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폐희문(奠幣熙文) 집사: 드오 비의상가교(에)(菲儀尙可交, 부족하나마 예를 올리오니 마음을 열어 주시옵소서) 승광장시백(에)(承筐將是帛, 광주리를 받들어 폐백 올리나이다) 선조기고흠(에)(先祖其顧歆, 선조께서 돌아보사 흠향 즐기시오면) 식례심막막(에)(式禮心莫莫, 공경하여 예를 올리는 마음 성하게 일어나옵니다) 집사: 지오
내용
○ 2018 토요명품공연:한국의 악가무[06.23.]의 여섯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종묘제례악은 조선 역대 왕들의 신위를 모신 종묘에서 제례를 올릴 때 연주하는 음악이다. 역대 임금의 문덕(文德)을 칭송하는 보태평과 무공(武功)을 기리는 정대업을 제례 순서에 따라 연주하며, 각각 11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부르는 노래를 악장(樂章)이라고 하며, 춤은 일무(佾舞)라고 하는데 일무에는 문무와 무무의 두 종류가 있다. 정대업과 보태평이 만들어진 세종 당시에는 궁중 연회음악으로 쓰였으나, 세조 때부터 제례악으로 사용된 후 지금까지 전승되고 있다.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2001년 세계유네스코위원회의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출연/국립국악원 정악단, 국립국악원 무용단 - 문무/장민하·최형선, 집사/양명석, 집박/이건회, 악장/문현·김병오 - 피리/황규상·고우석·홍현우·김철·이종무, 대금/김상준·최성호·문응관·김영헌·박장원 - 해금/황애자·윤문숙·류은정·고수영·사현욱·공경진·이찬미 - 가야금/이유나·김윤희·고연정·정지영·이명하 - 거문고/김미숙·채은선·윤성혜·이웅·박지현, 아쟁/김창곤·정계종 - 절고/정택수, 방향/조유회, 편종/이종길, 편경/김형섭, 축/이준아, 어/이결, 휘/조일하, 장구/안성일
동영상 - 2018 토요명품공연:한국의 악가무[06.23.]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8 토요명품공연:한국의 악가무[06.23.] - 06. 종묘제례악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