DVD-R

내용

ㅇ 청소년이 꼭 알아야 할 우리음악과 춤 15선 : 우리음악과 춤 가까이 보고 듣기(해설편)의 열네 번째 프로그램

ㅇ 의상(장삼,가사,고깔), 법고의 의미, 반주음악(대풍류: 염불,반염불,타령,허튼타령,굿거리,자진모리,당악 등), 장단의 변화와 춤사위의 관계 등 수록
ㅇ 사회/정은아(방송인)
ㅇ 무용/이미영(국립국악원 무용단 단원, 중요무형문화재 제27호 이매방류)

관련자료

이전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