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상세

우면당 재개관 기념공연: 우면당, 새 길을 걷다 ’정악단 - 여민화락’[2017.02.15.] - 02. 태평가

조회 286 0 0

초장)(이랴도)태평성대 2장)저려도 태평성대 3장)요지일월(堯之日月)이요 순지건곤(舜之乾坤)이로다 4장)우리도 5장)태평성대니 놀고 놀려 하노라 해석)이래도 태평한 세상 저래도 태평한 세상 마치 요임금 시절이요 순임금 시절의 세상 같구나 우리도 태평한 세상 만났으니 그를 누려 볼까 하노라

  • 등록번호 V017183
  • 기록 분류정악>성악>가곡>남여창>계면조>태평가 
  • 기록 일시2017.02.21 - 2017.02.25
  • 기록 장소국립국악원 우면당
  • 소장처국악아카이브실
  • 기록유형동영상
  • 저장매체스토리지

내용

○ 우면당 재개관 기념공연: 우면당, 새 길을 걷다 '정악단 - 여민화락'[2017.02.15.]의 두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태평가>는 조선후기 민간의 풍류방에서 부르던 대표적인 성악곡인 가곡(歌曲)의 하나이다. 가곡은 남창 26곡과 여창 15곡이 전승되며, 우조(평조)와 계면조의 악곡이 있어 악조에 따라 남녀창이 번갈아 노래하는 전통이 있다. 그런데 남녀창의 맨 마지막에서 남녀가 병창(竝唱)으로 노래하는 곡이 <태평가>이다. <가필주대(歌畢奏臺)> 혹은 <편대(編臺)>·<대(臺)받침>이라고도 불린 이 곡은 <계면이삭대엽>을 바탕으로 만든 곡인데, 본래의 이름은 <청성자진 한잎[淸聲數大葉]>이었다. 『삼죽금보(1841)』에 의하면 '청성삭대엽은 속칭 삼현삭대엽(三絃數大葉)인데 계면조이다.···(중략)···편삭대엽을 마친 후에 남녀가 계면이삭대엽을 병창(竝唱)하는데, 그 소리가 높고 맑아서 이를 청성삭대엽이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삼죽금보』에는 어떤 노랫말을 올려 불렀는지는 기록하지 않았다. 이 곡을 <태평가>라 부르는 것은 노랫말에서 비롯된 것인데, 『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 등에는 작자를 성수침(成守琛)이라 하였다. 조선 중종 때 조광조(趙光祖)의 제자였으며,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부친인 성수침이 지은 노랫말이 '(이려도) 태평성대(太平聖代) 저려도 성대(聖代)로다. 요지일월(堯之日月)이요 순지건곤(舜之乾坤)이로다. 우리도 태평성대니 놀고 놀려 허노라.'이다. 19세기 후반, 궁중연향에 밝았던 윤용구(尹用求)의 『휘금가곡보(徽 琴歌曲譜)』와 『현금오음통론(玄琴五音統論)』 등 고악보에 <태평가>가 실려 있고, 국악원본『가곡원류』(1872)에 '태평가'라는 이름으로 이 노랫말이 실려 있다. 또한 이 노랫말이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에도 실린 것으로 보아 조선후기 궁중연향에서도 불려진 듯하다. 이 노래는 남녀 병창으로 노래하는 과정에서 두 선율의 부분적인 차이와 반주선율 등이 빚어내는 화성적인 긴장과 이완의 느낌이 독특한 감흥을 준다.
○ 남창/이정규, 여창/이준아 ○ 피리/이영, 대금/이상원, 단소/채조병, 해금/김기동, 가야금/채성희, 거문고/김치자, 장구/박거현

관련자료

이전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