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2014년 국립국악원 무용단 하반기 정기공연: 사제동행[09.26.]의 첫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설장구춤은 농악 판굿의 마지막 마당인 구정놀이(개인놀이)에서 혼자 연주하는 장구놀이이다. 판굿에서 보여 주지 못한 각 개인의 기량과 멋을 구정놀이에서 한껏 펼치는데, 놀이꾼의 개성이 두드러지고 눈에 보이지 않는 경쟁이 뜨겁게 벌어진다. 설장구의 '설'은 머리, 즉 수(首)의 의미로, 설장구 장구치배 중에서 으뜸을 말한다. 그러므로 설장구춤은 장구치배 중에서도 가장 으뜸의 기량을 갖고 있는 치배가 추는 춤이라고 할 수 있다. 설장구춤의 구성은 다스름 – 휘모리 – 오방진 – 굿거리 – 늦은 삼채 – 빠른 삼채가 기본이고, 끝에 영산가락이나 휘모리를 붙이기도 한다. 각 장단에서 가락은 판굿의 가락과 개인이 구사하는 가락으로 짜여 지고, 가락에 따라 다양한 발림(춤동작)이 추어지게 된다. 이 중에서 굿거리는 유장하고 다채로운 장구가락과 발림으로 한껏 멋을 내는 대목이다. 굿거리로 춤가락을 불러내 자신의 장단 위에서 너울거리며 춤을 추고 굿거리 가락 속에서 다양하게 장단을 쪼개고 엇장단과 엇붙임으로 화려한 장단 놀음을 하기 때문이다. 설장구춤이 한국춤의 주요 레퍼토리가 된 이유는 이처럼 탄탄한 음악 구성과 춤가락이 들어 있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여러 무용가들이 설장구를 다양한 군무 작품으로 만들어 냈기 때문이다. 오늘 무대에 올리는 설장구춤은 박은하가 군무로 구성하였고, 장단은 휘모리 - 오방진(동살풀이) - 굿거리- 삼채(자진모리) - 휘모리로 편성되어 있다. 극장 무대에 맞게 대형과 동선에 변화를 주었을 뿐 아니라 독무와 군무의 대비 속에 장단의 긴장과 이완을 즐길 수 있도록 안배하였다. 여기에 국립국악원 무용단원들의 유려한 움직임이 장구춤의 맛을 한층 돋울 것이다. 설장구춤 가락의 기본 틀은 양도일(梁道一, 1907~1979)의 장구가락에서 비롯되었다. 양도일은 중요무형문화재 제3호 남사당놀이 중 꼭두각시놀음의 산받이 소리와 장구 예능보유자(1968년 지정)였다. 드디어 설장구춤이 시작된다. '졍저 궁따궁 졍저 궁따궁 궁따궁 궁따궁 궁따궁 궁따궁 ………… 우다다다다다다아 ~ 으웃!' ○ 출연·지도/박은하(국립국악원 민속악단) ○ 무용/이지연·김태은·이정미·유재연·최성희·이지은·이주리·서희정·이미영·박민지·박경순·이하경·이혜경·권덕연 ○ 태평소/장수호, 꽹과리/박상인, 징/강병혁, 장구/유지형, 북/이대원
동영상 - 2014년 국립국악원 무용단 하반기 정기공연: 사제동행[2014.09.26.]
복합 - 2014년 국립국악원 무용단 하반기 정기공연: 사제동행[2014.09.25.~09.26.] 포스터
복합 - 2014년 국립국악원 무용단 하반기 정기공연: 사제동행[2014.09.25.~26.] 팸플릿
동영상 - 2014년 국립국악원 무용단 하반기 정기공연: 사제동행[2014.09.26.] 마스터본
건물 보수공사로 인하여 시청각자료에 대한 편집 서비스가 일시 중단 될 예정입니다. 5.12(월)부터 순차적으로 서비스 될 예정이오니 이용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4년 국립국악원 무용단 하반기 정기공연: 사제동행[2014.09.26.] 마스터본 - 01. 설장구춤(양도일류)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