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차와 이야기가 있는 오전의 국악콘서트 다담(茶談): 종이로 표현한 희노애락[2016.11.29.]의 세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과테말라의 40대 전후로 보이는 남녀 몇 사람이 눈물을 닦으며 무대 위로 올라 왔어요. '어쩌면 그리도 구슬프냐'는 듯, 가슴을 두드립디다.'「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전통 예인 백사람」(현암사, 1995). 가사는 알아들을 수 없지만, 뱃속을 긁어내듯 거친 아쟁의 음색과 남도 지방의 구성진 가락은 국경을 넘어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무언가를 내포하고 있다. 아마도 사람이 꿈꾸는 '이상'이나 초현실적인 무언가를 표현하기 보다, 그때그때 사람이 느끼는 감정을 <산조>라는 장르가 담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우는 듯 노래하는 듯. 매력적인 <아쟁 산조>를 들어보자. ○ 출연/국립국악원 민속악단 - 아쟁/김영길, 장구/정준호
복합 - 차와 이야기가 있는 오전의 국악콘서트 다담(茶談): 종이로 표현한 희노애락(노영혜)[2016.11.29.] 팸플릿
동영상 - 차와 이야기가 있는 오전의 국악콘서트 다담(茶談): 종이로 표현한 희노애락[2016.11.29.]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차와 이야기가 있는 오전의 국악콘서트 다담(茶談): 종이로 표현한 희노애락[2016.11.29.] - 03. 집중하기2: 국경을 넘어 가슴을 두드리는 가락, 백인영류 ’아쟁산조’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