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상세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07.14.] - 03. 해금산조(한범수류)

  • 등록번호 V018137
  • 기록 분류민속악>기악>산조>해금 
  • 기록 일시2018.07.14 - 2018.07.14
  • 기록 장소국립국악원 우면당
  • 소장처국악아카이브실
  • 기록유형동영상
  • 저장매체스토리지

내용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07.14.]의 세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해금은 중국 북쪽의 유목민족이 연주하던 악기로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에 전래되었다. 명주실을 꼬아 만든 줄 두 개를 세로로 걸어놓고, 그 사이에 활대에 맨 말꼬리털(말총)을 넣어 줄을 긁어 소리를 낸다. 왼손으로는 줄을 감아 쥐는 위치나 쥐었다 풀었다 하는 강도로 음정을 조절한다. 음정과 음색 변화의 폭이 커서 다른 악기에 비해 다양한 소리를 자유롭게 낼 수 있다는 것이 해금의 매력이다. 산조는 민속음악에 뿌리를 둔 기악 독주곡으로, 연주자의 뛰어난 기량과 독창적인 해석을 마음껏 표출할 수 있어서 흔히 '민속음악의 꽃'이라 불린다. 처음에는 느린 진양조 장단으로 시작해서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의 순으로 점차 빠르고 흥겨운 가락으로 변화한다.
○ 출연/국립국악원 민속악단 - 해금/김정림, 장구/정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