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이 없습니다.
내용
○ 2015년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목요풍류 '해금산조'[04.23.]의 첫 번째 프로그램○ 팸플릿 수록 내용 해금은 유목민족의 악기다. 우리민족은 본래 정착생활을 해왔다. 그래서 정착민족의 악기를 선호했다. 민족음악학에서는 정착민의 악기로 지터(zither), 유목민의 악기로 피들(fiddle)을 꼽는다. 가야금과 거문고가 전자에, 해금이 후자에 속한다. 해금은 한국음악사에 있어서 중심악기로 부각된 적이 없다. 그랬던 악기가 시대적인 미감의 변화와 해금이 갖고 있는 여러 특성과 더불어서, 21세기의 중심악기로 부각했다. 김영재의 해금산조는 스승인 지영희의 해금산조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음악성과 리듬감이 출중한 김영재는 이를 바탕으로 해서, 자신의 산조유파를 완성했다. 김영재류 해금산조는 아기자기하고 다정다감한 특징이 있다. 호탕하게 웃는 웃음이라기보다는, 즐거웁게 미소를 짓는 느낌도 받게 된다. 전형적인 경기제(制)의 매력이 있다. 이에 반해 서용석류 해금산조는 서슬이 있고, 비분강개하는 느낌도 있다. 크게 한번 소리 내어 우는 것 같은 느낌도 받게 된다. 산조는 이런 정서를 바탕으로 해서, 연주자의 연주기교와 기분 상태에 따라서 무수히 변화되는 가변적인 음악이다. ○ 해금/정수년(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 고수/조용복(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수석)
동영상 - 2015년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목요풍류: 십인열전 '해금산조'[04.23.]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5년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목요풍류: 십인열전 ’해금산조’[04.23.] - 01. 김영재류 해금산조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