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설이 다 녹도록 봄소식을 모르더니 귀홍은 득의천공활이요 와류는 생심수동요로다 아이야 새 술 걸러라 새 봄맞이(하리라)
내용
○ 차와 이야기가 있는 오전의 국악콘서트 다담(茶談): 봄의 맛, 봄의 소리[2016.03.29.]의 첫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창문 밖 비치는 햇살의 온기만으로도 봄을 느낄 수 있다. 옛 사람들은 어디서 봄이 찾아왔음을 알았을까? 조선후기의 대표적 문인인 김수장(金壽長, 1690~미상)은 가을에 찾아왔던 겨울 손님 기러기가 북쪽으로 떠나가는 모습, 연두색 새순으로 단장한 버드나무가 바람에 출렁이는 모습으로 느꼈던 봄의 감상을 시조 한 수로 남겼다. 시에 얹어진 섬세한 노래 선율 들으며 새 봄을 맞이해 보자. ○ 노래/이준아, 대금/최성호
복합 - 차와 이야기가 있는 오전의 국악콘서트 다담(茶談): 봄의 맛, 봄의 소리(선재 스님)[2016.03.29.] 팸플릿
복합 - 차와 이야기가 있는 오전의 국악콘서트 다담(茶談): 봄의 맛, 봄의 소리[2016.03.29.] 리플릿
동영상 - 차와 이야기가 있는 오전의 국악콘서트 다담(茶談): 봄의 맛, 봄의 소리[2016.03.29.]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차와 이야기가 있는 오전의 국악콘서트 다담(茶談): 봄의 맛, 봄의 소리[2016.03.29.] - 01. 봄을 맞이하며, 시조 ’적설이’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