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상세

2013 하반기 정악단 정기공연: 우면 청산 가을을 노래하다-우조 ’산봉우리에 오르다’[09.11.] 클린본 - 03. 언락 ’벽사창이’, 환계락 ’앞내나 뒷내나’

조회 149 0 0

○ 남창 _ 언락 초장 벽사창(碧紗窓)이 어룬어룬커늘 2 장 임(任)만 여겨 펄떡 뛰어 나가보니 3 장 임(任)은 아니 오고 명월(明月)이 만정(滿庭)헌데 벽오동(碧梧桐) 젖은 잎에 봉황(鳳凰)이 와서 긴 목을 후여다가 깃 다듬는 그림자로다 4 장 마초아 5 장 밤일세만정 행여 낮이런들 남 우일번 하여라 ○ 10. 여창 _ 환계락 초장 앞내나 뒷내나 중(中)에 2 장 소 먹이는 아희 놈들아 3 장 앞내옛고기와 뒷내옛고기를 다 몰속 잡아 네 다라끼에 넣어 주어드란 네 타고 가는 소 등에 걸쳐다가 주렴 4 장 우리도 5 장 바삐 가는 길이 오매 전(傳)할동 말동 하여라

  • 등록번호 V012422
  • 기록 분류정악>성악>가곡 
  • 기록 일시2013.09.11 - 2013.09.11
  • 기록 장소국립국악원 예악당
  • 소장처국악아카이브실
  • 기록유형동영상
  • 저장매체스토리지

내용

○ 2013 하반기 정악단 정기공연: 우면 청산 가을을 노래하다-우조 '산봉우리에 오르다'[09.11.]의 세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가곡(歌曲)은 시조시(時調詩)를 노래하는 성악곡이다. 우리 전통음악 중에서 시조시를 노랫말로 삼아 부르는 성악곡으로는 가곡과 시조(時調)가 있는데, 가곡은 시조보다 훨씬 먼저 발생하여 널리 불리던 음악이다. 학자에 따라서 가곡의 발생을 고려시대로 추정하기도 하지만, 적어도 조선전기에는 가곡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대엽조(大葉調) 악곡이 불려진듯하다. 고려가요나 조선초기의 노래들은 강(腔)과 엽(葉)으로 구성되었는데, 엽은 오늘날의 '후렴'과 비슷하고, 이것이 확대된 것이 대엽이다. 악곡의 후반에 대엽이 붙어있는 곡으로는 정과정(鄭瓜亭, 眞勺)이 대표적이다. 가곡은 영산회상과 더불어 풍류방을 대표하는 음악일 뿐만 아니라, 조선후기 궁중에서 연행됨으로써 관악 중심의 대규모 반주를 통하여 자진한잎 '사관풍류'계통의 기악곡을 파생시키기도 하면서 우리 전통음악의 연주곡목을 확대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대중성이 강한 시조창의 형성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인접장르인 가사(歌詞)와 더불어 정가(正歌)의 맏형으로서 우리나라의 성악문화를 이끌고 있다. 일찍이 최남선(崔南善, 1890~1957)은 이와 같은 가치를 인정하여 판소리·범패와 더불어 가곡을 우리나라 3대 성악곡의 하나로 꼽은 바 있다.
○ 남창/홍창남 ○ 여창/조일하 ○ 피리/김성진, 대금/김상준, 단소/이결, 해금/전은혜 ○ 거문고/김미숙, 가야금/김윤희, 장구/안성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