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2018 토요신명: 행복한 국악나무 <마형> '민속마당의 신명과 기원'[11.10.]의 두 번째 프로그램 ○ 팸를릿 수록 내용 봉장취는 20세기 초에 유행하던 허튼가락으로 시나위와함께 산조의 형성과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다. 봉작취, 봉황곡이라고 불렸는데 이는 음악의 중간에서 새소리를 흉내낸다는 뜻에서 붙인 이름이라 한다.그 음악적 특징은미리 정해진 일정한 틀에 의한 것이 아닌 즉흥적 연주이었기에 연주자의 고도의 연주기술과 음악성을 요구하는것에 있었고, 간간이 들리는 새소리의 흉내는 다른 음악에서는 들을 수 없는 흥취이다. 오늘 연주하는 봉장취는 현재 유성기 음반으로 남아있는 여러 봉장취를 재구성하여민속음악의 자유로운 즉흥성 안에 각색하고 구성하였다. ○ 출연/국립부산국악원 기악단 - 해금/조윤경, 대금/허유진, 가야금/김현승, 장구/오다교
동영상 - 2018 토요신명: 행복한 국악나무 <마형> '민속마당의 신명과 기원'[11.10.]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8 토요신명: 행복한 국악나무 <마형> ’민속마당의 신명과 기원’[11.10.] - 02. 봉장취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