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2016 토요명품공연: 인류무형문화유산 B형[10.08.]의 첫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종묘제례악은 동북아시아의 고대 아악과 한국 전통 음악을 조화시킨 15세기 창작품으로 오늘까지 역사적 단절 없이 연주되어 온 한국음악 최고 명작 중의 하나이며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이다. 연주와 노래(악장), 춤(일무)이 일정한 유교 제례의 절차에 따라 펼쳐지는 고유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문덕을 기린 보태평(문무) 11곡과 무공을 칭송한 정대업(무무) 11곡으로 구성되어 있고 아악·당악·향악기가 함께 연주한다. 2001년 5월 18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국립국악원 정악단·무용단 - 집사/이상원, 집박/황규상, 악장/이정규·김병오 - 피리/고우석·홍현우(태평소)·김철·김성준·이종무, 대금/노붕래·김상준·최성호·김기엽·김휘곤·이결 - 해금/황애자·김주남·윤문숙·류은정·전은혜, 가야금/이유나·고연정·정지영, 아쟁/김인애, 거문고/김치자·채은선·박지현 - 편종/김형섭, 편경/김기동, 방향/장경원, 장구/홍석복, 절(진)고/안성일, 징/홍창남, 축/이준아, 어/채성희, 휘/박진희 - 문무/이종호·김태훈, 무무/정현도·김서량
음향 - 2016 토요명품공연: 인류무형문화유산 B형[10.08.] - 05. 아리랑연곡 ’구아리랑·강원도아리랑·자진아리·해주아리랑·상주아리랑·진도아리랑·아리랑’
음향 - 2016 토요명품공연: 인류무형문화유산 B형[10.08.]
동영상 - 2016 토요명품공연: 인류무형문화유산 B형[10.08.]
건물 보수공사로 인하여 시청각자료에 대한 편집 서비스가 일시 중단 될 예정입니다. 5.12(월)부터 순차적으로 서비스 될 예정이오니 이용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6 토요명품공연: 인류무형문화유산 B형[10.08.] - 01. 종묘제례악 ’전폐희문·희문·기명·역성·소무·독경·영관’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